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ontents -
디자인 요소
1.개념 요소(Conceptual Element)
2.시각 요소(Visual Element)
3.상관 요소
4.실제 요소
디자인 원리
1.조화(Harmony)
2.통일(Unity)과 변화(Variety)
3.강조와 대비(Contrast)
4.율동(Rhythm)
형태의 분류 및 특징
1.이념적 형태
2.현실적 형태
디자인 요소
1.개념 요소(Conceptual Element)
2.시각 요소(Visual Element)
3.상관 요소
4.실제 요소
디자인 원리
1.조화(Harmony)
2.통일(Unity)과 변화(Variety)
3.강조와 대비(Contrast)
4.율동(Rhythm)
형태의 분류 및 특징
1.이념적 형태
2.현실적 형태
본문내용
정한 형식과 질서를 갖는 것으로서 하나의 \'규칙\'에 해당되며,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을 하나로 묶어 준다. 통일성을 주는 방법으로는 근접, 반복, 연속 등을 들 수 있다.
2)변화
화면안의 구성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통일성에서 오는 지루함을 없앨 수 있는 원리를 말한다. 이런 변화는 시각적으로 자극을 주어 흥미와 재미를 부여할 수 있다.
3)균형(Balance)
균형이란 시각적인 무게감을 동등한 분배로 구성하여 안정감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즉, 여러 요소들 간의 보충적인 관계로 긴장감과 안정감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균형에는 대칭과 비대칭, 비례 등이 있다.
4)대칭(Symmetry)
균제, 상칭이라고도 하며, 균형 중에 가장 단순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 중앙의 기준을 중심으로 양쪽에 같은 형태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대칭은 정지, 안정, 엄숙, 정적인 느낌을 주며, 너무 경직되고 형식적으로 치우치게 된다. 인체, 동물, 식물, 기계 등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대칭의 종류로는 선대칭, 방사 대칭, 이동 대칭, 확대 대칭 등이 있다.
①대칭의 종류
·선 대칭: 대칭축을 중심으로 좌우나 상하가 같은 형태가 되는 것으로, 두 형을 서로 겹치면 포개진다
·방사 대칭:도형을 한 점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생기는 방사상의 도형
·이동 대칭: 도형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평행으로 이동했을 때 생기는 형태
·확대 대칭: 도형이 일정한 비율과 크기로 확대되는 형태
5)비대칭(Asymmetry)
비형식적인 균형이라고도 하며, 서로 비슷하지 않는 요소들이 시각적인 비중이 안정되어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비대칭은 대칭보다 개성적이고, 감각적인 느낌을 주므로 그 활용도가 높다. 색채, 명도, 형태, 텍스쳐, 위치, 방향 등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난다.
6)비례(Proportion)
비율이라고도 하며,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말한다. 즉,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의 수량적 관계와 면적과 길이의 대비 관계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인체비례, 황금비례, 모듈러의 개념 등이 있다.
① 인체비례
인체 각부의 비례 관계를 말하며, 우리는 인체비례에 대하여 정신적이며 추상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다.
② 황금비례(Golden Section)
보통 황금 분활 또는 황금비라고 한다. 그리스 시대부터 미적인 비례의 전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신의 비례\' 라고 불리었다. 황금비례는 사각형으로 볼 때 가로 세로의 비율이 1:1,6184일 때를 말한다. 오늘날까지 기본적인 조형원리로서 디자인이나 회화의 구도를 결정하는 데 황금비가 많이 쓰이고 있다.
③ 모듈(모듈러의 개념)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가 우리 인체의 특성과 관계하여 만든 건축 공간의 기준 척도를 말한다. 이는 인체공학적인 건축물을 세우는데 아주 중요한 척도로 사용되었다.
④ 파보나치 수열
1,1,2,3,5,8,13,21,34,55,89,144,‥과 같이 수열에 의한 비례를 말한다. 이 수열은 앞의 두 항을 합하면 다음 항이 되는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이나 식물의 구조, 번식의 문제에서 많이 응용되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열의 비는 결국 황금비례를 이루게 된다.
⑤ 루트비
사각형의 한 변을 1로 했을 때 긴 변의 길이가 √2,√3,√5등의 무리수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A단위(A4,A3,A2...) 종이의 크기는 √2 직사각형의 비례를 모두 가지고 있다.
⑥ 금강비례
우리나라의 금강비례는 선사시대부터 전통 건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비례로 1:1,41의 비례를 갖는다. 금강비례는 루트비와 같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으며 황금비와 같이 우리나라의 미술 분야에서 관습적으로 이어져 온 비례이다.
3.강조와 대비(Contrast)
1)강조
화면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으로 한 가지 요소가 다른 많은 요소들과 다를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비, 분리, 배치, 색채에 의해서 표현되며, 시선을 집중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무성한 녹색 나뭇잎들 사이에서 핀 빨간 장미는 매우 강조되어 보인다.
2)대비
질적, 양적으로 서로 다른 요소들이 대립되는 현상을 말한다. 대비는 강조와 변화를 가져오므로 유동적이며, 강렬한 느낌을 준다. 예를 들어 강한 빛을 비추고 사진을 찍으면 음영대비가 심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4.율동(Rhythm)
율동은 유사한 형들이 일정한 규칙과 질서를 유지할 때 나타나는 느낌을 말한다. 이러한 율동은 정적인 대상이 가지는 시각적 운동감이며, 반복, 교차, 방사, 점이 등을 통하여 얻어진다.
1)반복과 교차
①반복
일정한 도형이나 구성에 주기적인 규칙이나 질서를 주었을 때 생기는 느낌을 말한다.대상의 의미나 내용을 강조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②교차
반복의 종류로서 두 개 이상의 요소를 서로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반복과 교차는 일정한 형식의 시각적 패턴을 만들어낸다. 반복을 통한 율동감은 형태, 색채, 방향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③방사
중심으로 방사되는 형태에서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2)점이(Gradation)
두 개 이상의 요소 사이에 형태나 색의 단계적인 변화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점이현상은 반복 효과보다 강한 느낌으로 동적인 느낌, 시각적인 경쾌한 율동감을 줄 수 있으며, 노을이나 초승달의 변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형태의 분류 및 특징
형태는 크게 이념적인 형태와 현실적인 형태로 구분되며, 현실적인 형태는 다시 자연형태와 인위형태로 구분된다.
1.이념적 형태
실제적인 지각으로 얻을 수 없는 순수형태, 기하학 형태, 추상형태를 말한다. 이념적 형태는 점, 선, 면, 입체의 기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2.현실적 형태
사람의 시각과 촉각을 통하여 실제적인 지각으로 얻을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현실적 형태에는 자연형태와 인위형태가 있다.
1)자연형태
자연물과 같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무생물과 생물형태로 구분한다.
2)인위형태
사람의 의사에 따라 만들어진 인공물이 가지는 형태를 말한다.
2)변화
화면안의 구성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통일성에서 오는 지루함을 없앨 수 있는 원리를 말한다. 이런 변화는 시각적으로 자극을 주어 흥미와 재미를 부여할 수 있다.
3)균형(Balance)
균형이란 시각적인 무게감을 동등한 분배로 구성하여 안정감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즉, 여러 요소들 간의 보충적인 관계로 긴장감과 안정감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균형에는 대칭과 비대칭, 비례 등이 있다.
4)대칭(Symmetry)
균제, 상칭이라고도 하며, 균형 중에 가장 단순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 중앙의 기준을 중심으로 양쪽에 같은 형태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대칭은 정지, 안정, 엄숙, 정적인 느낌을 주며, 너무 경직되고 형식적으로 치우치게 된다. 인체, 동물, 식물, 기계 등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대칭의 종류로는 선대칭, 방사 대칭, 이동 대칭, 확대 대칭 등이 있다.
①대칭의 종류
·선 대칭: 대칭축을 중심으로 좌우나 상하가 같은 형태가 되는 것으로, 두 형을 서로 겹치면 포개진다
·방사 대칭:도형을 한 점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생기는 방사상의 도형
·이동 대칭: 도형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평행으로 이동했을 때 생기는 형태
·확대 대칭: 도형이 일정한 비율과 크기로 확대되는 형태
5)비대칭(Asymmetry)
비형식적인 균형이라고도 하며, 서로 비슷하지 않는 요소들이 시각적인 비중이 안정되어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비대칭은 대칭보다 개성적이고, 감각적인 느낌을 주므로 그 활용도가 높다. 색채, 명도, 형태, 텍스쳐, 위치, 방향 등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난다.
6)비례(Proportion)
비율이라고도 하며,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말한다. 즉,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의 수량적 관계와 면적과 길이의 대비 관계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인체비례, 황금비례, 모듈러의 개념 등이 있다.
① 인체비례
인체 각부의 비례 관계를 말하며, 우리는 인체비례에 대하여 정신적이며 추상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다.
② 황금비례(Golden Section)
보통 황금 분활 또는 황금비라고 한다. 그리스 시대부터 미적인 비례의 전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신의 비례\' 라고 불리었다. 황금비례는 사각형으로 볼 때 가로 세로의 비율이 1:1,6184일 때를 말한다. 오늘날까지 기본적인 조형원리로서 디자인이나 회화의 구도를 결정하는 데 황금비가 많이 쓰이고 있다.
③ 모듈(모듈러의 개념)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가 우리 인체의 특성과 관계하여 만든 건축 공간의 기준 척도를 말한다. 이는 인체공학적인 건축물을 세우는데 아주 중요한 척도로 사용되었다.
④ 파보나치 수열
1,1,2,3,5,8,13,21,34,55,89,144,‥과 같이 수열에 의한 비례를 말한다. 이 수열은 앞의 두 항을 합하면 다음 항이 되는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이나 식물의 구조, 번식의 문제에서 많이 응용되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열의 비는 결국 황금비례를 이루게 된다.
⑤ 루트비
사각형의 한 변을 1로 했을 때 긴 변의 길이가 √2,√3,√5등의 무리수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A단위(A4,A3,A2...) 종이의 크기는 √2 직사각형의 비례를 모두 가지고 있다.
⑥ 금강비례
우리나라의 금강비례는 선사시대부터 전통 건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비례로 1:1,41의 비례를 갖는다. 금강비례는 루트비와 같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으며 황금비와 같이 우리나라의 미술 분야에서 관습적으로 이어져 온 비례이다.
3.강조와 대비(Contrast)
1)강조
화면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으로 한 가지 요소가 다른 많은 요소들과 다를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비, 분리, 배치, 색채에 의해서 표현되며, 시선을 집중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무성한 녹색 나뭇잎들 사이에서 핀 빨간 장미는 매우 강조되어 보인다.
2)대비
질적, 양적으로 서로 다른 요소들이 대립되는 현상을 말한다. 대비는 강조와 변화를 가져오므로 유동적이며, 강렬한 느낌을 준다. 예를 들어 강한 빛을 비추고 사진을 찍으면 음영대비가 심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4.율동(Rhythm)
율동은 유사한 형들이 일정한 규칙과 질서를 유지할 때 나타나는 느낌을 말한다. 이러한 율동은 정적인 대상이 가지는 시각적 운동감이며, 반복, 교차, 방사, 점이 등을 통하여 얻어진다.
1)반복과 교차
①반복
일정한 도형이나 구성에 주기적인 규칙이나 질서를 주었을 때 생기는 느낌을 말한다.대상의 의미나 내용을 강조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②교차
반복의 종류로서 두 개 이상의 요소를 서로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반복과 교차는 일정한 형식의 시각적 패턴을 만들어낸다. 반복을 통한 율동감은 형태, 색채, 방향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③방사
중심으로 방사되는 형태에서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2)점이(Gradation)
두 개 이상의 요소 사이에 형태나 색의 단계적인 변화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점이현상은 반복 효과보다 강한 느낌으로 동적인 느낌, 시각적인 경쾌한 율동감을 줄 수 있으며, 노을이나 초승달의 변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형태의 분류 및 특징
형태는 크게 이념적인 형태와 현실적인 형태로 구분되며, 현실적인 형태는 다시 자연형태와 인위형태로 구분된다.
1.이념적 형태
실제적인 지각으로 얻을 수 없는 순수형태, 기하학 형태, 추상형태를 말한다. 이념적 형태는 점, 선, 면, 입체의 기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2.현실적 형태
사람의 시각과 촉각을 통하여 실제적인 지각으로 얻을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현실적 형태에는 자연형태와 인위형태가 있다.
1)자연형태
자연물과 같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무생물과 생물형태로 구분한다.
2)인위형태
사람의 의사에 따라 만들어진 인공물이 가지는 형태를 말한다.
추천자료
실내 디자인 _ 생활 디자인
(저작권법)화상디자인의 디자인보호법상의 보호와 필요성
디자인-건축관련
[생활과 디자인] 건축 디자인에 관한 발표자료 (HWP)
21세기 디자인 경영시대의 메뉴의 디자인 전략
[인테리어 디자인][인테리어][디자인][디자이너]인테리어 디자인의 개념, 인테리어 디자인의 ...
자카드 직물 디자인의 이해와 디자인 트렌드 분석
실내 디자인의 역사&트렌드와 가구회사의 실내 디자인 시장 전략 고찰
(패션디자인A형)복식디자인 요소 중 선과 색채에서 각 항목에 해당되는 사례의 사진이나 그림...
디자인혁신 기업의 성공전략 및 성공사례 분석
[도서관건축][도서관건축의 계획수립][도서관건축의 디자인][도서관건축의 개선과제]도서관건...
[기술개발사업]기술개발사업과 나노핵심기반기술, 디자인기반기술, 기술개발사업과 산업디자...
[일본, 예능, 공예, 미술, 디자인, 민화(우키요에), 영화]일본의 예능, 일본의 공예, 일본의 ...
나홀로 세대의 증가와 소형 리빙공간의 디자인 -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소형 리빙공간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