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성장과정
◆ 도약기(1970년대)
◆ 성장기(1980년대)
◆ 재도약기(1990년대)
◆ 웅비기(2000년대)
◆ 도약기(1970년대)
◆ 성장기(1980년대)
◆ 재도약기(1990년대)
◆ 웅비기(2000년대)
본문내용
리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는 1896년 8월 1일 종로 4가에서 박승직상점으로 출발한 두산의 ‘100년의 역사’가 공인받은 것을 의미한다.
- 유럽배낭여행 실시
사원들이 해외여행을 통해 직접 국제감각을 익히는 이 제도는 유럽 왕복항공권, 유레일 패스 등을 제공해 10~15일 동안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도록 했다.
◆ 구조조정과 성장엔진 발굴(1996~2006)
1995년 100주년을 전환점으로 삼아, 다음 100년간의 경영활동의 근간이 될 2G 전략(Growth of People, Growth of Business)을 도입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인프라지원사업(ISB) 부문에 있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1996
- 대단위 팀제 도입
대대적인 사업구조 개편에 발맞추어 기존의 907개 과,부 조직을 전면 폐지하고, 그동안 운영해 온 소단위 팀을 통폐합해 총 415개의 대단위 팀으로 개편했다.
- 환경친화기업 최다 선정
두산의 30개 사업장 중 22개 사업장이 환경친화기업으로 선정되어 3년 연속 최다 환경친화기업으로 도약했다.
- 두산 新 CI 선포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 두산은 도전 2세기의 새시대 기업상 구현을 위한 新 CI를 제정 선포했다.
- 두산 창업 100주년 기념식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창업 100주년을 맞이한 두산은 타임캡슐 매설, 잠실 체조경기장 메인 이벤트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두산의 에너지를 재결집하고 미래지향적 자세를 가다듬었다.
1997
- 두산리조트 (現 라데나 리조트) 개관
호텔식 콘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춘천 의암호 인근에 두산리조트를 개관했다.
1998
- ㈜두산 출범 : ㈜두산은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거쳐 BG와 BU의 운영체제를 도입하여 9개 계열사를 통합 하는 등 미래 지향적인 선진 경영체제를 구현했다.
- 두산타워 준공 : 두산의 발상지인 종로4가 배오개가 가까운 동대문에 두산타워를 준공, 본격적인 두산의 동대문시대를 열었다.
2000
- 네오플럭스 설립 : 벤처기업 창업투자 및 기업 구조조정 투자전문회사로서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 및 관련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
- 한국중공업 (現 두산중공업) 인수
구조조정의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엔진을 발굴해 온 두산은 세계적 명성의 발전, 담수, 주단조 및 건설 전문기업인 한국중공업(現 두산중공업)을 인수함으로써 두산 기업역사에 커다란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03
- 고려산업개발 (現 두산건설) 인수
고려산업개발 인수로 두산건설은 규모의 경제에 따른 원가경쟁력 향상, 사업시너지 효과로 인한 매출 및 이익 증대 등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2005
- DLI 개원
두산의 글로벌 인재육성 산실이자 두산의 새로운 100년을 밝힐 인재를 키워내는 터전인 DLI(Doosan Leadership Institute)를 개원했다.
- 대우종합기계 (現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두산의 ISB를 선도하는 핵심 계열기업으로 새롭게 출범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신뢰성을 갖춘 차세대 제품의 개발과 출시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미국AES社 미주지역 수처리사업 (現 두산하이드로테크놀로지) 인수
세계 1위의 MSF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두산중공업은 미국의 AES社 미주지역 수처리사업을 인수함으로써 담수 플랜트의 주축인 RO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2006
- 영국 미쓰이밥콕 (現 두산밥콕) 인수
영국의 발전설비 원천기술업체인 미쓰이 밥콕 (現 두산밥콕)을 인수하는 등 두산중공업은 글로벌 체제를 가속화해 나가고 있다.
- 루마니아 IMGB (現 두산IMGB) 인수
루마니아 최대의 발전설비 소재업체인 크배르너 IMGB사 (現 두산 IMGB)가 두산의 일원으로 새 출발했다.
- 연합캐피탈 (現 두산캐피탈) 인수
두산의 새로운 가족이 된 두산캐피탈은 글로벌 종합여신전문 금융 회사로의 발판을 마련했다.
◆ 글로벌 기업으로의 변신(2007~)
미국 잉거솔랜드(Ingersoll Rand)로부터 밥캣(Bobcat)을 비롯한 3개의 사업부분을 인수함으로써 두산을 글로벌 브랜드로 만들겠다는 비전은 현실이 되었다. 한국의 자그마한 상점으로 시작한 두산은 ISB 산업 부문의 세계적인 유수기업이 되었다.
2007
- 세계일류상품 총 15 품목 보유
2007년 현재 두산이 보유한 세계일류상품(산업자원부 선정)은 두산중공업의 해수화 담수 플랜트 등 총 15개로 세계 최고의 기술로 높은 수출실적을 올리고 있다.
- 미국 잉거솔랜드사 밥캣 등 3개 사업부 인수
두산인프라코어는 세계 1위의 경쟁력을 보유한 미국 잉거솔랜드의 소형 건설장비 사업부문(밥캣, 어태치먼트, 유틸리티 이큅먼트) 등에 대한 M&A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성장 동력을 배가하며 건설기계분야 세계 7위로 급부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미국CTI, 중국 연대유화기계 인수
미국의 HCNG 엔진 원천기술 보유 업체인 CTI와 중국의 휠로더 업체인 연대유화기계를 인수, 기술 확보와 현지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2008
- 동명모트롤 (現 두산모트롤) 인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국내 유압기기 1위 업체인 동명모트롤이 두산의 일원으로 새 출발했으며, ㈜두산의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 중의 하나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영입
두산은 글로벌 기업 규모에 맞는 사회공헌 활동 추진으로 국가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학교법인 중앙대학교의 새로운 재단으로 출범했다.
- 독일 물류장비 전문업체 ATL 인수
인프라 지원 사업(ISB, Infrasrtucture Support Business) 영역 확대를 가속화 하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는 독일의 물류장비 전문 업체를 인수함으로써 전문 산업차량 업체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연간 15만 대에 이르는 유럽 창고전용 물류장비 시장에 본격 진출하게 되었다.
2009
- ㈜두산 사업형 지주회사로 전환
㈜두산은 3월 27일 서울 장충동 호텔신라에서 열린 제72기 정기 주주총회를 분기점으로 자산 대비 자회사 주식가액 비율이 50%를 상회해야 하는 지주회사 요건을 충족해 사업형 지주회사로 전환하게 되었다.
- 유럽배낭여행 실시
사원들이 해외여행을 통해 직접 국제감각을 익히는 이 제도는 유럽 왕복항공권, 유레일 패스 등을 제공해 10~15일 동안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도록 했다.
◆ 구조조정과 성장엔진 발굴(1996~2006)
1995년 100주년을 전환점으로 삼아, 다음 100년간의 경영활동의 근간이 될 2G 전략(Growth of People, Growth of Business)을 도입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인프라지원사업(ISB) 부문에 있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1996
- 대단위 팀제 도입
대대적인 사업구조 개편에 발맞추어 기존의 907개 과,부 조직을 전면 폐지하고, 그동안 운영해 온 소단위 팀을 통폐합해 총 415개의 대단위 팀으로 개편했다.
- 환경친화기업 최다 선정
두산의 30개 사업장 중 22개 사업장이 환경친화기업으로 선정되어 3년 연속 최다 환경친화기업으로 도약했다.
- 두산 新 CI 선포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 두산은 도전 2세기의 새시대 기업상 구현을 위한 新 CI를 제정 선포했다.
- 두산 창업 100주년 기념식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창업 100주년을 맞이한 두산은 타임캡슐 매설, 잠실 체조경기장 메인 이벤트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두산의 에너지를 재결집하고 미래지향적 자세를 가다듬었다.
1997
- 두산리조트 (現 라데나 리조트) 개관
호텔식 콘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춘천 의암호 인근에 두산리조트를 개관했다.
1998
- ㈜두산 출범 : ㈜두산은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거쳐 BG와 BU의 운영체제를 도입하여 9개 계열사를 통합 하는 등 미래 지향적인 선진 경영체제를 구현했다.
- 두산타워 준공 : 두산의 발상지인 종로4가 배오개가 가까운 동대문에 두산타워를 준공, 본격적인 두산의 동대문시대를 열었다.
2000
- 네오플럭스 설립 : 벤처기업 창업투자 및 기업 구조조정 투자전문회사로서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 및 관련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
- 한국중공업 (現 두산중공업) 인수
구조조정의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엔진을 발굴해 온 두산은 세계적 명성의 발전, 담수, 주단조 및 건설 전문기업인 한국중공업(現 두산중공업)을 인수함으로써 두산 기업역사에 커다란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03
- 고려산업개발 (現 두산건설) 인수
고려산업개발 인수로 두산건설은 규모의 경제에 따른 원가경쟁력 향상, 사업시너지 효과로 인한 매출 및 이익 증대 등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2005
- DLI 개원
두산의 글로벌 인재육성 산실이자 두산의 새로운 100년을 밝힐 인재를 키워내는 터전인 DLI(Doosan Leadership Institute)를 개원했다.
- 대우종합기계 (現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두산의 ISB를 선도하는 핵심 계열기업으로 새롭게 출범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신뢰성을 갖춘 차세대 제품의 개발과 출시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 미국AES社 미주지역 수처리사업 (現 두산하이드로테크놀로지) 인수
세계 1위의 MSF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두산중공업은 미국의 AES社 미주지역 수처리사업을 인수함으로써 담수 플랜트의 주축인 RO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2006
- 영국 미쓰이밥콕 (現 두산밥콕) 인수
영국의 발전설비 원천기술업체인 미쓰이 밥콕 (現 두산밥콕)을 인수하는 등 두산중공업은 글로벌 체제를 가속화해 나가고 있다.
- 루마니아 IMGB (現 두산IMGB) 인수
루마니아 최대의 발전설비 소재업체인 크배르너 IMGB사 (現 두산 IMGB)가 두산의 일원으로 새 출발했다.
- 연합캐피탈 (現 두산캐피탈) 인수
두산의 새로운 가족이 된 두산캐피탈은 글로벌 종합여신전문 금융 회사로의 발판을 마련했다.
◆ 글로벌 기업으로의 변신(2007~)
미국 잉거솔랜드(Ingersoll Rand)로부터 밥캣(Bobcat)을 비롯한 3개의 사업부분을 인수함으로써 두산을 글로벌 브랜드로 만들겠다는 비전은 현실이 되었다. 한국의 자그마한 상점으로 시작한 두산은 ISB 산업 부문의 세계적인 유수기업이 되었다.
2007
- 세계일류상품 총 15 품목 보유
2007년 현재 두산이 보유한 세계일류상품(산업자원부 선정)은 두산중공업의 해수화 담수 플랜트 등 총 15개로 세계 최고의 기술로 높은 수출실적을 올리고 있다.
- 미국 잉거솔랜드사 밥캣 등 3개 사업부 인수
두산인프라코어는 세계 1위의 경쟁력을 보유한 미국 잉거솔랜드의 소형 건설장비 사업부문(밥캣, 어태치먼트, 유틸리티 이큅먼트) 등에 대한 M&A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성장 동력을 배가하며 건설기계분야 세계 7위로 급부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미국CTI, 중국 연대유화기계 인수
미국의 HCNG 엔진 원천기술 보유 업체인 CTI와 중국의 휠로더 업체인 연대유화기계를 인수, 기술 확보와 현지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2008
- 동명모트롤 (現 두산모트롤) 인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국내 유압기기 1위 업체인 동명모트롤이 두산의 일원으로 새 출발했으며, ㈜두산의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 중의 하나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영입
두산은 글로벌 기업 규모에 맞는 사회공헌 활동 추진으로 국가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학교법인 중앙대학교의 새로운 재단으로 출범했다.
- 독일 물류장비 전문업체 ATL 인수
인프라 지원 사업(ISB, Infrasrtucture Support Business) 영역 확대를 가속화 하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는 독일의 물류장비 전문 업체를 인수함으로써 전문 산업차량 업체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연간 15만 대에 이르는 유럽 창고전용 물류장비 시장에 본격 진출하게 되었다.
2009
- ㈜두산 사업형 지주회사로 전환
㈜두산은 3월 27일 서울 장충동 호텔신라에서 열린 제72기 정기 주주총회를 분기점으로 자산 대비 자회사 주식가액 비율이 50%를 상회해야 하는 지주회사 요건을 충족해 사업형 지주회사로 전환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중국의 고속성장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처방안
기업의 이윤추구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인도 경제 성장에 대한 우리기업의 대처방안
벤처기업가(벤처산업가)의 자세, 벤처기업(벤처산업)의 유형과 의의, 벤처기업(벤처산업)의 ...
포스코기업분석 포스코 미래 성장동력 확보전략 ,친환경경영, 녹색사업 PPT자료,녹색 신사업 ...
[벤처기업 창업] 벤처기업의 배경과 특징 및 성장요건
기업의 계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 요소 4개 중 어느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기업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Paperless 지구사랑 프로젝트 (전자문서),에코환경.PPT자료
미국의 상징이 된 기업,WAL★MART 불황없는 소비를 창조하라 - 월마트,월마트와샘월튼,월마트...
[1인창조기업]1인 창조기업 활성화 방안 - 성장배경과 유형
[1인창조기업]1인 창조기업 활성화 방안 - 성장배경과 유형 PPT자료
2등 기업에게 배우는 성장 전략.pptx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의 등장 배경과 특성, 소셜미디어가 기업의 광고커뮤니케이션 채널...
사회적 기업론 레포트 [TOMS 기업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