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E 유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ow E 유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구 분

1.도입배경

2. Low E 유리란?

3.Low E 유리의 원리

4.일반유리 vs Low E 유리

5.Low E 유리 제법

6.시장성 및 경제성

7.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프트 로이 코팅방법은 기 생산된 플로트 판유리를 진공 챔버 내 금속타겟이 설치된 별도의 가공 라인에서 Ag, Titanium, 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다층 박막 코팅시켜 생산된다.
소프트 로이 코팅의 장점은 투명도가 높고, 여러 가지 금속 사용으로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며, 광학성능 및 열적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하드코팅 대비 코팅경도 및 내구성이 약하고, 복층유리 제작 시 금속 코팅 막 산화방지를 위해 모서리의 코팅 막을 제거하는 공정(edge stripping process)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복층유리의 외부쪽 유리와 내부쪽 유리 온도차에서 발생되는 열 교환현상을 막아 결로현상과 냉복사 현상을 억제하여 단열효과를 높여준다.
<일반 복층유리와 아르곤가스 주입시의 차이점>
* 유리의 단열성능
유리종류
창틀 및 문틀의 종류별 열관류율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
열교차단재 미적용
열교차단재 적용
유리의 공기층 두께 (mm)
6
12
6
12
6
12
6
12
복층유리
4.49
3.80
3.60
3.30
3.30
3.00
3.30
3.00
복층유리(Low-E)
3.70
3.20
3.10
2.60
2.90
2.40
2.90
2.40
복층유리(Ar주입)
4.00
3.70
3.37
3.20
3.10
2.90
3.10
2.90
복층유리(Ar주입+Low-E)
3.37
2.90
2.80
2.40
2.60
2.20
2.60
2.20
단창
6.60
6.10
5.30
5.30
주) 열교차단제 : 창호의 금속프레임 외부 및 내부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염화비닐 등 단열성을 가진 재료로서 외부로의 열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유리의 성능 제한요소>
<가시광선투과율과 차폐계수와의 관계>
가시광선 투과율과 차폐계수는 서로 비례하므로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태양에너지의 유입차단)차폐계수가 낮은 유리를 사용하면 실내가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냉방부하를 줄이면서 동시에 자연광을 가능한 실내로 많이 유입하려면 투과율/차폐계수의 비가 큰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열관류율과 결로 발생 습도와의 관계>
열관류율 -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열이 이동하는 것 (열관류율이 작을수록 단열효과가 크며, 결로 방지에 효과적이다.)
겨울철 실내습도를 25에서 55% 이상으로 유지하기는 어려우나 실내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외기의 유입이 차단될 경우 열관류율이 1.5 이하이면 결로에 대해서는 안전하나 아르곤가스 주입시 열관류율이 1.3까지 내려갈 수 있음.
6.시장성 및 경제성
(1)Low E 유리의 시장성
세계 판유리 시장규모는 약 4천6백만 톤으로 추산되며, 약 55억㎡에 해당한다. 또한 1차 제조 수준에서 시장의 가치는 약 2백30억 달러로 추산된다. 가치 측면에서 시장은 연간 약 4%씩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2010년 전 세계 판유리 수요는 연간 5.3%의성장률로61억㎡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판유리 생산량은 연간 5.5%의 성장률로 566억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설비 가동률은 93%로 추산한다. 세계 판유리 시장은 전체적으로 생산 능력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태이나 지역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아시아지역의 생산능력 초과현상은 대부분 중국의 생산설비 급증에 원인이 있다.
제품개발기술의 경우, 제품을 생산하지 않는 것은 시장성의 문제도 있으므로 기술수준의 차이라고만 일방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신제품이 많으므로 어느 정도 기술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유리의 경쟁력 비교에서 가격, 품질, 기술력과 함께 중요한 분야인 마케팅 능력비교에서 한국의 마케팅경쟁력을 100으로 하여 국가별 마케팅경쟁력을 비교해 보면 태국, 필리핀이 80, 중국이 90 으로 한국보다 경쟁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이 110으로 한국보다 마케팅 경쟁력 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내 판유리산업은 대부분 원재료를 수입하여 제조하는 등 산업구조적인 취약점과 높은 인건비 등으로 가격경쟁력에서 이미 중국 및 동남아산에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분야별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국내판 유리산업은 일본, 프랑스,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여 가격, 품질, 기술, 마케팅 경쟁력 전 분야 중 가격분야에서만 비교 우위에 있고, 나머지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Low E 유리의 경제성
로이유리의 초기 투자비용은 일반유리에 비해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실제로 일반 복층유리로 만든 창호 대비 로이 복층유리창호의 가격은 약 20% 비싸고, 이는 아파트 1가구를 짓는 총공사비에는 단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에 따르면 공동주택 32평형 1가구에서 로이 복층유리를 사용하면 일반 복층유리에 비해 연간 18만2000원의 난방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품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32평형 공동주택 1가구에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30%에서 로이유리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일반복층유리 대신 로이유리를 설치할 경우 약 3.6년이면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7.참고문헌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ste Glass as Feed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Foamed Glass / 이철태/ 공업화학 저널/ 2005/ p440-448
Effect of composition changes in glasses on the strength and shade of alumina-glass composites / 최희식 박일송 원대희 이민호 배태성 진영철/ 齒科器材學會誌/ 2001/ p13-14
http://blog.naver.com/yoookhms?Redirect=Log&logNo=120062977320
http://blog.naver.com/greenwoodpan?Redirect=Log&logNo=150072818127
http://blog.naver.com/nshome2006?Redirect=Log&logNo=140052017449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1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