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1.구조개요
1.1 설계방향
1.2 특기사항
2.일반사항
2.1 참고문헌 및 적용규준
2.2 구조재료
2.3 건물개요
2.4 층별 용도 및 면적
3.설계하중
3.1 바닥하중
3.2 풍하중
3.3 지진하중
3.4 벽하중
4.구조평면도
4.1 지하층 B2 구조평면도
4.2 지하층 B1 구조평면도
4.3 지상층 1F 구조평면도
4.4 지상층 2F 구조평면도
4.5 지상층 3-10F 구조평면도
4.6 지상층 11F 구조평면도
5.주요부재 치수 및 Naming
5.1 지하층 Naming
5.2 지상층 Naming
5.3 주요부재 치수
6.구조해석 (Midas)
6.1 건물 골조도
6.2 Beam Diagram과 처짐도
6.3 기준층 모멘트도
6.4 보 상세
6.5 구조체 변형도
7.검토
7.1 하중저항
7.2 안정성 검토
7.3 Case-Study (Core 추가)
8.설계
8.1 슬래브 설계
8.2 보 설계
8.3 기둥 설계
8.4 기초 설계
9. 배근도 및 상세
9.1 수계산에 의한 배근도
9.2 Midas에 의한 배근도
10. 부록
10.1 용어정리
10.2 주요기호
1.1 설계방향
1.2 특기사항
2.일반사항
2.1 참고문헌 및 적용규준
2.2 구조재료
2.3 건물개요
2.4 층별 용도 및 면적
3.설계하중
3.1 바닥하중
3.2 풍하중
3.3 지진하중
3.4 벽하중
4.구조평면도
4.1 지하층 B2 구조평면도
4.2 지하층 B1 구조평면도
4.3 지상층 1F 구조평면도
4.4 지상층 2F 구조평면도
4.5 지상층 3-10F 구조평면도
4.6 지상층 11F 구조평면도
5.주요부재 치수 및 Naming
5.1 지하층 Naming
5.2 지상층 Naming
5.3 주요부재 치수
6.구조해석 (Midas)
6.1 건물 골조도
6.2 Beam Diagram과 처짐도
6.3 기준층 모멘트도
6.4 보 상세
6.5 구조체 변형도
7.검토
7.1 하중저항
7.2 안정성 검토
7.3 Case-Study (Core 추가)
8.설계
8.1 슬래브 설계
8.2 보 설계
8.3 기둥 설계
8.4 기초 설계
9. 배근도 및 상세
9.1 수계산에 의한 배근도
9.2 Midas에 의한 배근도
10. 부록
10.1 용어정리
10.2 주요기호
본문내용
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가적인 공기력이 건축물의 감쇠력에 필적하여 진동계 전체의 감쇠가 작아지거나 감소함에 따라 진동이 증대되거나 발산하는 현상
구조골조 설계용 풍하중 : 건축물의 구조골조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기본풍속 : 노풍도구분 C인 지역의 지표면으로부터 10m 높이에서 측정한 10분간 평균퐁속에 대한 100년
재현기대풍속으로 대지형의 영향을 고려하여 정한 풍속
기준경도풍높이 : 지표면의 조도에 대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일정한 풍속이 되는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내력벽방식 : 수직하중과 횡력을 전단벽이 부담하는 구조방식
노풍도구분 : 지표면의 지표면의 거칠기 상태로 일정지역의 지표면 거칠기에 해당하는 장애물이 바람에
노출된 정도의 구분
대기경계층의 시작높이 : 지표면의 영향을 받아 연직방향의 풍속이 변화하는 대기층의 시작이 되는 높이를 말한다. 그 높이 이하에서는 노풍도 구분에 따라 일정풍속으로 한다.
모멘트 골조 방식 : 수직하중과 횡력을 보와 기둥으로 구성된 라멘골조가 저항하는 구조 방식
밑면 : 지반운동에 의한 수평지진력이 작용하는 기준면
밑면전단력 : 구조물의 밑면에 작용하는 설계용 총 전단력
보통모멘트골조 : 연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한 0306.2.6.1과 0306.2.6.2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골조
부착물 : 구성요소나 그 지지물을 구조물의 내진시스템에 연결하거나 견고하게 하는 장치
부하면적 : 연직하중전달 구조보재가 분담하는 하중의 크기를 바닥면적으로 나타낸 것
비구조부재 : 차양, 장식탑, 비내력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조해석에서 제외되는 건축물 구성부재
비틀림진동 : 난류의 비정상적 운동 및 박리로 인해 건축물에 불안정하게 비틀림이 유발되는 진동 형태
설계풍속 : 기본풍속에 대하여 건설지점의 지표면상태에 따른 풍속의 고도분포와 지형조건에 따른 풍속의
할증 및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른 설계재현기간을 고려한 풍속으로 설계속도압 산정의 기본풍속
설계속도압 : 건축물 설계용 풍하둥을 결정하기 위한 평균풍속의 등가정적속도압
설계스펙트럼가속도 : 설계지진에 대한 단주기와 주기 1초에서의 응답 스펙트럼 가속도
수집재 : 구조물의 일부분으로부터 횡력저항 시스템의 수직요소로 횡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부재 혹은 요소
연성모멘트골조방식 :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증가시킨 모멘트골조방식
영향면적 : 연직하중전달 구조부재에 미치는 하중영향을 바닥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기둥 또는 기초의 경우에는 부하면적의 4배, 큰 보 또는 작은 보의 경우에는 부하면적의 2배를 각각 적용한다.
와류진동 : 건축물주변의 와류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진동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 건축물의 외장재, 마감재 및 그 바탕 구조재와 그 접합부 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유연구조물 : 바람과 구조물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부가적인 하중이 발생하는 바람에 민감한 구조물로 동적효과가 고려된 가스트 영향계수를 사용해야하며 건축물의 형상비에 따라 구분된다.
유효수압면적 : 풍하중을 산정 하는데 기본이 되는 유효면적으로 풍방향직각에 대한 투영면적, 다만 외장재의 경우에는 외장재 하중분담 표면적
이중골조방식 : 횡력의 25%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
재현기간 : 일정규모의 바람이 다시 내습할 때까지의 통계적 기간 년 수
저감계수 : 영향면적에 따른 저감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적재하중에 곱하는 계수
전단벽 : 벽면에 평행한 횡력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벽
중요도계수 : 내진중요도그룹에 따라 각각의 구조물에 부여된 계수
지반종류 : 공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지반을 분류하는 등급
지붕골조 설계용 풍하중 : 선축물의 지붕골조 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지진력 : 지진운동에 의한 구조물의 응답에 대하여 구조물과 그 구성요소를 설계하기 위하여 결된 힘
지진력 저항 시스템 : 정해진 지진력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골조시스템
지진지역 : 동일한 지진 위험도에 따라 분류한 지역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 : 언덕 및 산 경사지의 정점부근에서 풍속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정점부근의풍속을 증가시키는 계수
층간변위 : 인접층 사이의 상대 수평변위
층간변위각 : 층간변위를 층 높이로 나눈 값
층지진하중 : 밑면전단력을 건축물의 각 층별로 분포시킨 하중
풍상측 : 바람이 불어와서 맞닿는 측
풍하측 : 바람이 불어와 맞닿는 측의 반대 측으로 바람이 빠져나가는 측
풍력계수 :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구조물 골조에 작용하는 풍력을 나타내는 계수
풍압계수 :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건축물 임의 수압면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풍압력을 나타내는 계수
풍직각방향진동 : 난류의 비정상적인 운동 및 건축물 배후면 양측에서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바람 부는 직각 방향으로 유발되는 건축물의 진동 형태
활성단층 : 지난 11,000년(충적세) 동안 지진활동의 지질학적 증거나, 역사적으로 연 평균 1mm 이상의미끄러짐이 있는 단층
10.2 주요기호
A : 영향면적 (단, Am²)
A : 유효수압면적
A : 지역계수
A : 부하면적
C : 영향면적에 따른 저감계수
Cpe1 : 풍상측 외압계수
Cpe2 : 풍하측 외압계수
Fi : I 층의 지진하중
Fp : 횡지진 하중
Gf : 구조골조 및 지붕골조 설계용 가스트 영향계수
IE : 중요도 계수
Iw : 건축물의 중요도 계수
Kzr : 풍속의 고도분포계수
Kzt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
L : 건축물의 풍향방향 치수, 깊이 또는 독립 편지붕에서 풍향방향 지붕치수 (m)
R : 반응수정계수
S : 지반계수
T : 건축물의 기본진동주기(초)
V : 밑면전단력
V0 : 기본풍속, m/s
Vx : x층의 층전단력
Vz : 지표면으로부터 임의높이 Z에 따른 설계풍속, m/s
W : 건물의 전 중량
Wf : 구조골조 설계용 풍하중, N/m²
Wi , Wx : ⅰ, x층의 건축물 중량
Z : 지표면에서의 임의 높이, m
Zb : 대기경계층의 시작높이, m
Zg : 기준경도풍 높이, m
구조골조 설계용 풍하중 : 건축물의 구조골조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기본풍속 : 노풍도구분 C인 지역의 지표면으로부터 10m 높이에서 측정한 10분간 평균퐁속에 대한 100년
재현기대풍속으로 대지형의 영향을 고려하여 정한 풍속
기준경도풍높이 : 지표면의 조도에 대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일정한 풍속이 되는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내력벽방식 : 수직하중과 횡력을 전단벽이 부담하는 구조방식
노풍도구분 : 지표면의 지표면의 거칠기 상태로 일정지역의 지표면 거칠기에 해당하는 장애물이 바람에
노출된 정도의 구분
대기경계층의 시작높이 : 지표면의 영향을 받아 연직방향의 풍속이 변화하는 대기층의 시작이 되는 높이를 말한다. 그 높이 이하에서는 노풍도 구분에 따라 일정풍속으로 한다.
모멘트 골조 방식 : 수직하중과 횡력을 보와 기둥으로 구성된 라멘골조가 저항하는 구조 방식
밑면 : 지반운동에 의한 수평지진력이 작용하는 기준면
밑면전단력 : 구조물의 밑면에 작용하는 설계용 총 전단력
보통모멘트골조 : 연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한 0306.2.6.1과 0306.2.6.2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골조
부착물 : 구성요소나 그 지지물을 구조물의 내진시스템에 연결하거나 견고하게 하는 장치
부하면적 : 연직하중전달 구조보재가 분담하는 하중의 크기를 바닥면적으로 나타낸 것
비구조부재 : 차양, 장식탑, 비내력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조해석에서 제외되는 건축물 구성부재
비틀림진동 : 난류의 비정상적 운동 및 박리로 인해 건축물에 불안정하게 비틀림이 유발되는 진동 형태
설계풍속 : 기본풍속에 대하여 건설지점의 지표면상태에 따른 풍속의 고도분포와 지형조건에 따른 풍속의
할증 및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른 설계재현기간을 고려한 풍속으로 설계속도압 산정의 기본풍속
설계속도압 : 건축물 설계용 풍하둥을 결정하기 위한 평균풍속의 등가정적속도압
설계스펙트럼가속도 : 설계지진에 대한 단주기와 주기 1초에서의 응답 스펙트럼 가속도
수집재 : 구조물의 일부분으로부터 횡력저항 시스템의 수직요소로 횡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부재 혹은 요소
연성모멘트골조방식 :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증가시킨 모멘트골조방식
영향면적 : 연직하중전달 구조부재에 미치는 하중영향을 바닥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기둥 또는 기초의 경우에는 부하면적의 4배, 큰 보 또는 작은 보의 경우에는 부하면적의 2배를 각각 적용한다.
와류진동 : 건축물주변의 와류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진동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 : 건축물의 외장재, 마감재 및 그 바탕 구조재와 그 접합부 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유연구조물 : 바람과 구조물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부가적인 하중이 발생하는 바람에 민감한 구조물로 동적효과가 고려된 가스트 영향계수를 사용해야하며 건축물의 형상비에 따라 구분된다.
유효수압면적 : 풍하중을 산정 하는데 기본이 되는 유효면적으로 풍방향직각에 대한 투영면적, 다만 외장재의 경우에는 외장재 하중분담 표면적
이중골조방식 : 횡력의 25%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
재현기간 : 일정규모의 바람이 다시 내습할 때까지의 통계적 기간 년 수
저감계수 : 영향면적에 따른 저감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적재하중에 곱하는 계수
전단벽 : 벽면에 평행한 횡력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벽
중요도계수 : 내진중요도그룹에 따라 각각의 구조물에 부여된 계수
지반종류 : 공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지반을 분류하는 등급
지붕골조 설계용 풍하중 : 선축물의 지붕골조 설계에 사용되는 풍하중
지진력 : 지진운동에 의한 구조물의 응답에 대하여 구조물과 그 구성요소를 설계하기 위하여 결된 힘
지진력 저항 시스템 : 정해진 지진력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골조시스템
지진지역 : 동일한 지진 위험도에 따라 분류한 지역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 : 언덕 및 산 경사지의 정점부근에서 풍속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정점부근의풍속을 증가시키는 계수
층간변위 : 인접층 사이의 상대 수평변위
층간변위각 : 층간변위를 층 높이로 나눈 값
층지진하중 : 밑면전단력을 건축물의 각 층별로 분포시킨 하중
풍상측 : 바람이 불어와서 맞닿는 측
풍하측 : 바람이 불어와 맞닿는 측의 반대 측으로 바람이 빠져나가는 측
풍력계수 :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구조물 골조에 작용하는 풍력을 나타내는 계수
풍압계수 :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건축물 임의 수압면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풍압력을 나타내는 계수
풍직각방향진동 : 난류의 비정상적인 운동 및 건축물 배후면 양측에서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바람 부는 직각 방향으로 유발되는 건축물의 진동 형태
활성단층 : 지난 11,000년(충적세) 동안 지진활동의 지질학적 증거나, 역사적으로 연 평균 1mm 이상의미끄러짐이 있는 단층
10.2 주요기호
A : 영향면적 (단, Am²)
A : 유효수압면적
A : 지역계수
A : 부하면적
C : 영향면적에 따른 저감계수
Cpe1 : 풍상측 외압계수
Cpe2 : 풍하측 외압계수
Fi : I 층의 지진하중
Fp : 횡지진 하중
Gf : 구조골조 및 지붕골조 설계용 가스트 영향계수
IE : 중요도 계수
Iw : 건축물의 중요도 계수
Kzr : 풍속의 고도분포계수
Kzt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
L : 건축물의 풍향방향 치수, 깊이 또는 독립 편지붕에서 풍향방향 지붕치수 (m)
R : 반응수정계수
S : 지반계수
T : 건축물의 기본진동주기(초)
V : 밑면전단력
V0 : 기본풍속, m/s
Vx : x층의 층전단력
Vz : 지표면으로부터 임의높이 Z에 따른 설계풍속, m/s
W : 건물의 전 중량
Wf : 구조골조 설계용 풍하중, N/m²
Wi , Wx : ⅰ, x층의 건축물 중량
Z : 지표면에서의 임의 높이, m
Zb : 대기경계층의 시작높이, m
Zg : 기준경도풍 높이, m
추천자료
[창의적 공학설계] 설계 사양 프로젝트 - 새차 구입
창의공학설계 - 트러스제작 ( 아이디어제안) - 1주차
창의공학설계 - 트러스 제작( 아이디어 개선) 2주차
친환경 건축의 원리와 설계
모형 풍력발전기 공학설계 보고서
[건축설계][내진설계][시공상세도면][설계도서][기술자][기후]건축설계의 진행방법, 건축설계...
공학설계 - TRIZ 기법
창의적 공학설계 - 대한민국의 도심교통대란을 일으키는 문제점들
창의적 공학설계 - Account Balance Check carD[ABCD]
창의적 공학설계 - 톱니바퀴
창의적 공학설계 - Concept Design[여성 및 안전을 위한 자동차]
[기초공학설계] 서브 모터에 대한 실습 - 부품설명, 소프트웨어 설명, 회로 동작 설명
[공학입문설계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레고마인드스톰(Lego Mind storms) NXT를 사용한 라...
[레포트]진동공학 Term project 지진계의 원리 및 설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