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실험보고서 (6.용해와 용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실험보고서 (6.용해와 용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목

2. 목표

3. 실험원리

4. 기구 및 재료

5. 실험활동 / 실험결과 / 해석 및 정리

6. 참고 문헌 /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용액에 용해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가라앉은 물질이 있는 용액을 거름종이에 거를 때에는 비커
를 기울여 물질을 깔때기에 부은 다음, 스포이트를 이용해 침
전물을 씻어내어 거르도록 한다.
3) 스포이트로 깔때기 벽에 아세톤을 떨어뜨려서는 거름종이를
깔때기에 부착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아세톤에 녹인 물질
을 거름종이로 거를 경우에는 거름종이 가장자리를 손으로
잘 잡고 비커에 든 내용물을 부은 다음, 내용물의 무게로
인해 거름종이가 고정되면 손을 떼도록 한다.
※ 결과
실험결과
<아세톤 20㎖에 가루물질을 각각 녹였을 때>
구 분
① 투명도
② 가라앉음
③ 걸러짐
판 별
설 탕
투명하다.
바로 가라앉는다.
설탕 알갱이가 걸러진다.
X
구 연 산
투명하다.
없다.
없다.
O
탄산칼슘
뿌옇다.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는다.
탄산칼슘알갱이가 걸러진다.
X
나프탈렌
투명하다.
없다.
없다.
O
<물 20㎖에 가루물질을 각각 녹였을 때>
구 분
① 투명도
② 가라앉음
③ 걸러짐
판 별
설 탕
투명하다.
없다.
없다.
O
구 연 산
투명하다.
없다.
없다.
O
탄산칼슘
뿌옇다.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는다.
탄산칼슘 알갱이가 걸러진다.
X
나프탈렌
투명하다.
나프탈렌 알갱이가 물 위에 떠있다.
나프탈렌 알갱이가 걸러진다.
X
실험사진
▶ 결과 : 아세톤에는 구연산과 나프탈렌이 용해되었으나 설탕과 탄산칼슘은 용해되지 않았으며, 물에는 설탕과 구연산이 용해되었으나 탄산칼슘과 나프탈렌은 용 해되지 않았다.
▶ 해석 및 정리
why? 나프탈렌이 물에 녹지 않고 아세톤에는 녹는 이유?
어떤 물질이 녹으려면 용질과 용매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용질 입자들 사이나 용매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보다 커야한다.
나프탈렌의 경우 나프탈렌과 아세톤 사이의 인력은 나프탈렌 분자 상호간의 인력보다 크기 때문에 서로 쉽게 섞여 잘 녹는다. 나프탈렌은 전형적인 무극성 물질이다. 따라서 극성이 매우 큰 물에서는 거의 녹지 않으며, 약간의 극성을 띤 아세톤에는 조금 녹는다.
라. 용해 전과 후의 무게 비교하기
▶ 실험활동
설탕이 물에 용해되면 용액의 무게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봅시다.
ㆍ설탕을 물에 녹였을 때 설탕물의 무게는 처음 설탕과 물의 무게를 더한 것보다 무거 울까요, 가벼울까요, 아니면 같을까요?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봅시다. 또 그렇게 생 각한 까닭도 이야기하여 봅시다.
ㆍ작은 비커에 물을 반쯤 넣고 약포지에 설탕을 조금 덜어 놓습니다.
ㆍ물이 담긴 작은 비커와 설탕을 덜어 놓은 약포지를 함께 올려놓고 무게를 잽니다.
ㆍ약포지 위의 설탕을 비커에 넣고 녹입니다.
ㆍ설탕물이 든 비커와 약포지를 함께 올려놓고 무게를 잽니다.
ㆍ용해 전과 용해 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봅시다.
ㆍ처음 자신의 생각과 비교하여 이야기해 봅시다.
▶ 실험결과
※ 실험 시 유의사항
① 용해 전과 후의 무게 측정을 위해 통제변인을 잘 생각하고 실험을 해야 한다. 만 약 실험 전·후의 무게에 차이가 발생한다면 어떤 요인이 통제되지 않아서 그런지 그 원인에 대해 생각해 본다.
② 약포지는 대각선으로 두 번 접어서 비커에 올린다.
※ 결과
실험결과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비커와 물, 설탕, 약포지, 유리막대의 무게를 모두 측정하여 본 결과 153.64g 이었다.
실험에 대한 변인을 최대한 통제해 가며 실험을 실시한 결과, 용해 후의 무게 역시 용해 전의 무게와 같은 153.64g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사진
<용해 전> <용해 후>
▶ 결과 : 물질의 용해 전과 용해 후의 무게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해석 및 정리
무게 감소요인
1. 설탕의 손실 : 물에 설탕을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설탕의 손실이 일어난 경우.
2. 물의 손실 : 유리막대로 젓는 과정에서 물이 튀었거나
유리막대에 묻은 물로 인한 무게의 감소.
3. 유리막대의 누락 : 유리막대에 묻은 물로 인한 무게의 감소를 예방하기 위해
유리막대를 포함해서 측정했으나, 용해 후 누락한 경우.
4. 약포지의 누락 : 용해 후 측정에서 약포지를 누락한 경우.
5. 기타 물질의 누락 : 전자저울 위에 남아 있었던 물이나 기타 가루 등의 물질 등이, 용해 후 측정 과정에서는 누락되어 무게의 감소가 일어난 경우.
무게 증가요인
1. 기타 물질의 첨가 : 용해 전 측정에서는 없던 물질이, 용해 후 측정 과정에서 첨가된 경우.
우리 조는 위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통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게감소
요인통제
설탕의 손실
측정 후 약포지를 기울여 설탕을 비커에 붓고, 미세하게 남아있는 가루는 털어서 넣게 되면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그대로 약포지와 함께 용해 후 측정을 실시했다.
물의 손실
유리막대 사용 후 유리막대 표면에 묻은 물로 인한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용해 전 측정에서 유리막대를 포함하여 측정하였으며, 젓는 과정에서 물이 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할 물의 양을 비커의 절반 이하로 결정했다.
또한 되도록 천천히 저어 물이 튀지 않도록 했으며, 용액을 저은 유리막대를 꺼낼 경우에 묻어나오는 용액을 방지하고자 유리막대를 비커에 넣은 채로 용해 후 무게측정을 실시했다.
유리막대의 누락
사용한 유리막대를 비커에 넣은 채로 측정했다.
무게감소
요인통제
약포지의 누락
약포지의 설탕을 비커에 부은 다음, 약포지를 뒤집거나 하지 않고 그대로 가만히 두었다가 비커에 다시 올려 무게 측정을 실시했다.
기타 물질의 누락
전자저울 위에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영점을 잡아 용해 전 무게측정을 실시하였다.
무게증가
요인통제
기타 물질의 첨가
용해 전 무게측정에서 없던 물질이 저울 또는 무게측정에 포함되는 실험기구에 첨가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용해 전 무게측정 후 전자저울 앞에서 설탕을 용해시켜 용해 후 무게측정을 곧바로 실시했다.
또한 실험 전 손의 건조 상태를 확인해 손에 묻은 수분으로 인해 무게가 변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
6. 참고 문헌 / 참고 사이트
ㆍ과학과 교재연구 / 김용권 저 / 2006 / 자유아카데미
ㆍ엘리트 학생대백과사전 / 1992 / 삼성당
ㆍ네이버 검색 www.naver.com
ㆍ구글 검색 www.google.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1.0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