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조선시대 농업의 발달
2.조선시대 상업의 발달
3.대동법 실시와 공인의 성장
4.장시와 수공업 발전
2.조선시대 상업의 발달
3.대동법 실시와 공인의 성장
4.장시와 수공업 발전
본문내용
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시장으로 15C부터 상설화 되었다. 양난이후 지방 장시의 수가 본격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교통 요지의 5일장은 상설시장化 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경기 송파장, 안성 읍내장, 교하 공릉장, 토산 비천장, 은진 강경장, 전주 읍내장, 남원 읍내장, 평창 대화장 등이 있다. 또한 한지역의 5일장이 여러개 생겨 하나의 큰 시장권을 형성하여 상설시장化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정읍 읍내장이 있다. 이 경우에는 5개의 장(場) 중에서 4개의 장(場)이 각각 날짜를 피해서 장을 열어 한달에 25회의 장(場)이 열리면서 상설化된것이다. 각 장시의 연결은 보부상이라는 행상이 농산물, 수공업제품, 수산물, 약재 등을 유통하면서 연결시켜 주며 장시의 상설화로 정부는 장세수취를 적극화 하면서 장시를 발전시켰다.
동래상인
일본과의 무역을 주도한 상인층은 왜학역관(倭學譯官)과 동래상인이었다. 조선은 왜학역관과 동래상인에게 대일무역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리고 양국 상인들의 밀거래 과정에서 국가기밀의 누설 등 여러 가지 폐단이 있어 왜관 한 곳으로 거래장소를 한정시켰다. 그리고 왜관 중에서도 개시대청(開市大廳)이라는 곳으로 장소를 제한했다.
동래상인
일본과의 무역을 주도한 상인층은 왜학역관(倭學譯官)과 동래상인이었다. 조선은 왜학역관과 동래상인에게 대일무역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리고 양국 상인들의 밀거래 과정에서 국가기밀의 누설 등 여러 가지 폐단이 있어 왜관 한 곳으로 거래장소를 한정시켰다. 그리고 왜관 중에서도 개시대청(開市大廳)이라는 곳으로 장소를 제한했다.
추천자료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지역농업정보시스템][농업구조개선사업][국제농업협력사업][조건불리지역농업][농업노동요]...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A+자료) 조선시대 농경중심의 과학기술 및 동서양의 수차의 발달 응용조사와 세종의 수차장...
[시조]고려시대 시조 배열부전,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고려시대 시조 송인, 조선시대 시조 ...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 - 조선시대 집의 특징, 지형에 따른 집의 구조, 계층별 집의 특징과 ...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및 문화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고려시대의 문화, 조선시대의 문...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