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 시대 구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사 시대 구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도를 시대 구분 기준으로 삼은 이유

2. 시대 구분

3. 시대 구분을 마치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고려한 것이 중심대를 세우는 일이었다.
북경은 크게 2개 부분으로 세분해서는 4개 부분으로 나눌 수가 있다. 몽고인들인 만든 내성 그리고 내성 안에 황성, 다시 그 안에 자금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명대에 이르러 아래쪽에 외성을 건축하여 4개 부분이 완성되었다. 내성과 외성은 성벽과 성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황성과 자금성은 우아한 건물들로 채워져 있다. 박경복,「중국(中國)의 상상적(想像的) 환경(環境) -북경(北京)의 역사문화경관(歷史文化景觀)을 중심(中心)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008, p.47
그림 2,3,4,5 위의 논문에서 인용
4. 시대 구분을 마치며
한 국가에게 있어 수도의 위치가 무척이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는 하지만 수도를 시대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왕조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중국의 역대 왕조는 그 어느 나라보다도 복잡하기 때문에 수도가 기준이 되기에는 큰 무리가 있었다. 그렇지만 어느 기준을 선택한다고 하더라도 중국의 영토 내에 존재하였던 국가들을 모두 반영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수도를 기준으로 삼아 시대구분을 함으로써 중국의 지리적 특징과 정치적 측면을 연결시켜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중국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 수도를 기준으로 하면서 시대 이름에 그 명칭을 직접 담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똑같은 장소일지라도 시대에 따라 그 명칭이 다를 뿐만 아니라 한 왕조 내에서도 수도가 여러 번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성을 따서 시대를 구분하였을 때에는
수도가 바뀌어도 특정한 성 안에서 바뀌는 경우가 많아 일일이 수도 위치를 쓸 필요도 없고 현재 사용되는 명칭을 사용하여 현대의 사람들에게 친숙한 느낌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시대 이름이 중첩되기는 하였지만 수도가 중요한 곳인 만큼 수도가 될 수 있는 지역은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중복되는 시대 이름을 통해 수도로써 가지는 그 지역의 이점을 강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도의 위치는 많은 숙고 아래 결정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5. 참고 문헌
김지희, 『문명의 숲, 중국을 가다』, 즐거운 상상, 2008
신채호, 『東洋史槪論』, 삼영사, 2007,
주융 지음(김양수 옮김), 『베이징을 걷다』, 미래인, 2008
유객주, 「중국도시사 특집호 : 논문 ; 북위 낙양성의 고고(考古) 발견과 연구 -중국 고대 도성 발전사에서의 북위 낙양성의 위치에 대하여 겸담-」,『중국사학회』,2008
박한제, 「혼진남북조시대 각 왕조의 수도 선정과 그 의미 - 낙양과 업도 -」, 『역사학 회』, 2000
신성곤, 「서평: 장안은 어떻게 수도가 되었나」, 『대한건축학회』, 2007
김성규, 「북송의 개봉과 외교」, 『중국사학회』, 2001
쎄오 다스히코, 「中國歷代都市圖의 變遷 - 이미지와 현실」,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 소』, 2008
박경복,「중국(中國)의 상상적(想像的) 환경(環境) -북경(北京)의 역사문화경관(歷史文化景 觀)을 중심(中心)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008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0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