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의 투여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화관 투여방법

2. 비소화관 투여방법

본문내용

주사약, 주사 부위의 엄밀한 소독 필요하다. · 주사에 따른 통증, 주사용 약물은 값도 비싸고 주사하는데 기술을 필요하다.· 안전성이 적고, 많은 이상반응 또는 독작용이 나타난다.
ㄷ. 종류 : 피하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내 주사, 복강내 주사, 동맥내 주사,
뇌척수강내 주사등이 있다.
a. 피하 주사(Subcutaneous injection,SC) - 약물을 피부하층에 투여하는 방법
※ 장점
· 주사 방법 중에서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자극성이 없는 소량(보통 0.5∼2.0 ml)의 약물 주사에 주로 이용한다. · 피하에는 비교적 혈관 분포가 적어서 천천히 그리고 일정하게 흡수하며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
※ 단점
· 피부를 손상시킨다.
· 투여될수 있는 양이 제한 되어 있다.
※ 피하주사 부위
· 등의 상부, 복부, 상박의 외측, 대퇴 앞쪽 등이 있다.
· 상박의 외측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
· 복부는 피하주사 흡수가 가장 빠르다.
※ 피하주사 방법 및 주의 사항
· 전에 맞은 주사 부위에서 1.5 인치 떨어진 곳에 주사하거나 돌려가며 맞는다.
· 배꼽 근처 5cm 이내, 벨트라인은 피하는 것이 좋다.
※ 피하주사 종류
· 인슐린, 헤파린, 예방접종 등이 있다. (1.25cm 미만을 사용한다.)
b. 근육내 주사 - 주사침을 근육 내에 주입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 주사부위
· 외측광근 - 영아, 대전자와 무릎을 3등분 한 지점에 주사
· 복측둔근 - 3세 이후, 학령기 아동의 주요부위
· 삼각근 - 6세 미만 아동에게 사용하지 안음
· 배측둔근 - 일년이상 걷지 않은 경우 사용하지 않음
※ 합병증 - 농양, 괴저, 신경손상등이 있다.
※ 방법 - 근육조직을 집어 올라 90도 각도로 주사
( 25~27게이지, 1.2cm ~ 2.5cm)
c. 정맥내 주사 -정맥내로 투여하는 방법 신속히 다량의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 장점
· 작용이 빨리 나타난다.
·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응급시 유용하게 쓰인다.
※ 단점
· 한번 투여된 약물은 돌이 킬 수 없다.
· 혈액성분을 파괴하며, 주사 기술이 필요하다.
d. 복강내 주사 -일반적으로 복강천자법에 의한 복수제거 후에 항생물질이나
섬유소 용해 효소의 주입하는 방법
· 동물 실험(쥐, 마우스)에서 주로 사용
· 임상에서는 세균 감염 및 유착의 위험으로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e. 동맥내 주사 -고농도의 약물을 적용시킬 필요가 있을 때 그 조직 장기로 분포
되는 동맥을 약물에 투여하는 경우
※ 단점
·기술이 필요하며 항상 출혈에
대비를 해야 한다.
f. 뇌척수강내 주사 -조직약물을 직접 뇌 척수강 내에 투여하는 방법을 말한다.
② 흡입 -기체 상태 또는 휘발성 약물을 흡입으로 호흡기계 계통을 통하여 투여
하는 방법을 말한다.
※ 단점
· 용량 조절이 어렵다.
· 폐의 상피 세포에 자극이 될 수 있다.
③ 피부 및 점막투여 -피부 및 각종 점막에 약물을 바르는 방법을 말한다.
※ 단점
· 건강한 피부에서는 흡수가 어렵다.
· 수용성 및 이온성은 거의 흡수를 못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04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1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