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날짜, 시간
3.공동실험자 이름
4.실험목적
5.실험원리
6.실험기구 및 재료
7.실험방법 및 구상
8.참고문헌 및 출처
2.날짜, 시간
3.공동실험자 이름
4.실험목적
5.실험원리
6.실험기구 및 재료
7.실험방법 및 구상
8.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계속 유지하려면 이 유도 기전력 를 제거할만한 전압 를 코일 양단에
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와 는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즉, 전류의 위상은 전압의 위상보다 만큼 늦다. 에서 와 비교하면 는 저항 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D.저항-코일-축전기를 연결한 교류 회로(RLC 회로)
그림과 같이 교류전압 를 저항이 , 인덕턴스가 , 전기용량이 인 직렬회로에 가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회로에서 ,, 각각에 걸리는 전압 , , 는 다음과 같다.
(25.3)
(25.4)
(25.5)
따라서 회로에 걸리는 총 교류전압 는
(25.6)
이 된다. 한편, 식 (25.2)를 식 (25.4), (25.5), (25.5)에 대입하면
(25.7)
(25.8)
(25.9)
로 주어지고, 과 은 에 대해 각각 와 의 위상차가 난다. 이들의 최대값을 벡터 도형법으로 써서 나타내면 그림 25.2와 같이 되며, 이로부터 회로에 걸리는 총 교류전압의 최대값은 다음과 같다.
(25.10)
또 식(25.7) 및 (25.8), (25.9)에서 최대 전압값은 ,
일때와 일 때의 값이므로 최대 전압값을 , , 이라 하면
(25.11)
(25.12)
(25.13)
이 된다. 여기서 직류회로의 저항에 해당되는 , 를 각각 inductive reactance , capacitive recatance 라 하며, 다음과 같다.
(25.14)
(25.15)
윗 식에서 을 Henry()로, 를 Farad()로, 를 Hertz() 로 표시하면 과 는 저항 R과 같은 단위인 ohms()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RLC회로에서 ,
,이므로 직류회로의 저항에 해당하는 교류회로의 임피던스
는 로 표현되며 식 (25.10)에 의해서
(25.16)
가 되며, 위상각는
(25.17)
이다.
6. 실험기구 및 재료
Bread Board, 멀티미터,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저항, 코일(Inductor), 콘덴서(Capacitor), 전선
7. 실험방법 및 구상
a. R-L-C 회로
⑴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전원이 꺼진 상태)를 사용하여 Bread Board에 저항과 코일, 콘덴서를 그림 25.1와 같이 연결하여 직렬 RLC 회로를 구성한다.
⑵ 함수 발생기의 진폭 조절단자를 왼쪽 끝까지 돌려 출력 전압을 0로 맞춘 후 전원을 켠다.
♠ 전압을 측정할 때에는 멀티미터의 로터리 스위치를 교류전압 측정범위에 위치시킨 후에 소자와 병렬로 연결해야 한다. 전류를 측정할 때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을 개방한 후 멀티미터의 로터리 스위치를 교류전류 측정범위에 위치시킨 다음 회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멀티미터로 측정된 전압과 전류는 실효값이다.
⑶ 출력 전압은 2.0 Volt, 진동수 는 1.0 kHz로 조정 한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 ,, 전류 , 진동수 를 측정한다.
⑷ 함수 발생기의 진동수를 증가시키면서 과정 ⑶을 반복한다. 식 (25.16), (25.17)을 이용해 임피던스 와 위상차 를 계산한다.
⑸ 실험 결과로부터 실효 전류 대 진동수 , 실효전압 대 진동수 의 그래프를 그리고 공명진동수를 찾는다.
⑹ 출력 진동수 를 위 과정에서 구한 공명진동수와 가능한 차이가 큰 진동수에 설정하고 출력 전압은 0.5 Volt에 설정한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 ,, 전류 , 진동수 를 측정한다.
⑺ 전압을 0.5V 씩 증가시키면서 과정 ⑹을 반복 측정한다.
⑻ 식 (25.10)을 이용해 을 계산한다.
⑼ , , 의 그래프를 그린다.
⑽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서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고 저항 , 인덕턴스 , 전기용량 임피던스 를 구한다.
⑾ 식 (25.16)을 이용해 를 계산하고 와 그래프를 이용해 구한 결과와 비교한 다.
⑿ 과 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차 를 계산한다.
⒀ 과정(7) 실험 후 오실로스코프의 [CH-1]의 입력선에 연결하고 파형을 기록한다.
⒁ 오실로스포트의 [CH-2]의 입력선에 를 차례로 연결하여 파형을 기록하고 [CH-1],[CH-2]파형 사이의 위상차도 기록한다. ([CH-1],[CH-2]의 VOLTS/DIV을 같게 둔다.)
b. RL 회로
⑴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전원이 꺼진 상태)를 사용하여 Bread Board에 저항과 코일을 그림 25.3과 같이 연결하여 직렬 RL 회로를 구성한다.
⑵ 함수발생기의 진폭 조절단자를 왼쪽 끝까지 돌려 출력 전압을 0V로 맞춘 후 전원을 켠다.
⑶ 함수발생기의 출력 전압은 0.5 Volt에, 진동수 는 1.0 kHz로 조정한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전류 진동수를 측정한다.
⑷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과정 ⑶을 반복한다.
⑸ 식(25.10)을 이용해서 을 계산한다.
⑹ , 의 그래프를 그린다.
⑺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서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고 저항 , 인덕턴스 , 임피던스 를 구한다.
⑻ 식 (25.16)을 이용해 를 계산하고 와 그래프를 이용해 구한 결과와 비교한다.
⑼ 과 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차 를 계산한다.
c. R-C 회로
⑴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전원이 꺼진 상태)를 사용하여 Bread Board에 저항과 콘덴서를 그림 4와 같이 연결하여 직렬 R-C 회로를 구성한다.
⑵ 함수발생기의 진폭 조절단자를 왼쪽 끝까지 돌려 출력 전압을 0V로 맞춘 후 전원을 켠다.
⑶ 출력 전압은 0.5 Volt에, 진동수 는 1.0kHz 근처에 위치시킨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전류 , 진동수 를 측정한다.
⑷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과정 ⑶을 반복한다.
⑸ 식(25.10)을 이용해 을 계산하다.
⑹ , 의 그래프를 그린다.
⑺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서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고 저항 , 전기용량 임피던스 를 구한다.
⑻ 식 (25.16)을 이용해 를 계산하고 와 그래프를 이용해 구한 결과와 비교한다.
⑼ 과 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차 를 계산한다.
8. 참고문헌 및 출처
일반물리학실험, 부산대학교 물리학 교재편찬위원회, 청범출판사, p.259~263
일반 물리학, Halliday Resnick Walker 공저, 범한서적, p.1011~1022
http://cafe.daum.net/pnuphyslee (부산대학교 일반물리학 강의 카페)
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와 는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즉, 전류의 위상은 전압의 위상보다 만큼 늦다. 에서 와 비교하면 는 저항 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D.저항-코일-축전기를 연결한 교류 회로(RLC 회로)
그림과 같이 교류전압 를 저항이 , 인덕턴스가 , 전기용량이 인 직렬회로에 가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회로에서 ,, 각각에 걸리는 전압 , , 는 다음과 같다.
(25.3)
(25.4)
(25.5)
따라서 회로에 걸리는 총 교류전압 는
(25.6)
이 된다. 한편, 식 (25.2)를 식 (25.4), (25.5), (25.5)에 대입하면
(25.7)
(25.8)
(25.9)
로 주어지고, 과 은 에 대해 각각 와 의 위상차가 난다. 이들의 최대값을 벡터 도형법으로 써서 나타내면 그림 25.2와 같이 되며, 이로부터 회로에 걸리는 총 교류전압의 최대값은 다음과 같다.
(25.10)
또 식(25.7) 및 (25.8), (25.9)에서 최대 전압값은 ,
일때와 일 때의 값이므로 최대 전압값을 , , 이라 하면
(25.11)
(25.12)
(25.13)
이 된다. 여기서 직류회로의 저항에 해당되는 , 를 각각 inductive reactance , capacitive recatance 라 하며, 다음과 같다.
(25.14)
(25.15)
윗 식에서 을 Henry()로, 를 Farad()로, 를 Hertz() 로 표시하면 과 는 저항 R과 같은 단위인 ohms()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RLC회로에서 ,
,이므로 직류회로의 저항에 해당하는 교류회로의 임피던스
는 로 표현되며 식 (25.10)에 의해서
(25.16)
가 되며, 위상각는
(25.17)
이다.
6. 실험기구 및 재료
Bread Board, 멀티미터,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저항, 코일(Inductor), 콘덴서(Capacitor), 전선
7. 실험방법 및 구상
a. R-L-C 회로
⑴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전원이 꺼진 상태)를 사용하여 Bread Board에 저항과 코일, 콘덴서를 그림 25.1와 같이 연결하여 직렬 RLC 회로를 구성한다.
⑵ 함수 발생기의 진폭 조절단자를 왼쪽 끝까지 돌려 출력 전압을 0로 맞춘 후 전원을 켠다.
♠ 전압을 측정할 때에는 멀티미터의 로터리 스위치를 교류전압 측정범위에 위치시킨 후에 소자와 병렬로 연결해야 한다. 전류를 측정할 때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을 개방한 후 멀티미터의 로터리 스위치를 교류전류 측정범위에 위치시킨 다음 회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멀티미터로 측정된 전압과 전류는 실효값이다.
⑶ 출력 전압은 2.0 Volt, 진동수 는 1.0 kHz로 조정 한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 ,, 전류 , 진동수 를 측정한다.
⑷ 함수 발생기의 진동수를 증가시키면서 과정 ⑶을 반복한다. 식 (25.16), (25.17)을 이용해 임피던스 와 위상차 를 계산한다.
⑸ 실험 결과로부터 실효 전류 대 진동수 , 실효전압 대 진동수 의 그래프를 그리고 공명진동수를 찾는다.
⑹ 출력 진동수 를 위 과정에서 구한 공명진동수와 가능한 차이가 큰 진동수에 설정하고 출력 전압은 0.5 Volt에 설정한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 ,, 전류 , 진동수 를 측정한다.
⑺ 전압을 0.5V 씩 증가시키면서 과정 ⑹을 반복 측정한다.
⑻ 식 (25.10)을 이용해 을 계산한다.
⑼ , , 의 그래프를 그린다.
⑽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서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고 저항 , 인덕턴스 , 전기용량 임피던스 를 구한다.
⑾ 식 (25.16)을 이용해 를 계산하고 와 그래프를 이용해 구한 결과와 비교한 다.
⑿ 과 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차 를 계산한다.
⒀ 과정(7) 실험 후 오실로스코프의 [CH-1]의 입력선에 연결하고 파형을 기록한다.
⒁ 오실로스포트의 [CH-2]의 입력선에 를 차례로 연결하여 파형을 기록하고 [CH-1],[CH-2]파형 사이의 위상차도 기록한다. ([CH-1],[CH-2]의 VOLTS/DIV을 같게 둔다.)
b. RL 회로
⑴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전원이 꺼진 상태)를 사용하여 Bread Board에 저항과 코일을 그림 25.3과 같이 연결하여 직렬 RL 회로를 구성한다.
⑵ 함수발생기의 진폭 조절단자를 왼쪽 끝까지 돌려 출력 전압을 0V로 맞춘 후 전원을 켠다.
⑶ 함수발생기의 출력 전압은 0.5 Volt에, 진동수 는 1.0 kHz로 조정한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전류 진동수를 측정한다.
⑷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과정 ⑶을 반복한다.
⑸ 식(25.10)을 이용해서 을 계산한다.
⑹ , 의 그래프를 그린다.
⑺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서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고 저항 , 인덕턴스 , 임피던스 를 구한다.
⑻ 식 (25.16)을 이용해 를 계산하고 와 그래프를 이용해 구한 결과와 비교한다.
⑼ 과 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차 를 계산한다.
c. R-C 회로
⑴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전원이 꺼진 상태)를 사용하여 Bread Board에 저항과 콘덴서를 그림 4와 같이 연결하여 직렬 R-C 회로를 구성한다.
⑵ 함수발생기의 진폭 조절단자를 왼쪽 끝까지 돌려 출력 전압을 0V로 맞춘 후 전원을 켠다.
⑶ 출력 전압은 0.5 Volt에, 진동수 는 1.0kHz 근처에 위치시킨 다음, 멀티미터를 이용해 전압 , 전류 , 진동수 를 측정한다.
⑷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과정 ⑶을 반복한다.
⑸ 식(25.10)을 이용해 을 계산하다.
⑹ , 의 그래프를 그린다.
⑺ 최소 제곱법을 이용해서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고 저항 , 전기용량 임피던스 를 구한다.
⑻ 식 (25.16)을 이용해 를 계산하고 와 그래프를 이용해 구한 결과와 비교한다.
⑼ 과 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차 를 계산한다.
8. 참고문헌 및 출처
일반물리학실험, 부산대학교 물리학 교재편찬위원회, 청범출판사, p.259~263
일반 물리학, Halliday Resnick Walker 공저, 범한서적, p.1011~1022
http://cafe.daum.net/pnuphyslee (부산대학교 일반물리학 강의 카페)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북스힐)_힘의평형_사전(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북스힐)_일정한힘에의한운동_사전(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5장 힘과 물체의 평형
일반물리학실험 7장 힘과 일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8장 선운동량 보존법칙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14장 회전운동과 관성모멘트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15장 물질의 비중 측정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3. 빛지레를 이용한 물체의 두께 측정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 11. 전구물리
일반물리학실험2 예비보고서 옴의 법칙
일반물리학실험 -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일반물리학실험 - 구심력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2학기 통합본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