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창덕궁의 연혁
Ⅱ. 사상적 배경
Ⅲ. 창덕궁의 배치 및 특징
Ⅳ. 내가 둘러 본 창덕궁
ⅰ) 돈화문
ⅱ) 인정전
ⅲ) 선정전
ⅳ) 희정당과 대조전
ⅴ) 낙선재
ⅵ) 부용지, 주합루, 영화당
ⅶ) 불로문과 연경당
ⅷ) 옥류천
Ⅴ. 창덕궁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Ⅵ. 창덕궁을 다녀온 후
Ⅱ. 사상적 배경
Ⅲ. 창덕궁의 배치 및 특징
Ⅳ. 내가 둘러 본 창덕궁
ⅰ) 돈화문
ⅱ) 인정전
ⅲ) 선정전
ⅳ) 희정당과 대조전
ⅴ) 낙선재
ⅵ) 부용지, 주합루, 영화당
ⅶ) 불로문과 연경당
ⅷ) 옥류천
Ⅴ. 창덕궁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Ⅵ. 창덕궁을 다녀온 후
본문내용
의 서편엔 누각이 있고 지변(池邊)에 입수하는 물을 토하는 이무기 머리상이 있다. 동쪽엔 영화당이, 남쪽엔 부용정이 있다.
· 영화당
조선왕조에선 옛 제도에 따라 국가의 동량(棟梁)을 뽑는 일을 과거제도에 의존하였다. 공개시험으로 우수한 인재를 발탁하는 방법이었다. 지방에서 초시에 합격한 사람들만 골라 임금이 친히 참석한 자리에서 시험을 치게 하였다. 이를 전시(殿試)라 하는데, 영화당은 그런 과거를 보는 장소였다. 원래 이곳은 임금이 신하들과 꽃구경을 하고 시를 지으며 놀던 곳이다. 정조 때부터 이곳을 과거장으로 사용하여, 영화당에는 시관이, 그 앞 춘당대에는 응시자들이 자리잡고 과거를 보았다.
ⅶ) 불로문과 연경당
불로문을 지나가면 오래 산다는 뜻의 문으로 그 문을 들어가면 자그마한 호수가 있다. 또한 불로문은 지금은 갈라져서 안타깝지만 원래 하나의 돌로 만든 문이라고 한다. 주합루 후원으로 해서 언덕 아래로 내려가는 층층다리를 딛고서면 건너편에 방지(方池)가 있고 그 북쪽에 단문의 정자가 서 있는 모습이 눈에 뜨인다. 애련정이다. 애련정에 들어가 앉으면 난간위로 기둥에 장식한 낙양각이 드리워지는데, 마치 그림틀의 액자 같아서 앉아서 내다보는 경치가 한폭의 그림 같다. 철따라 변하는 기막힌 경관을 여기에서 즐길 수 있다. 연못에 물을 담기 위하여 입수시키는 부분의 석조는 아주 단조로우나 재기(才氣)가 넘친다. 연꽃을 특히 좋아하는 숙종이 이 정자에 ‘애련’ 이라는 이름을 붙여, 연못은 애련지가 되었다. 애련정을 지나가니 허름한 건물이 한 채 보였다. 순조 28년에 세워진 연경당이라는 곳이다. 순조 28년 당시의 사대부집을 모방하여 창덕궁 안에 지은 유일한 민가형식의 건물로, 사랑채의 당호가 연경당이다. 사랑채엔 안채가 이어져 있고 사방에 행각들이 설비되어 있다. 이른바 아흔아홉간 집의 구성이 완비되어 있어 당시 사대부 주택을 잘 보여주며 한국 주택사나 생활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섬돌 아래 세벌대 댓돌이 있고, 그 앞에 초헌이나 말을 타고 내릴 때 딛는 노둣돌이 있다. 대청은 4칸이며, 툇마루를 놓았다. 동쪽에 2칸의 내루(內樓)가 있어 마루방이 되고, 서편에 4칸의 방이 사랑방이다. 사랑방 머리맡엔 벽장이 있고 다시 다락이 있다.
ⅷ) 옥류천
이곳은 창덕궁 후원 속에서 가장 깊은 계원(溪苑)이다. 1636년 인조가 이 계원을 조성했다. 계류는 북악산의 동편 줄기의 하나인 응봉(鷹峯)의 산록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산내와 어정(御井)을 파서 천수(泉水)를 흐르게 하였다. 계류가에는 청의정·소요정·태극정·농산정·취한정을 적절히 배치하고 판석 등으로 간결한 석교를 놓고 어정 옆의 자연 암석인 소요암을 ㄴ형을 파서 곡수구와 폭포를 만들고 암벽에 시문을 새기기도 했다.
정자 앞에는 작은 지당(池塘)도 설치하고 초정(草亭)인 청의정은 수전 속에 건립하여 긴 판석 다리를 거쳐 들어가게 하였다. 이곳은 삼복의 더위에도 물이 차고 숲이 짙어 냉기를 느끼게 하는 공간이다. 주위의 숲은 심산계곡을 연상시킨다. 이 옥류천에 앉아 계간에 피어오르는 운무(雲霧)를 보고 있으면 선경에 들어온 듯 하다.
이 소요암에 곡수구를 파고 폭포를 만든 것은 1636년 인조 때이다. '옥류천'이란 각자는 인조의 글씨이고, '飛流三百尺 遙落九天來 看是白虹起 飜成萬壑雷'의 오언시는 옆에 주기한 '庚子二月 癸未題' 라하여 1690년 숙종의 시를 새긴 것이다. 이 시를 풀어보면 "흐르는 물은 삼백척 멀리 날으고, 흘러 떨어지는 물은 높은 하늘에서 내리며 이를 보니 흰 무지개가 일고 온 골짜기에 천둥과 번개를 이룬다"는 뜻이다. 우리가 갔을 때에는 물이 많이 없어 졸졸 흐리기만 했지만 깊은 산속 자연의 느낌을 한품에 안을 수 있는 그런 편안한 공간이었다.
Ⅴ. 창덕궁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창덕궁은 많은 재앙을 입으면서도 여러 건물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왔는데, 1912년부터는 후원인 금원과 아울러 인정전을 관람할 수 있게 하였고, 8·15광복 후에도 창덕궁과 금원을 공개하고 있다. 창덕궁은 금원을 비롯하여 다른 부속건물이 비교적 원형으로 남아 있어 가장 중요한 고궁의 하나이다. 창덕궁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의 역사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궁궐지, 창덕궁조영의궤, 동궐도 등의 역사책에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1830년경에 그린 동궐도(국보 제249호)가 창덕궁의 건물배치과 건물형태를 그림으로 전하고 있는데, 궁궐사와 궁궐건축을 연구 고증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창덕궁은 사적 제12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창덕궁내 중요 문화재로 돈화문(보물 제383호), 인정문(보물 제813호), 인정전(국보 제225호), 대조전(보물 제816호), 구선원전(보물 제817호), 선정전(보물 제814호), 희정당(보물 제815호),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 다래 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등이 지정되었으며, 창덕궁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후원은 제왕이 수학하고 수신하면서 치도를 닦고 자연의 순리를 존중하여 어진 정치를 하기 위한 휴식처이기도 했다. 창덕궁과 후원은 자연과의 조화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문화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세계적인 명원으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Ⅵ. 창덕궁을 다녀온 그 후
옥류천을 마지막으로 창덕궁 답사가 끝이 났다. 처음엔 흥미로 답사를 하는 도중엔 그 흥미가 재미로 바뀌어 내 눈과 귀 그리고 머리를 즐겁게 해주었다. 경복궁 한 바퀴를 돈 후 몸은 힘들었지만 충분히 힘든 가치가 있는 답사였다고 생각한다. 한때 서양의 조경이나 건축물에 대한 생각을 우리나라 고궁보다 뛰어나다고 생각 했던 내가 부끄러워 질 정도였다. 나에게는 창덕궁이 두 번째 답사하는 고궁이다, 아직 그 유명한 경복궁도 가보지 못했고 가야 할 고궁이 아직도 많다는 사실이 이젠 힘들거나 귀찮기보다 기쁘다.
§ 참고문헌 §
홍순민 / 우리궁궐이야기 / 청년사 / 1999
신영훈 / 조선의 궁궐 / 조선일보사 /1998
§ 참고 사이트 §
창덕궁 http://www.cdg.go.kr/
· 영화당
조선왕조에선 옛 제도에 따라 국가의 동량(棟梁)을 뽑는 일을 과거제도에 의존하였다. 공개시험으로 우수한 인재를 발탁하는 방법이었다. 지방에서 초시에 합격한 사람들만 골라 임금이 친히 참석한 자리에서 시험을 치게 하였다. 이를 전시(殿試)라 하는데, 영화당은 그런 과거를 보는 장소였다. 원래 이곳은 임금이 신하들과 꽃구경을 하고 시를 지으며 놀던 곳이다. 정조 때부터 이곳을 과거장으로 사용하여, 영화당에는 시관이, 그 앞 춘당대에는 응시자들이 자리잡고 과거를 보았다.
ⅶ) 불로문과 연경당
불로문을 지나가면 오래 산다는 뜻의 문으로 그 문을 들어가면 자그마한 호수가 있다. 또한 불로문은 지금은 갈라져서 안타깝지만 원래 하나의 돌로 만든 문이라고 한다. 주합루 후원으로 해서 언덕 아래로 내려가는 층층다리를 딛고서면 건너편에 방지(方池)가 있고 그 북쪽에 단문의 정자가 서 있는 모습이 눈에 뜨인다. 애련정이다. 애련정에 들어가 앉으면 난간위로 기둥에 장식한 낙양각이 드리워지는데, 마치 그림틀의 액자 같아서 앉아서 내다보는 경치가 한폭의 그림 같다. 철따라 변하는 기막힌 경관을 여기에서 즐길 수 있다. 연못에 물을 담기 위하여 입수시키는 부분의 석조는 아주 단조로우나 재기(才氣)가 넘친다. 연꽃을 특히 좋아하는 숙종이 이 정자에 ‘애련’ 이라는 이름을 붙여, 연못은 애련지가 되었다. 애련정을 지나가니 허름한 건물이 한 채 보였다. 순조 28년에 세워진 연경당이라는 곳이다. 순조 28년 당시의 사대부집을 모방하여 창덕궁 안에 지은 유일한 민가형식의 건물로, 사랑채의 당호가 연경당이다. 사랑채엔 안채가 이어져 있고 사방에 행각들이 설비되어 있다. 이른바 아흔아홉간 집의 구성이 완비되어 있어 당시 사대부 주택을 잘 보여주며 한국 주택사나 생활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섬돌 아래 세벌대 댓돌이 있고, 그 앞에 초헌이나 말을 타고 내릴 때 딛는 노둣돌이 있다. 대청은 4칸이며, 툇마루를 놓았다. 동쪽에 2칸의 내루(內樓)가 있어 마루방이 되고, 서편에 4칸의 방이 사랑방이다. 사랑방 머리맡엔 벽장이 있고 다시 다락이 있다.
ⅷ) 옥류천
이곳은 창덕궁 후원 속에서 가장 깊은 계원(溪苑)이다. 1636년 인조가 이 계원을 조성했다. 계류는 북악산의 동편 줄기의 하나인 응봉(鷹峯)의 산록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산내와 어정(御井)을 파서 천수(泉水)를 흐르게 하였다. 계류가에는 청의정·소요정·태극정·농산정·취한정을 적절히 배치하고 판석 등으로 간결한 석교를 놓고 어정 옆의 자연 암석인 소요암을 ㄴ형을 파서 곡수구와 폭포를 만들고 암벽에 시문을 새기기도 했다.
정자 앞에는 작은 지당(池塘)도 설치하고 초정(草亭)인 청의정은 수전 속에 건립하여 긴 판석 다리를 거쳐 들어가게 하였다. 이곳은 삼복의 더위에도 물이 차고 숲이 짙어 냉기를 느끼게 하는 공간이다. 주위의 숲은 심산계곡을 연상시킨다. 이 옥류천에 앉아 계간에 피어오르는 운무(雲霧)를 보고 있으면 선경에 들어온 듯 하다.
이 소요암에 곡수구를 파고 폭포를 만든 것은 1636년 인조 때이다. '옥류천'이란 각자는 인조의 글씨이고, '飛流三百尺 遙落九天來 看是白虹起 飜成萬壑雷'의 오언시는 옆에 주기한 '庚子二月 癸未題' 라하여 1690년 숙종의 시를 새긴 것이다. 이 시를 풀어보면 "흐르는 물은 삼백척 멀리 날으고, 흘러 떨어지는 물은 높은 하늘에서 내리며 이를 보니 흰 무지개가 일고 온 골짜기에 천둥과 번개를 이룬다"는 뜻이다. 우리가 갔을 때에는 물이 많이 없어 졸졸 흐리기만 했지만 깊은 산속 자연의 느낌을 한품에 안을 수 있는 그런 편안한 공간이었다.
Ⅴ. 창덕궁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창덕궁은 많은 재앙을 입으면서도 여러 건물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왔는데, 1912년부터는 후원인 금원과 아울러 인정전을 관람할 수 있게 하였고, 8·15광복 후에도 창덕궁과 금원을 공개하고 있다. 창덕궁은 금원을 비롯하여 다른 부속건물이 비교적 원형으로 남아 있어 가장 중요한 고궁의 하나이다. 창덕궁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의 역사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궁궐지, 창덕궁조영의궤, 동궐도 등의 역사책에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1830년경에 그린 동궐도(국보 제249호)가 창덕궁의 건물배치과 건물형태를 그림으로 전하고 있는데, 궁궐사와 궁궐건축을 연구 고증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창덕궁은 사적 제12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창덕궁내 중요 문화재로 돈화문(보물 제383호), 인정문(보물 제813호), 인정전(국보 제225호), 대조전(보물 제816호), 구선원전(보물 제817호), 선정전(보물 제814호), 희정당(보물 제815호),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 다래 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등이 지정되었으며, 창덕궁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후원은 제왕이 수학하고 수신하면서 치도를 닦고 자연의 순리를 존중하여 어진 정치를 하기 위한 휴식처이기도 했다. 창덕궁과 후원은 자연과의 조화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문화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세계적인 명원으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Ⅵ. 창덕궁을 다녀온 그 후
옥류천을 마지막으로 창덕궁 답사가 끝이 났다. 처음엔 흥미로 답사를 하는 도중엔 그 흥미가 재미로 바뀌어 내 눈과 귀 그리고 머리를 즐겁게 해주었다. 경복궁 한 바퀴를 돈 후 몸은 힘들었지만 충분히 힘든 가치가 있는 답사였다고 생각한다. 한때 서양의 조경이나 건축물에 대한 생각을 우리나라 고궁보다 뛰어나다고 생각 했던 내가 부끄러워 질 정도였다. 나에게는 창덕궁이 두 번째 답사하는 고궁이다, 아직 그 유명한 경복궁도 가보지 못했고 가야 할 고궁이 아직도 많다는 사실이 이젠 힘들거나 귀찮기보다 기쁘다.
§ 참고문헌 §
홍순민 / 우리궁궐이야기 / 청년사 / 1999
신영훈 / 조선의 궁궐 / 조선일보사 /1998
§ 참고 사이트 §
창덕궁 http://www.cdg.go.kr/
추천자료
한국의 세계문화유산에 대하여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궁궐건축의 역사
아시아문화유산리포트
조선시대 5대 궁궐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해인사 답사
유네스코의 의의와 등록기준, 전세계의 유네스코등록 문화유산 건수, 우리나라의 유네스코지...
한국의 근대 도시형 개량한옥
한국의 근대 도시형 개량한옥
문화재 정의, 특징, 종류, 분류, 사적지 조사, 한국의 문화유산 관광, 깊은 역사, 서울 고궁 ...
정월대보름놀이 사례(윷놀이, 널뛰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고싸움놀이, 연날리기), 정월대...
역사문화 도시재생 성공사례(서울북촌 한옥마을, 도시재생사업, 지역관광지산업)
순천만 국제 정원 박람회 레포트(느낀점 및 사진첨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