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민대 여성과 사회 중간고사자료
본문내용
28. 강간을 죄로 다스린 법률은 기원전 18세기의 바빌로니아의 어디에서부터 나타났는
가 ? ③
① 고대문서
② 코란
③ 함무라비법전
④ 성경
29.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종류의 인간상을 만들어 놓고 이중적인 성문화와 규범을 만들어 내며 각각 차별적으로 구성된 역할기대를 내면화할 것을 요구하며 또 이 사회를 남성적인 문화를 기준으로 구성하고 여성적인 문화는 주변적인 것으로 만들고 있는 차별은 어느 영역에서의 차별인가 ? ③
① 경제적 영역
② 사회적 영역
③ 문화적 영역
④ 정치적 영역
30. 가부장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성은 여성의 노동력과 여성의 성적 기능을 통제하는 구조는 가부장제의 3가지 구조 중 어느 구조인가 ? ③
① 성문란
② 성통제
③ 성억압
④ 성지배
31. 여성성을 이전의 남성중심적인 정신분석학의 틀에서 분리시키면서 상상계와 상징계간의 대조에 관심을 가진 사람은 누구인가 ? ③
① 갈리간
② 초도로우
③ 이리가레이
④ 프로이드
32. 결혼과 사랑은 별개의 것으로 결혼과 출산을 위한 성이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었던 사회는 어느사회인가 ? ④
① 탈근대사회
② 근대사회
③ 자본주의 사회
④ 봉건사회
33. “나를 여자로 만들어 보내시지 않은 나의 주 전 세계의 주인이신 여호와께 감사드립니다.” 라는 기도문을 낭독했던 남성들은 누구인가 ? ④
① 미국인
② 영국인
③ 한국인
④ 유대인
34. 결혼하지 않은 어머니를 의미를 의미하는 개념은 무엇인가 ? ③
① 미혼부
② 비혼모
③ 미혼모
④ 계모
35. 여아가 남아와는 다른 종류의 기술과 능력을 발달시키기 때문에 여아가 겪는 경험은 남아에 비하여 자질이 떨어질 것이라고 지적한 사람은 누구인가 ? ③
① 초도로우
② 미드
③ 레버
④ 프로이드
36. 어떠한 태도나 행위가 남자에게 또는 여자에게 적절한가를 말해주는 문화적 기대치를 의미하여 이러한 성역할을 내면화해 가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 가 ? ②
① 성사회역할화
② 성역할사회화
③ 사회역할화
④ 성사회화
37. 여성해방방법은 가족철폐, 출산과 성을 여성스스로 통제, 출산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이라고 주장한 사람은 ? ①
① 파이어스톤
② 엥겔스
③ 미드
④ 밀레트
38. 한국의 전통적 가부장제의 자본주의와에 따른 성역할 분리과정은 한국사회의 성문화에 있어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더욱 강조하는 현상으로 표출되는 데 이러한 영향이 가장 많이 미치는 영역은 무엇인가 ? ①
① 문화적 영역
② 정치적 영역
③ 사회적 영역
④ 경제적 영역
39. “현대사회의 ( ) 발달은 여성의 자립가능성을 높여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등의 이념을 실현할 만한 토대가 되지는 못하였습니다.” 괄호안을 채우시오. ②
① 사회주의
② 자본주의
③ 자유주의
④ 페미니즘
40. 산업혁명 이후 새로운 사회적 관계인 ( )와 ( ) 등장하였다. ②
a.부르주아 b.지배자 c.피지배자 d.프롤레타리아
① c. d
② a. d
③ b. c
④ a. c
41. 가부장제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성관계에 고유한 성심리적 지배, 피지배의 감정을 개념화 하고 이성관계에 권력이 내재해 있음을 주장한 학자는 누구인가 ? ④
① 초도루우
② 마르크스
③ 엥겔스
④ 밀레트
42.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무엇인가 ? ②
가부장제 구조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형성되어 있었으나 조선이 채택한 ( )은 신분제와
가부장제를 강화하면서 여성의 지위를 급격히 하락시켰다.
① 고구려의 서옥체
② 주자학
③ 고려전
④ 한서
43. 성의 이중구조와 이중윤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④
① 단순히 신체구조에 의해서 결정되는 생리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구성되며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갖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② 성에 대한 논의가 남성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여성의 성을 이해할 수 없으며 여성은 단지 성적 대상으로만 이해되었다. 이러한 문화의 해체되어야 한다.
③ 한국사회에는 성과 관련하여 이중적인 태도를 갖는 논리체계와 사회조직이 공존, 남성은 항상 성과 관련하여 관용적인 대우, 여성은 순결강조, 이분화된 성의 왜곡된 신념을 해체해야 한다.
④ 남성 또한 여성과 같이 차별화된 사회속에서 평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문화와 사회속에서 분석하여 여성위주의 문화적인 성향을 극복해야 한다.
44.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는 초기 사회화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러한 초기 사회화를 경험하게 되는 집단은 어디인가 ? ①
① 가족
② 직장
③ 학교
④ 또래집단
45. 1980년대를 무슨 매춘시대라고 하는가? 3
① 인스턴트식매춘
② 산업형매춘
③ 일상화된 매춘
④ 자본주의매춘
46. 생산을 노동, 재생산을 재창조와 출생의 사회관계라고 본 두사람은 누구인가? 1
-a. 막스
-b. 엥겔스
-c. 미드
-d. 루소
① a, b
② b, c
③ a, d
④ c, d
47. <모성성의 재생산>이라는 책에서 초기 양육기에 성별 정체성이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히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
① 초도로우
② 이리가레이
③ 프로이드
④ 길리간
48. 가부장제가 현대사회의 유지와 존속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이데올로기라고 주장하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인 것은 어떤 특정한 것에 대한 지배적인 사고방식, 신념체계로서 사회의 재생산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며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라고 말한 사람은 누구인가? 4
① 히트만
② 밀레트
③ 초도로우
④ 바레트
49. 공식적인 사회화 역할 담당을 담당하는 첫 사회화 기관은 어디인가? 3
① 직장
② 가족
③ 학교
④ 또래집단
50. ( )은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4
① 플라톤
② 벤
③ 바레트
④ 벰
51. 결혼관계와 사랑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낭만적 사랑과 성숙한 사랑을 구분하면서 낭만적 사랑은 사람들이 보통 사랑에 빠질 때 느끼는 일순간의 황홀한 감정이지만 성숙한 사랑은 타인의 안녕과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일생을 통한 과정이라고 말한 사람은? 4
① 기든스② 밀
③ 스텐버그
④ 콜린스
가 ? ③
① 고대문서
② 코란
③ 함무라비법전
④ 성경
29.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종류의 인간상을 만들어 놓고 이중적인 성문화와 규범을 만들어 내며 각각 차별적으로 구성된 역할기대를 내면화할 것을 요구하며 또 이 사회를 남성적인 문화를 기준으로 구성하고 여성적인 문화는 주변적인 것으로 만들고 있는 차별은 어느 영역에서의 차별인가 ? ③
① 경제적 영역
② 사회적 영역
③ 문화적 영역
④ 정치적 영역
30. 가부장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성은 여성의 노동력과 여성의 성적 기능을 통제하는 구조는 가부장제의 3가지 구조 중 어느 구조인가 ? ③
① 성문란
② 성통제
③ 성억압
④ 성지배
31. 여성성을 이전의 남성중심적인 정신분석학의 틀에서 분리시키면서 상상계와 상징계간의 대조에 관심을 가진 사람은 누구인가 ? ③
① 갈리간
② 초도로우
③ 이리가레이
④ 프로이드
32. 결혼과 사랑은 별개의 것으로 결혼과 출산을 위한 성이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었던 사회는 어느사회인가 ? ④
① 탈근대사회
② 근대사회
③ 자본주의 사회
④ 봉건사회
33. “나를 여자로 만들어 보내시지 않은 나의 주 전 세계의 주인이신 여호와께 감사드립니다.” 라는 기도문을 낭독했던 남성들은 누구인가 ? ④
① 미국인
② 영국인
③ 한국인
④ 유대인
34. 결혼하지 않은 어머니를 의미를 의미하는 개념은 무엇인가 ? ③
① 미혼부
② 비혼모
③ 미혼모
④ 계모
35. 여아가 남아와는 다른 종류의 기술과 능력을 발달시키기 때문에 여아가 겪는 경험은 남아에 비하여 자질이 떨어질 것이라고 지적한 사람은 누구인가 ? ③
① 초도로우
② 미드
③ 레버
④ 프로이드
36. 어떠한 태도나 행위가 남자에게 또는 여자에게 적절한가를 말해주는 문화적 기대치를 의미하여 이러한 성역할을 내면화해 가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 가 ? ②
① 성사회역할화
② 성역할사회화
③ 사회역할화
④ 성사회화
37. 여성해방방법은 가족철폐, 출산과 성을 여성스스로 통제, 출산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이라고 주장한 사람은 ? ①
① 파이어스톤
② 엥겔스
③ 미드
④ 밀레트
38. 한국의 전통적 가부장제의 자본주의와에 따른 성역할 분리과정은 한국사회의 성문화에 있어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더욱 강조하는 현상으로 표출되는 데 이러한 영향이 가장 많이 미치는 영역은 무엇인가 ? ①
① 문화적 영역
② 정치적 영역
③ 사회적 영역
④ 경제적 영역
39. “현대사회의 ( ) 발달은 여성의 자립가능성을 높여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등의 이념을 실현할 만한 토대가 되지는 못하였습니다.” 괄호안을 채우시오. ②
① 사회주의
② 자본주의
③ 자유주의
④ 페미니즘
40. 산업혁명 이후 새로운 사회적 관계인 ( )와 ( ) 등장하였다. ②
a.부르주아 b.지배자 c.피지배자 d.프롤레타리아
① c. d
② a. d
③ b. c
④ a. c
41. 가부장제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성관계에 고유한 성심리적 지배, 피지배의 감정을 개념화 하고 이성관계에 권력이 내재해 있음을 주장한 학자는 누구인가 ? ④
① 초도루우
② 마르크스
③ 엥겔스
④ 밀레트
42.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무엇인가 ? ②
가부장제 구조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형성되어 있었으나 조선이 채택한 ( )은 신분제와
가부장제를 강화하면서 여성의 지위를 급격히 하락시켰다.
① 고구려의 서옥체
② 주자학
③ 고려전
④ 한서
43. 성의 이중구조와 이중윤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④
① 단순히 신체구조에 의해서 결정되는 생리현상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구성되며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갖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② 성에 대한 논의가 남성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여성의 성을 이해할 수 없으며 여성은 단지 성적 대상으로만 이해되었다. 이러한 문화의 해체되어야 한다.
③ 한국사회에는 성과 관련하여 이중적인 태도를 갖는 논리체계와 사회조직이 공존, 남성은 항상 성과 관련하여 관용적인 대우, 여성은 순결강조, 이분화된 성의 왜곡된 신념을 해체해야 한다.
④ 남성 또한 여성과 같이 차별화된 사회속에서 평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문화와 사회속에서 분석하여 여성위주의 문화적인 성향을 극복해야 한다.
44.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는 초기 사회화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러한 초기 사회화를 경험하게 되는 집단은 어디인가 ? ①
① 가족
② 직장
③ 학교
④ 또래집단
45. 1980년대를 무슨 매춘시대라고 하는가? 3
① 인스턴트식매춘
② 산업형매춘
③ 일상화된 매춘
④ 자본주의매춘
46. 생산을 노동, 재생산을 재창조와 출생의 사회관계라고 본 두사람은 누구인가? 1
-a. 막스
-b. 엥겔스
-c. 미드
-d. 루소
① a, b
② b, c
③ a, d
④ c, d
47. <모성성의 재생산>이라는 책에서 초기 양육기에 성별 정체성이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히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
① 초도로우
② 이리가레이
③ 프로이드
④ 길리간
48. 가부장제가 현대사회의 유지와 존속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이데올로기라고 주장하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인 것은 어떤 특정한 것에 대한 지배적인 사고방식, 신념체계로서 사회의 재생산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며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라고 말한 사람은 누구인가? 4
① 히트만
② 밀레트
③ 초도로우
④ 바레트
49. 공식적인 사회화 역할 담당을 담당하는 첫 사회화 기관은 어디인가? 3
① 직장
② 가족
③ 학교
④ 또래집단
50. ( )은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4
① 플라톤
② 벤
③ 바레트
④ 벰
51. 결혼관계와 사랑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낭만적 사랑과 성숙한 사랑을 구분하면서 낭만적 사랑은 사람들이 보통 사랑에 빠질 때 느끼는 일순간의 황홀한 감정이지만 성숙한 사랑은 타인의 안녕과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일생을 통한 과정이라고 말한 사람은? 4
① 기든스② 밀
③ 스텐버그
④ 콜린스
추천자료
사회적 약자(여성 문제)
(사회문제) 윤락여성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방안
(여성복지)미혼모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지적 해결방안
방통대 과제 한국사회문제(여성노동현실 소수자 문제)
[한국사회문제]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여러 차별과 불평등 가운데 사회문제로서 해결해...
사회문제론B형-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어...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B형-한국사회 고정관념] 한국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
[중어중문학과]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여성의 삶과 문화 공통] 최근 여성혐오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살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