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3학년 2단원 「생활 속의 이야기」
■ 4학년 5단원 「판을 이용한 표현」
■ 6학년 4단원 「다색 판화」
■ 기타 교과서 내 참고자료
■ 4학년 5단원 「판을 이용한 표현」
■ 6학년 4단원 「다색 판화」
■ 기타 교과서 내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 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다색 판화
넓은 의미로는 다색 효과는 낸 여러 가지 색으로 찍어서 나타낸 판화를 총칭하며, 좁은 의미의 다색 판화는 나타내고 싶은 색의 수대로 판을 만들어 찍는 판화를 말한다. 다색 판화를 찍을 때는 밝은 색을 먼저 찍고 어두운 색을 찍는다. 그러나 두 색을 겹쳐서 혼색을 얻고 싶을 때에는 짙은 색을 먼저 찍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도 있다. 색이 들어갈 부분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한 판에 여러 가지 색을 묻혀 찍을 수 있다. 먼저 찍은 색이 마르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 찍으면 색이 선명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서로의 색을 정확하게 찍기 위해서는 각각의 판의 크기가 똑같아야 한다.
③ 공판화
판재에 구멍을 내거나 천과 같이 구멍이 있는 판의 스텐실을 통하여 잉크를 통과시켜 인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아주 간단한 기법에서 정교한 기법까지 다양한데, 인쇄의 범위가 가장 넓어서 상업적으로도 널리 쓰인다. 실크 스크린은 실크나 나일론 천을 틀에 고정시키고 형태에 따라 피막을 입혀서 스퀴지로 전용 물감을 밀어 내어 찍는다. 풀이나 니스 등으로 간단하게 피막을 입힐 수도 있지만, 감광 재료를 사용, 인화와 현상 과정을 통하여 정교한 형태의 제작도 가능하다. 공판화를 활용한 예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옷이나 문구류 등에 인쇄되는 그림 등은 대부분이 공판화 방법이 활용된 것이다. 수업에서는 가장 쉬운 공판화의 방법으로 종이 스텐실을 제작하는데 동일한 모양을 반복해서 찍어서 전체적인 구성을 할 수 있어 편리하며, 형태와 색채가 선명하고 깔끔하다.
④ 모노타이프
모노타이프는 단 한 장을 찍기 위한 판화이다. 때문에 판화의 기본 원칙, 즉 여러 장을 찍을 수 있다는 원칙에서 위배되기는 하지만 일반 드로잉과 페인팅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또다른 표현의 맛을 가지고 있다.
(2) 감상 작품 설명
① 등불 아래의 정물(리놀륨판, 53×64㎝, 1962년) 피카소(1881~1973, 에스파냐)
리놀륨 판화는 고무 판화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볼록 판화 방법이다. 리놀륨판의 단단한 재질 때문에 작품에서 보여지는 선의 느낌이 강하고 명쾌하다. 피카소의 입체주의적인 양식을 단순하고 명쾌한 판화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대상을 단순화시켰지만 등불의 느낌이 나타나며 전체적으로 안정되어 보이는 삼각형 구도로 나타내었다.
② 향교 마을(목판에 채색, 22.7×17㎝, 1984년) 오윤(1946~1986, 한국)
우리 나라 시골의 정감 어린 풍경을 단색의 목판으로 찍고 채색하여 표현하였다.
③ 꽃(실크 스크린, 100×70㎝) 유강렬(1920~1976, 한국)
실크 스크린은 형태의 단순미와 선명함이 특징이다. 꽃도 형태와 색을 단순화시켜 표현하였다.
(3) 판화의 종류
구분
볼록판
오목판
평판
공판
판의
모양
판화의
종류
ㆍ지판화
ㆍ직판화
ㆍ목판화
ㆍ고무판화
ㆍ리놀륨판화
ㆍ드라이 포인트
ㆍ에칭
ㆍ석판화
(리소그라피)
ㆍ모노타이프
ㆍ유리판화
ㆍ스텐실
ㆍ실크 스크린
(4) 판을 조각칼로 새길 때 주의 사항
① 오른손은 조각칼로 쥐고 왼손은 오른손을 받치거나 보조하며 고무판이 움직이지 않게 누른다.
② 왼손이 칼날 앞으로 나오지 않게 한다.
③ 파내는 방향이 바뀔 때나 곡선을 새길 때는 판재를 돌려 놓고 새긴다.
④ 서두르며 새기다 보면 칼이 미끄러져 다치기 쉽다.
⑤ 칼은 그 쓸모에 따라 알맞은 것으로 골라 사용한다.
⑥ 창칼은 칼을 약간 세워 칼자국을 깊게 낸 다음 판을 돌려 놓고 반대쪽에서 도려 낸다.
(5) 판화를 찍을 때의 유의할 점
① 판을 새길 때 생겨난 부스러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판면을 깨끗하게 한다.
■ 6학년 4단원 「다색 판화」
② 롤러에 잉크를 바르거나 판에 잉크를 묻힐 때, 롤러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골고루 굴려 묻히도록 한다.
③ 찍는 종이가 구겨지거나 더렵혀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찍는 종이의 상하좌우의 여백이 알맞게 골고루 남도록 한다.
⑤ 다색판을 찍을 때에는 깔개 종이의 크기를 같게 하고 판이 놓이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찍 히는 위치가 서로 어긋남이 없도록 한다.
(6) 용구 정리하기
① 잉크가 묻은 판화 용구는 사용 후 닦아 놓지 않으면 그 다음 사용이 어렵다.
② 롤러는 석유를 묻힌 신문지에 여러 번 문질러 잉크를 닦아 낸다.
③ 잉크판의 잉크는 판화용 나이프로 긁어 내고 석유를 묻힌 휴지로 닦은 후, 면 헝겊으로 깨끗이 닦는다.
④ 잉크판에서 긁어 낸 잉크가 많은 경우는 잉크통에 다시 담지 말고, 다른 그릇에 담아 두었다가 사용한다.
⑤ 잉크는 신문이나 휴지로 간단하게 닦아 내고 마무리를 면 헝겊으로 닦으면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⑥ 닦는 용제로는 석유가 적당하며, 휘발성이 강한 시너나 벤젠 등은 몸에 해롭다.
(7) 프레스를 사용하는 방법
① 프레스의 압력 조절
- 양쪽의 압력이 같아야 고르게 찍힌다.
- 좌우 같은 압력이 되도록 프레스의 나사를 동시에 움직여 조절한다.
② 판놓기
- 베드(철판) 위에 찍을 종이와 같은 크기의 받침 종이를 붙여 놓는다.
- 받침 종이의 가운데에 판을 올려 놓고, 받침 종이에 맞춰 찍을 종이를 올려 놓는다.
- 펠트를 덮는다.
③ 핸들돌리기
- 핸들은 천천히 쉬지 않고 돌린다. 도중에 멈추면 그림에 줄무늬가 생긴다.
④ 작품꺼내기
핸들을 다 돌리고 작품을 빼낼 때는 한쪽 손으로 작품을 누르고 다른 손으로 작품을 들어 살며시 본 후, 잘 찍혔으면 꺼내고 그렇지 않으면 압력 조절을 한 후 다시 찍는다.
(8) 평가 관점
① 다색 판화의 표현 방법을 이해하였는가?
② 여러 가지 판화 표현 방법 중에서 자기의 주제와 어울리는 방법을 선택하였는가?
③ 재료와 용구의 사용이 창의적이고 올바른가?
④ 대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게 다색 판화로 표현하였는가?
⑤ 재료와 용구를 사용한 후 정리를 잘 하는가?
⑥ 작품을 소중하게 잘 다루며 보관을 잘 하고 있는가?
■ 기타 교과서 내 참고자료
예술가의 손
(에칭, 16.8×22.5㎝, 1975년)
무어
(1898~1986, 영국)
△5학년 1단원
6학년 3단원▷
소
(석판화, 각 27×35㎝)
되스부르크
(1883~1931, 네덜란드)
② 다색 판화
넓은 의미로는 다색 효과는 낸 여러 가지 색으로 찍어서 나타낸 판화를 총칭하며, 좁은 의미의 다색 판화는 나타내고 싶은 색의 수대로 판을 만들어 찍는 판화를 말한다. 다색 판화를 찍을 때는 밝은 색을 먼저 찍고 어두운 색을 찍는다. 그러나 두 색을 겹쳐서 혼색을 얻고 싶을 때에는 짙은 색을 먼저 찍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도 있다. 색이 들어갈 부분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한 판에 여러 가지 색을 묻혀 찍을 수 있다. 먼저 찍은 색이 마르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 찍으면 색이 선명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서로의 색을 정확하게 찍기 위해서는 각각의 판의 크기가 똑같아야 한다.
③ 공판화
판재에 구멍을 내거나 천과 같이 구멍이 있는 판의 스텐실을 통하여 잉크를 통과시켜 인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아주 간단한 기법에서 정교한 기법까지 다양한데, 인쇄의 범위가 가장 넓어서 상업적으로도 널리 쓰인다. 실크 스크린은 실크나 나일론 천을 틀에 고정시키고 형태에 따라 피막을 입혀서 스퀴지로 전용 물감을 밀어 내어 찍는다. 풀이나 니스 등으로 간단하게 피막을 입힐 수도 있지만, 감광 재료를 사용, 인화와 현상 과정을 통하여 정교한 형태의 제작도 가능하다. 공판화를 활용한 예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옷이나 문구류 등에 인쇄되는 그림 등은 대부분이 공판화 방법이 활용된 것이다. 수업에서는 가장 쉬운 공판화의 방법으로 종이 스텐실을 제작하는데 동일한 모양을 반복해서 찍어서 전체적인 구성을 할 수 있어 편리하며, 형태와 색채가 선명하고 깔끔하다.
④ 모노타이프
모노타이프는 단 한 장을 찍기 위한 판화이다. 때문에 판화의 기본 원칙, 즉 여러 장을 찍을 수 있다는 원칙에서 위배되기는 하지만 일반 드로잉과 페인팅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또다른 표현의 맛을 가지고 있다.
(2) 감상 작품 설명
① 등불 아래의 정물(리놀륨판, 53×64㎝, 1962년) 피카소(1881~1973, 에스파냐)
리놀륨 판화는 고무 판화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볼록 판화 방법이다. 리놀륨판의 단단한 재질 때문에 작품에서 보여지는 선의 느낌이 강하고 명쾌하다. 피카소의 입체주의적인 양식을 단순하고 명쾌한 판화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대상을 단순화시켰지만 등불의 느낌이 나타나며 전체적으로 안정되어 보이는 삼각형 구도로 나타내었다.
② 향교 마을(목판에 채색, 22.7×17㎝, 1984년) 오윤(1946~1986, 한국)
우리 나라 시골의 정감 어린 풍경을 단색의 목판으로 찍고 채색하여 표현하였다.
③ 꽃(실크 스크린, 100×70㎝) 유강렬(1920~1976, 한국)
실크 스크린은 형태의 단순미와 선명함이 특징이다. 꽃도 형태와 색을 단순화시켜 표현하였다.
(3) 판화의 종류
구분
볼록판
오목판
평판
공판
판의
모양
판화의
종류
ㆍ지판화
ㆍ직판화
ㆍ목판화
ㆍ고무판화
ㆍ리놀륨판화
ㆍ드라이 포인트
ㆍ에칭
ㆍ석판화
(리소그라피)
ㆍ모노타이프
ㆍ유리판화
ㆍ스텐실
ㆍ실크 스크린
(4) 판을 조각칼로 새길 때 주의 사항
① 오른손은 조각칼로 쥐고 왼손은 오른손을 받치거나 보조하며 고무판이 움직이지 않게 누른다.
② 왼손이 칼날 앞으로 나오지 않게 한다.
③ 파내는 방향이 바뀔 때나 곡선을 새길 때는 판재를 돌려 놓고 새긴다.
④ 서두르며 새기다 보면 칼이 미끄러져 다치기 쉽다.
⑤ 칼은 그 쓸모에 따라 알맞은 것으로 골라 사용한다.
⑥ 창칼은 칼을 약간 세워 칼자국을 깊게 낸 다음 판을 돌려 놓고 반대쪽에서 도려 낸다.
(5) 판화를 찍을 때의 유의할 점
① 판을 새길 때 생겨난 부스러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판면을 깨끗하게 한다.
■ 6학년 4단원 「다색 판화」
② 롤러에 잉크를 바르거나 판에 잉크를 묻힐 때, 롤러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골고루 굴려 묻히도록 한다.
③ 찍는 종이가 구겨지거나 더렵혀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찍는 종이의 상하좌우의 여백이 알맞게 골고루 남도록 한다.
⑤ 다색판을 찍을 때에는 깔개 종이의 크기를 같게 하고 판이 놓이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찍 히는 위치가 서로 어긋남이 없도록 한다.
(6) 용구 정리하기
① 잉크가 묻은 판화 용구는 사용 후 닦아 놓지 않으면 그 다음 사용이 어렵다.
② 롤러는 석유를 묻힌 신문지에 여러 번 문질러 잉크를 닦아 낸다.
③ 잉크판의 잉크는 판화용 나이프로 긁어 내고 석유를 묻힌 휴지로 닦은 후, 면 헝겊으로 깨끗이 닦는다.
④ 잉크판에서 긁어 낸 잉크가 많은 경우는 잉크통에 다시 담지 말고, 다른 그릇에 담아 두었다가 사용한다.
⑤ 잉크는 신문이나 휴지로 간단하게 닦아 내고 마무리를 면 헝겊으로 닦으면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⑥ 닦는 용제로는 석유가 적당하며, 휘발성이 강한 시너나 벤젠 등은 몸에 해롭다.
(7) 프레스를 사용하는 방법
① 프레스의 압력 조절
- 양쪽의 압력이 같아야 고르게 찍힌다.
- 좌우 같은 압력이 되도록 프레스의 나사를 동시에 움직여 조절한다.
② 판놓기
- 베드(철판) 위에 찍을 종이와 같은 크기의 받침 종이를 붙여 놓는다.
- 받침 종이의 가운데에 판을 올려 놓고, 받침 종이에 맞춰 찍을 종이를 올려 놓는다.
- 펠트를 덮는다.
③ 핸들돌리기
- 핸들은 천천히 쉬지 않고 돌린다. 도중에 멈추면 그림에 줄무늬가 생긴다.
④ 작품꺼내기
핸들을 다 돌리고 작품을 빼낼 때는 한쪽 손으로 작품을 누르고 다른 손으로 작품을 들어 살며시 본 후, 잘 찍혔으면 꺼내고 그렇지 않으면 압력 조절을 한 후 다시 찍는다.
(8) 평가 관점
① 다색 판화의 표현 방법을 이해하였는가?
② 여러 가지 판화 표현 방법 중에서 자기의 주제와 어울리는 방법을 선택하였는가?
③ 재료와 용구의 사용이 창의적이고 올바른가?
④ 대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게 다색 판화로 표현하였는가?
⑤ 재료와 용구를 사용한 후 정리를 잘 하는가?
⑥ 작품을 소중하게 잘 다루며 보관을 잘 하고 있는가?
■ 기타 교과서 내 참고자료
예술가의 손
(에칭, 16.8×22.5㎝, 1975년)
무어
(1898~1986, 영국)
△5학년 1단원
6학년 3단원▷
소
(석판화, 각 27×35㎝)
되스부르크
(1883~1931, 네덜란드)
추천자료
7차교육과정은 누구를 위한것인가?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과 대안
7차교육과정의 문제점
7차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제시
7차교육과정에 대한 소개
제7차교육과정
교육과정의 변천과 역사성, 7차교육과정 개정안 쟁점 2가지
체육과7차교육과정의문제점대안
음악과(음악교육)의 목표와 특성, 음악과(음악교육)의 배경과 방향, 중학교(중등) 음악과(음...
제7차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해
제7차교육과정
[국제이해교육]국제이해교육의 목적, 국제이해교육의 필요성, 국제이해교육의 외국 동향, 국...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의미,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필요성,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원칙, 정보통신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