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한국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와 한국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의 정의
2. 한국문화와 기독교의 단절 문제
1) 역사적인 문제
2) 기독교의 토착화의 문제
3. 해결방안의 모색
Ⅲ. 결론

본문내용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언제나 결론은 정해져있다. 사람들의 인식 바꾸기. 종교지도자들의 한국문화 이해하기.
내가 이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음악 전공자로써 우리문화가 좀더 발전했으면 하는 바람에서였다. 작년인가 재작년, 학교 선생님이 종묘제례 반주음악인 “종묘제례악”을 공연하신다고 하셔서 종묘에서 거행되는 종묘제례를 보러 간 적이 있다. 그 때 나는 기독교인으로서 굉장한 수치심을 느꼈다. 무형문화재 제 1호로 선정되어 중요한 국가적 행사로 볼 수 있는 종묘제례 옆에서 행사를 방해하며 10명의 무리들이 찬송가를 부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외국인 관광객들도 많았고 여러 매체에서도 촬영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그 기독교인들은 아무 거리낌 없이 찬송가를 소리 높여 부르고 있었다. 기독교인이지만 한국음악을 전공하는 입장에서 나는 문화는 그냥 문화로만 봐줬으면 좋겠는데 그것을 굳이 비기독교적 행사로 생각하여 방해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기독교인으로써 또 한국문화를 지켜나가는 전공자로써의 기독교의 문화도 중요하지만 기독교 문화가 꽃피울 수 있는 토양의 한국 문화도 존중해 주는 것이 기독교의 책임과 의무라고 생각하며 과제를 마친다.
<참고자료>
“한국의 문화와 신학”, 기독교사상 편집부 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종교와 문화의 사이공간과 선교”, 정성하, 서울: 한들출판사, 2004
“한국 문화와 교육의 실제에 관한 연구”, 강윤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1
http://www.hyanglin.or.kr/ 강남향린교회 홈페이지
http://soombat.org/ 김경재 교수님 홈페이지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