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노장철학- 무위의 정치
묵가- 겸애설
묵가- 겸애설
본문내용
비판한 것이 묵가였다. 겸애는 작은 양보에서 시작 된다. 남도 함께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힘든 사람의 짐을 같이 옮겨주고 자리를 양보해주는 미덕 또한 작은 겸애의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여태까지 도가와 묵가의 주요사상에 대해 다루었다. 도가는 구분을 없애고 전체적인 것을 조망할 수 있고 나눌 수 있는 것을, 묵가는 모두의 구별 없는 사랑을 바랬다. 이 두 가지 사상은 많은 점에서 다르지만 부분이 아닌 전체적인 것을 더 생각한 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겠다. 특히 이런 점이 현대사회에서 더 필요하지 않을까. 개인주의나 집단이기주의가 팽배한 현대를 한번 반성하고 조망하게 한다는 점에서 도가와 묵가의 전체적인 조망과 전 인류적인 사랑을 다시금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여태까지 도가와 묵가의 주요사상에 대해 다루었다. 도가는 구분을 없애고 전체적인 것을 조망할 수 있고 나눌 수 있는 것을, 묵가는 모두의 구별 없는 사랑을 바랬다. 이 두 가지 사상은 많은 점에서 다르지만 부분이 아닌 전체적인 것을 더 생각한 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겠다. 특히 이런 점이 현대사회에서 더 필요하지 않을까. 개인주의나 집단이기주의가 팽배한 현대를 한번 반성하고 조망하게 한다는 점에서 도가와 묵가의 전체적인 조망과 전 인류적인 사랑을 다시금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