의학입문 잡병내강 腹痛 복통 복중협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잡병내강 腹痛 복통 복중협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복통

복중협착

본문내용

桂, 吳萸니, 取蒼朮의 苦辛하야, 瀉濕土로 爲君하다.
여맥완하며 복통 자리 미곡불화자면 평위산에 가육계 오유니 취창출의 고신하야 사습토로 위군하다.
만약 완맥이면서 복통 자리 미곡이 소화되지 않으면 평위산에 육계 오수유를 가미하니 창출의 고신미를 취하여 습토를 사함으로 군약을 삼는다.
胃氣가 下陷者면, 加升麻, 柴胡, 蒼朮하야 以升之하라,
위가가 하함자면 가승마 시호 창출하야 이승지하라.
위의 기가 아래로 함몰하면 승마 시호 창출하여 상승케 한다.
有積者면, 加山査, 麥芽, 枳實, 黃連, 木香하야 以消之요.
유적자면 가산사 맥아 지실 황련 목향하야 이소지요.
적체가 있으면 산사 맥아 지실 황련 목향을 가미하여 소도케 한다.
上熱下寒으로 升降이 失常하야, 腹痛 嘔吐者면, 黃連湯으로 主之니라.
상열하한으로 승강이 실상하야 복통 구토자면 황련탕으로 주지니라.
위는 뜨겁고 아래는 참으로 상승 하강이 정상을 잃어서 복통 구토하면 황련탕으로 주치한다.
疝痛은 引睾丸하고, 痢痛은 拘急하고, 積聚痛은 有形可按이오,
산통은 인고환하고 이통은 구급하고 적취통은 유형가안이오.
산통은 고환을 당기고 이질통증은 당김이 급하고 적취통증은 형체를 만질 수 있다.
腸癰痛은, 臍生瘡하며, 小便如淋, 脈하고, 沙證은 痛甚, 嘔吐, 脈沈이니, 治見 各條하니라.
장옹통은 제생창하며 소변여림 맥규하고 사증은 통심 구토 맥침이니 치현 각조하니라.
沙:(쥐통, 괴질, 홍역, 마진 사; -총12획; sha)와 通함.
장옹통은 배꼽에 종기가 나면서 소변이 물방울과 같고 규맥이면서 괴질증상은 통증이 심하고 구토하고 침맥이니 각 조문에 치료가 나타난다.
〔腹中窄狹〕性偏躁는, 無非痰火 善爲殃이라.
복중협착 성편조는 무비담화 선위앙이라.
배 속이 협착하면서 치우쳐 조급한 성격은 담화가 아님이 없으니 잘 재앙이 된다.
腹中이 自覺窄狹하며, 神昏性躁는, 乃濕痰濁氣가 攻於心脾하야, 以致升降失常이라,
복중이 자각착협하며 신혼성조는 내습담탁기가 공어심비하야 이치승강실상이라.
배 속이 좁아짐을 자각하며 정신이 혼란하고 성질이 조급함은 습담의 탁기가 심과 비를 공격하여 상승 하강의 정상을 잃게 됨이다.
肥人은 多濕痰이니, 宜二陳湯에 加蒼朮하야 燥濕하고, 香附로 行氣요,
비인은 다습담이니 의이진탕에 가창출하야 조습하고 향부로 행기요.
살찐 사람은 습담이 많으니 이진탕에 창출을 가미하여 습사를 건조케 하고 향부자로 기를 운행케 한다.
瘦人은 多火하니, 宜二陳湯에 加黃連하야 淸熱하고, 蒼朮로 流濕이니, 心神을 不斂者면, 俱加遠志, 麥門冬, 酸棗仁이오.
수인은 다화하니 의이진탕에 가황련하야 청열하고 창출로 유습이니 심신을 불렴자면 구가원지 맥문동 산조인이오.
마른 사람은 화기가 많으니 이진탕에 황련을 가미하여 열을 맑게 하고 창출로 습사를 유행케 함이니 마음과 정신을 수렴하지 못하면 모두 원지 맥문동 산조인을 가미한다.
血氣가 虛者면, 六君子湯에 加芎, 歸하야 養血 流濕이면, 自然平復이니라.
혈기가 허약하면 육군자탕에 천궁 당귀를 가미하여 혈을 기르고 습을 유행케 하면 자연히 평상으로 회복한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03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