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상피내 종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자궁경부상피내 종양
(1) 발생과정
(2) 원인
(3) 증상
(4) 간호과정
① 간호사정
* 세포진 검사
* 실러검사
* 질확대경 현미경 검사:
* 자궁경부 확대촬영술
* 조직생검
② 간호중재
* 추적관찰
* 국소파괴요법
* 수술요법

본문내용

으로 실시하며, 냉 나이프와 CO2 레이저를 이용한 생검이있다. 치료율을 약 95%이며, 약 15%는 치료를 요하는 출혈 합병증이 있다. CO2 레이저원추절제술의 장점은 시술 중에 새로운 편평원주상피경계와 변형대의 관찰이 용이하며 절제부위를 정확히 조절 할 수 있고 출혈이 적으며 초점을 맞추지 않은 beam을 사용하여 지혈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시술 후에는 통증이 적고 치유가 빠르며 레이저 절단시에 살균효과가 겸해지므로 수술 후 염증이 적고 경부협착등의 합병증이 드물다. 합병증 발생율은 4~5%로서 냉 나이프를 이용한 원추절제시 합병증의 15~30%보다 훨씬 적고 외래에서도 시행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익하며, 생검후 조직 병리학적 소견이 예상보다 진행된 경우도 가끔 발견할 수 도 있다. 만약 치료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고주파 전기 원추절제술을 한다. 이 방법은 조직이 소작되므로 진단을 위한 병리학적 검사에는 부적합하다. 이 경우 가벼운 마취하에 시술하며, 시술 수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입원하여 실시하는 것이 안전하다.
- 자궁절제술 :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의 일차적 치료로서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 전 자궁절제술 후에도 침윤성 암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수술 후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즉 4개월과 12개월 후에 세포진 검사와 함께 질 확대경으로 질 주위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그 후에는 매년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좋다.
Reference
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07).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2) 이경혜 외(2004).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30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