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골재를 이용한 굳지않은 콘크리트 레포트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순환골재(재생골재)
1.1 순환골재(재생골재)의 정의
1.2 순환골제(재생골재)의 제조공정
1.3 순환골재(재생골재)의 효과
1.4 재생골재의 문제점
1.5 순환골재의 품질관리
1.6 순환골재 품질기준
1.7 순환골재의 적용

2. 굳지않은 콘크리트
2.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2.2 슬럼프 시험
2.3 공기량 시험

3 경화 콘크리트(재령 3, 7일 압축강도)
3.1압축강도 시험
3.2 공시체 형상 및 치수의 영향
3.3 압축강도와 각종강도의 관계
3.4 건조수축
3.5 중성화

4. 실험 결과 및 분석

5. 실험 후 소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⑥ 증기양생은 건조수축을 감소시킴.
⑦ 부재의 크기가 클수록
⑧ 입도가 양호한 골재사용
⑨ 철근의 배치 및 시공이 좋을수록
⑩ 팽창 cement의 사용
3.5 중성화
(1) 정의
공기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수화반응시 발생된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여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을 약화시켜 철근을 부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파괴시키는 현상을 중성화라 한다.
(2) 중성화의 원리 및 판별 방법
-중성화의 원리
Ca(OH)2 + CO2 → CaCo3 + H20
-중성화 판별방법
①공시체의 파단면에 1% 페놀프탈레인-알콜 용액을 분무하여 변색의 여부를 관찰하여 판단함.
②중성화 시험 시 채취 공시체를 압축강도 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파쇄한 후 그 파단면에 용액을 분무하여 시험 함.
(3) 중성화 진행 시험 방법
①화학적 방법 (KS F 2545)
  골재의 규격을 0.15~0.30㎜로 만들어 수산화나트륨(NaOH) 표준액에 24시간 80℃로 침수시킨 후, NaOH용액의 알칼리농도 감소량 및 골재에서의 실리카 용출량을 측정하여 판정.
②모르타르봉 시험방법 (KS F 2546)
-시멘트와 골재의 배합에 따른 알카리 반응시험
-골재의 규격을 5㎜ 이하로 파쇄하여 입도조정한 후 전 알카리 함유량이 1.2%에 상당하는 시멘트를 혼합하여 4x4x16㎝ 의 모르타르 Bar를 만들어 온도 40℃, 습도 95%로 저장하여 재령 6개월에 대한 팽창율이 0.1% 미만의 경우에는 무해, 0.1% 이상은 유해하다고 판정
③압석분류 시험방법 (KS F 2548)
-암석의 물리적 및 화학적 시험방법
-암석 분류식 검사를 하여 알칼리-실리카반응 및 알칼리-탄산염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성분을 정량적 결정
(4) 영향요인
①시멘트
②골재
③혼화재료의 종류와 품성
④물 시멘트비
⑤단위 시멘트량
⑥공기 연행량
⑦공극률
⑧시공의 양부
⑨마감재의 적용여부
⑩환경 조건
(5) 억제방안
①콘크리트 품질이 치밀하고 견고하도록 함.
(조강,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사용 권장)
②고비중의 양질골재를 사용함.
③물시멘트비, 공기량, 세공량이 낮게 되도록 함.
④충분한 초기 야생을 함.
⑤피복두께를 충분히 산정함.
⑥적정한 표면 마감재를 사용함.
(6) 억제 대책
1)재료의 선정단계에서의 대책
-골재 알카리 잠재 반응성 시험 결과 무해한 골재사용
-시멘트
①포틀랜드 시멘트에 있어서는 보통형보다 중용열형, 내황산염형이 빠르다.
(건조 후 공극율이 커진다.)
②혼합 시멘트의 경우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포졸란을 혼합하여 상대적으로 수산화 칼슘의 양이 적어 중성화가 빠르다.
(건조 후 공극율이 커진다.)
-골재
천연산에 비해 경량 골재는 자체 기공이 많고 투수성이 크므로 중성화 속도가 빠르다.(개선하기 위해 감수제, 유동화제 등이 활용된다)잠재가능성이 있는 골재사용이 불가피 할 경우 저알카리형 시멘트 사용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1㎥당의 알카리 총량을 Na20 당량 3.0㎏이하로 관리 필요
2)콘크리트 배합에서의 대책
-적당량의 공기량 도입
-단위수량 최소화
-혼화제, 감수제, 공기 연행 감수제, 유동화제 등을 사용하면 물, 시멘트 비가 작게되고 시멘트 입자가 분산되어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으므로 중성화를 억제한다
-단위 시멘트량 최소화
-플라이 에쉬, 고로 슬래그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
-시멘트
①포틀랜드 시멘트에 있어서는 보통형보다 중용열형, 내황산염형이 빠르다.
②혼합 시멘트의 경우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포졸란을 혼합하여 상대적으로 수산화 칼슘의 양이 적어 중성화가 빠르다.
-골재
천연산에 비해 경량 골재는 자체 기공이 많고 투수성이 크므로 중성화 속도가 빠르다.
3)콘크리트 시공에서 대책
-다짐을 충분히 하여 밀실한 콘크리트 시공
4)콘크리트 구조물 유지관리에서 대책
-외부로부터 습기나 물의 침입을 막을 것
-해수 또는 해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실외부재에 방수성 마감
4. 실험 결과 및 분석
r50-R20이 7일째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r50-R100이 7일째 가낭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r40-R0이 7일째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r40-R80이 7일째 가장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c50-R0이 7일째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c50-R60이 7일째 가장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c40-R0이 7일째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c40-R100이 7일째 가장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R값이 높을수록 낮은 압축강도를
낮을수록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5. 실험 후 소감
2학년 2학기를 시작하면서 재료실험은 그동안 수업을 해왔던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3,4학년에 아는 선배님들은 하루종일 콘크리트 만들어야 된다면서 겁을 주어서 많은 부담을 가지고 초조하게 실험시간을 맞았습니다. 그리고 4조로 활동하게 되었고 가장 어리다면서 걱정을 많이 해주시는 조장 형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처음 실험 시간이 잡히고 다들 정해진 시간에 모여서 골재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골재를 나르고 준비가 완료된 후에 계량팀과 슬럼프팀과 제가 맡은 설거지와 여러 가지 조로 나뉘어 분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콘크리트 담을 검은통에 연유제를 뿌리고 계량된 거를 혼합하여 슬럼프 실험을 하고 바로 검은통 담아 넣습니다. 이 과정을 대략 10명 정도 실험을 하였습니다.
조원 형들은 나에게 조금이라도 더 알려주려고 빠른 실험을 위해 나누었던 팀 하나하나에 들어가서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려주어서 한층 더 시멘트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2틀 뒤에 우리조가 만든 콘크리트를 탈형하는 작업을 했는데 참석하지 못하여 인터넷을 통해 조금이나마 콘크리트 탈형하는 방법등에 대해 알수 있었습니다.
재료실험 시간은 몸소 배우고 실천하면서 터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수업 보다도 기억하고 체험할수 있는 수업이라고 생각한다.
6. 참고문헌
(1) 정일영, 한천구, 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한천구교수님; 레미콘 건축 토목 공사의 품질 관리를 위한 레미콘 품질관리(Ⅱ) / p.196-200/ 기문당 2008 0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