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약부자로 보수니라.
사하후에 오한함은 작약부자감초탕으로골수를 보한다.
芍藥附子甘草湯
작약부자감초탕
三味 各三錢, 水煎하여 溫服이니라.
삼미 각삼전 수전하여 온복이니라.
작약부자감초탕은 작약 부자 감초 3약미 각 12g을 물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약감초탕을 투여하면 정강이를 편다.
以承氣湯微,則止其語,故知病可愈。
승기탕은 약간 변당하게 하니 섬어를 멎게 하므로 병이 나음을 알 수 있다.
脛音辛.
경은 발음이 신이다.
주해
○此申釋上文意.
이는 거듭 위 문장의 뜻을 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땀이 많이 나며 소변보기 어려운 환자는 계지탕에 부자를 가미하고 구토 하리후에 궐역하여 구급하는 환자는 사역탕이요.
心煩하며 足攣하되 屬血虛者는 芍藥甘草湯이오.
심번하며 족련하되 속혈허자는 작약감초탕이오.
심번하며 발이 경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약감초탕이다.
勻氣散
균기산
卽八味順氣散 各五分 甘草二分半 木香一分半을 爲末하라.
균기산은 팔미순기산이니 각각 2g, 감초 1g, 목향 0.6g을 가루낸다.
酒調服이니라.
균기산은 술로 조복한다.
治氣滯하야 痘出不快와 及肉厚密하야 身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7.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桂, 吳萸니, 取蒼朮의 苦辛하야, 瀉濕土로 爲君하다.
여맥완하며 복통 자리 미곡불화자면 평위산에 가육계 오유니 취창출의 고신하야 사습토로 위군하다.
만약 완맥이면서 복통 자리 미곡이 소화되지 않으면 평위산에 육계 오수유를 가미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