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서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쁜 사마리아인들 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나쁜 사마리아인들의 책정리
1) 신자유주의는 개발에 관한 이론인가?
2) 경제적 발전국은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3)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신자유주의
3. 개발도상국의 사례를 통한 책의 음미

본문내용

무를 누적시키며, 결국, 국제기구의 도움을 받고, 신자유주의적 모델로 경제발전모델을 전환하게 되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에서 지나게 신자유주의적으로 치우친 정책으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나고, 이후, 칠레와 아르헨티나는 국가의 개입을 도입하게 된다. 이 사례에서 드러난 신자유주의의 부작용은 저자가 말하는 신자유주의로 인한 외국자본에 의한 경제주권의 약화, 민영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혼란, 그리고 중간재와 자본재의 수입의 증가로 인한 국제수지의 악화로 말할 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과 <<나쁜 사마리아들>>의 주장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실제의 현실에 대해서 이 책이 설명력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따라서 이 책의 주장이 현실의 개발도상국에게 있어서 실질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장하준, 2007, 나쁜 사마리아인들, 부키
-임현진, 2007, 비교발전경험에서 본 박정희의 유신체제 (2): 중남미 경험에 비춘 역학과 모순 ,세계지역연구논총, Vol.25, No.1,한국세계지역학회
-하상섭, 2007, 페론이즘의 변천과 아르헨티나 경제모델의 평가 및 전망, [KIEP] 연구자료 - 지역연구시리즈 07-1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12.21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