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시의 기원과 형성 및 발전
1) 도시의 개념
2) 도시의 기원
3) 도시의 형성 및 발전
1) 도시의 개념
2) 도시의 기원
3) 도시의 형성 및 발전
본문내용
나타났다. 그래서 북유럽에서는 도시와 농촌이 별개의 법 영역이고 대립한데 반하여, 이탈리아와 남부프랑스에서는 농촌전체가 도시에 종속되는 경향으로 나아갔다.
코뮌운동의 본직은 일정한 연령에 달한 남자 시민 전체에 의한 서약단체인 점에 있고 그 사상적 근거는 수도원 생활의 원리 및 그리스도교의 ‘신의 평화’라는 사상에 있다고 생각되나 그 운동의 중심을 이룬 것은 상인길드의 유력자들이었다. 따라서 코뮌운동이 일어난 시기에 부유한 상인들이 시정을 담당하고 시 참사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2) 코뮌의 성격
#20
코뮌의 결성을 계기로 해서 중세도시는 처음으로 도시영주의 지배에서 벗어나서 시민계급의 실력을 정치·법제면에 구현하게 되었다. 황제, 국왕 또는 도시영주로부터 획득한 자유와 자치권은 한 개인이 아니라 시민전체에 부여된 것이었다. 즉 시민전체가 집단적으로 권리를 인정받은 법인으로 도시자체가 봉건제후인 백과 같은 지위를 보유했다. 도시당국은 도시전체의 이익을 위해 도시민을 여러 가지로 구속했다. 도시의 자유는 시민 개개인의 자유라기 보다는 도시 전체가 획득한 자유였기 때문에 도시는 시민을 구속했던 것이다. 이리하여 도시는 봉건사회 안에서 독립된 상공업자의 생활공동체로 봉건영주의 장원과 같은 것 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는 장원과 달리 민주적인 사회를 형성했다. 도시의 내부는 경제적인 불평등을 지니고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도시영주의 경제적·경제외적 지배권에서 벗어난 동질적인 자유민의 사회, 즉 시민의 사회가 되었다. 시민은 시장을 공동가계의 중심으로 생각했고, 도시의 성벽은 공동방위의 상징이었으며 영주가 지배하는 농촌과는 별개의 특수법 영역의 상징이기도 했다. 그래서 도시는 영주의 지배하에 있는 농촌장원에 있는 농노들의 도피처가 되었다.
#21
중세도시에서는 시민가운데서 시장이 선출되었고 시 참사회라는 독자적인 행정기관이 있었다. 도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도시법도 제정되었다. 코뮌도시이래 도시영주를 대신해서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도시귀족이 시장을 비롯해서 시 참사회의 자리를 독점했고 그들의 이해에 따라 시정을 과두 전적으로 지배했다.
이러한 도시귀족층에 의한 과두 전제적 시정은 14·15세기에 강력한 도전을 받게 되었다. 지금까지 시정에서 배제되어 온 수공업자 계층은 경제력을 증진시켜 도시귀족의 지배에 저항해서 독자적인 공동체조직, 즉 수공업자 길드에 결집해서 시정의 민주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코뮌운동의 본직은 일정한 연령에 달한 남자 시민 전체에 의한 서약단체인 점에 있고 그 사상적 근거는 수도원 생활의 원리 및 그리스도교의 ‘신의 평화’라는 사상에 있다고 생각되나 그 운동의 중심을 이룬 것은 상인길드의 유력자들이었다. 따라서 코뮌운동이 일어난 시기에 부유한 상인들이 시정을 담당하고 시 참사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2) 코뮌의 성격
#20
코뮌의 결성을 계기로 해서 중세도시는 처음으로 도시영주의 지배에서 벗어나서 시민계급의 실력을 정치·법제면에 구현하게 되었다. 황제, 국왕 또는 도시영주로부터 획득한 자유와 자치권은 한 개인이 아니라 시민전체에 부여된 것이었다. 즉 시민전체가 집단적으로 권리를 인정받은 법인으로 도시자체가 봉건제후인 백과 같은 지위를 보유했다. 도시당국은 도시전체의 이익을 위해 도시민을 여러 가지로 구속했다. 도시의 자유는 시민 개개인의 자유라기 보다는 도시 전체가 획득한 자유였기 때문에 도시는 시민을 구속했던 것이다. 이리하여 도시는 봉건사회 안에서 독립된 상공업자의 생활공동체로 봉건영주의 장원과 같은 것 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는 장원과 달리 민주적인 사회를 형성했다. 도시의 내부는 경제적인 불평등을 지니고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도시영주의 경제적·경제외적 지배권에서 벗어난 동질적인 자유민의 사회, 즉 시민의 사회가 되었다. 시민은 시장을 공동가계의 중심으로 생각했고, 도시의 성벽은 공동방위의 상징이었으며 영주가 지배하는 농촌과는 별개의 특수법 영역의 상징이기도 했다. 그래서 도시는 영주의 지배하에 있는 농촌장원에 있는 농노들의 도피처가 되었다.
#21
중세도시에서는 시민가운데서 시장이 선출되었고 시 참사회라는 독자적인 행정기관이 있었다. 도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도시법도 제정되었다. 코뮌도시이래 도시영주를 대신해서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도시귀족이 시장을 비롯해서 시 참사회의 자리를 독점했고 그들의 이해에 따라 시정을 과두 전적으로 지배했다.
이러한 도시귀족층에 의한 과두 전제적 시정은 14·15세기에 강력한 도전을 받게 되었다. 지금까지 시정에서 배제되어 온 수공업자 계층은 경제력을 증진시켜 도시귀족의 지배에 저항해서 독자적인 공동체조직, 즉 수공업자 길드에 결집해서 시정의 민주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추천자료
[도시][도시공간 구성요소][도시 역사][한국 도시성장 단계][서구 도시화 사례]도시의 개념, ...
[도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재개발사업]도시재개발사업의 정의, 도시재개발사업의 목적, ...
[도시빈민][노동빈민]도시빈민(노동빈민)의 개념과 도시빈민(노동빈민)의 현황, 도시빈민(노...
[생태도시]지속 가능한 친환경 생태도시의 정의와 특징 이해, 환경친화적 생태도시의 기능과 ...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하는 이유 - 행정중심복합도시 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계획]행정중심복합도시의 원안과 현재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정안...
제주국제자유도시 및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교육기관설립의 주요내용, 제주국제자유도시 및 경...
[공원][도시공원][생태공원][소공원]공원(도시공원)의 정의, 공원(도시공원)의 유형분류, 공...
[도시계획][도시계획 구역지정][도시계획 계획인구][도시계획 환경성검토]도시계획의 정의, ...
68,창조도시,창조도시사례,보헤미안지수,창조도시론,볼로냐,엠셔파크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빌딩과 도시 사례 - 중국 광저우의 스마트빌딩: 펄 리버 타워(The Pearl...
<도시마케팅 - 하이 서울(Hi Seoul)의 마케팅전략> 도시마케팅 등장배경, 개념, &#8228;...
[기업도시][기업][도시][기업도시 의미]기업도시의 의미, 기업도시의 필요성, 기업도시의 부...
[평생교육론] 현재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도시 한곳을 선정해 평생학습 운영방식을 분석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