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의(衣)문화 - 가부키, 노, 분라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의(衣)문화 - 가부키, 노, 분라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주제 선정 이유

● 본론
1.가부키
1)가부키의 정의
2)가부키의 역사
3)가부키의 테마
4)가부키의 특징
-가부키의 무대&음악
-가부키의 특징 3가지
5)가부키 기사
2.노
1)노의 정의
2)노의 역사
3)노의 종류
4)노의 특징
-노의 구성
-노의 박자
-노의 배우
-노의 무대
- ‘노멘’의 종류
3.분라쿠
1)분라쿠의 정의
2)분라쿠의 역사
3)분라쿠의 특성
4)분라쿠 기사

●결론
후기
참고 사이트 & 참고 문헌, 자료

본문내용

동행인 등 그리 중요하지 않은 단역이나, 동물 인형
인 경우에는, 한 사람이 조정할 때도 있는데 이런 방식은 '히토리즈카이(一人遣い)'라 한다.
6. [있지만 없음]을 상징하는 구로고
분라쿠의 무대를 보면 닝교즈카이들이 검은 색 옷을 입고, 검은 색 헝겊으로 얼굴을 가리고 나와서
인형을 조정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닝교즈카이들은 인형을 들고 등장하기 때문에 그 모습이 관중에
게 그대로 드러난다. 그러나, 관객이 조정자들을 의식하지 않고 인형에만 관심을 집중하도록 하기 위하
여 '있지만 없는 것'을 상징하는 검은 복장을 한다. 이 인형을 돋보이게 하는 검은 복장을 '구로고(黑
衣)'라고 한다. 닝교즈카이들은 모두 구로고를 입고 인형을 조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아주 중요한 장
면에서 조정자는 구로고 대신에 얼굴을 드러내고 예복을 입고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일류 닝교즈카이
의 얼굴을 보고 싶어하는 관객들의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중요한 주 조정자의 얼굴을 드러내는 연출법
이 있는데, 이를 '데즈카이(出遣い)'라 한다.
7. 20년이나 걸리는 수련의 길
분라쿠 인형의 특징은 산닝즈카이 즉, 인형 하나를 세 사람이 조정한다는 점이다. 인형의 보다 정교하
고 복잡한 동작을 표현하기 위하여, 한 사람은 인형의 두 발의 조정을 담당하고, 한 사람은 인형의 왼
손을, 또 한 사람은 인형의 얼굴과 오른손을 담당한다. 이들의 역할을 각각 '아시즈카이(足遣い)' '히다
리즈카이(左遣い)' '오모즈카이(主遣い)' 라 한다. 세 사람이 하나의 인형을 조정하기 때문에 인형의
동작 하나하나는 세 사람의 호흡이 잘 맞아야 생명력이 있는 표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오랜 숙련기간이 필요하다
[출처] 분라쿠에 대하여|작성자 모리
- 사진 -
( 겐다이 ) ( 부타이게타) ( 샤미센)
( 공연 장면 ) ( 분라쿠 포스터 )
▣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
가부키
☆ 참고 문헌:출처: [일본 문화의 이해-저자 김 영] 출판사 ‘제이 앤 씨’
[황인상의 일본 알기]
☆ 참고 사이트
일본의 전통 문화 - http://www.doshisha.co.kr/
일본의 전통 문화 - http://munhak.hs.kr/lsd/가부키설명.htm
네이버 백과사전 ‘가부키’
위키 백과사전 ‘가부키’ -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B%B6%80%ED%82%A4
네이버 블로그 ‘가부키’ - http://blog.naver.com/rj2222?Redirect=Log&logNo=50016593464
네이버 카페 ‘가부키 배우 양성소’-
http://cafe.naver.com/ybmuhakcommunit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73
http://web-japan.org/nipponia/nipponia22/ko/feature/feature02.html
http://cafe.naver.com/edujapa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008

☆ 참고 문헌
☆ 참고 사이트
일본의 전통 문화 ‘노’- http://doshisha.cafe24.com/source/no/no01.php
재미있는 일본(95) ‘노(能)와 교겐(狂言)’- http://nihongo.x-y.net/bbs/view.php?id=420&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
위키 백과사전 ‘노’- http://ko.wikipedia.org/wiki/%EB%85%B8_(%EC%97%B0%EA%B7%B9)
분라쿠
☆ 참고 문헌: [월간 일본어] 1996년 2~3월에 연재된 글-‘중앙대 일어일문학과 朴銓烈교수’
☆ 참고 사이트
일본의 전통 문화 -http://www.doshisha.co.kr/
위키 백과사전 ‘분라쿠’- http://ko.wikipedia.org/wiki/%EB%B6%84%EB%9D%BC%EC%BF%A0
일본의 전통 문화 - http://munhak.hs.kr/lsd/분라쿠설명.htm
http://www.doshisha.co.kr/source/bunlaku/bunlaku01.php
http://www.doshisha.co.kr/
http://blog.naver.com/kilin_mj/80071460209
http://blog.naver.com/jinsub0707/140018333715 http://blog.naver.com/gacktie/90051984364
▣ 후기 ▣
일본의 연극은 고유의 전통과 외래문화가 융합되어 생겨난 것이다.
외래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전통 문화가 소실되고, 본질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은 데에 비해
일본의 연극은 전통과 외래문화를 융합하여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가부키, 노, 분라쿠 모두 각각 독특한 양식을 취하면서 무대화되어 세계 각지에서 공연되는
커다란 발전을 이루었다. 전통의 맥락을 보존, 계승하려는 의식이 강한 일본은
기능 계승 제도, 가원세습제, 이에모토제도 등을 통해 대대로 문화가 이어지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적,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일본은
전통 문화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 태도 또한 일본 전통 예능 문화의 대중화에 커다란 기여
를 했다고 생각한다. 전통 문화에 대하여 고리타분하고 지루하다고 여기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 전체를, 있는 모습 그대로 관심을 갖고 바라봐 주는 일본의 문화인들의 태도를
우리가 본받아야함을 느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종목을 제외하면 문화적 전승이나
세습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판소리, 남사당, 봉산탈춤 등 전통 예능에
대한 관심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전통 예능 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전문적인 연구와, 홍보가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문화를 향유한 우리들이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 사랑과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보존하기 위해 힘써야 함을 느끼게 되었다.

키워드

일본,   일본문화,   카부키,   가부키,   분라쿠,   ,   노멘,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