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도구
4. 실험 방법
2. 실험 원리
3. 실험 도구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보존 되지 않는다. 에어트랙이 있지만, 에너지 손실이 너무 크다. 정확한 실험을 위해 적절한 바람의 세기가 필요하다.
3. 1분이 경과 할 즘에 추를 보면 처음보다 위치에너지가 1/3정도 감소해 있다. 이는 저항으로 인한 것으로 평균값으로는 정확한 관성 모멘트를 구하기 불가능 하다. 따라서 추가 단진자 운동하므로 주기를 정확하게 측정한 뒤 디지털 플레이의 수치와 비교하여 더 정확한 가속도 및 이동거리를 구할 수 있다.
4. 먼저 실험 전에 적절한 바람의 세기와 실험 하고자 하는 디스크를 돌려 에너지가 보존 되는지 확인 후에 실험 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실험 결과*(구하는 방법)
1. (1분간 디스크의 총 이동거리 단위 m)
s(실험결과의 총합) 200은 눈금이 200이므로 나눈다.
2. (1분간 추의 이동거리) R=디스크 반지름, r=회전축 반지름
3. 주기 T 구하기 T동안 추의 이동거리는 2h 이므로
T = 중력에 의한 등가속한 시간은 t =
4. h = 이므로, (추의 가속도)
5. (디스크의 회전 가속도)=
6. 에 지금까지 구한 값을 대입한다.
7.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 여러 가지 물체의 관성 모멘트
3. 1분이 경과 할 즘에 추를 보면 처음보다 위치에너지가 1/3정도 감소해 있다. 이는 저항으로 인한 것으로 평균값으로는 정확한 관성 모멘트를 구하기 불가능 하다. 따라서 추가 단진자 운동하므로 주기를 정확하게 측정한 뒤 디지털 플레이의 수치와 비교하여 더 정확한 가속도 및 이동거리를 구할 수 있다.
4. 먼저 실험 전에 적절한 바람의 세기와 실험 하고자 하는 디스크를 돌려 에너지가 보존 되는지 확인 후에 실험 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실험 결과*(구하는 방법)
1. (1분간 디스크의 총 이동거리 단위 m)
s(실험결과의 총합) 200은 눈금이 200이므로 나눈다.
2. (1분간 추의 이동거리) R=디스크 반지름, r=회전축 반지름
3. 주기 T 구하기 T동안 추의 이동거리는 2h 이므로
T = 중력에 의한 등가속한 시간은 t =
4. h = 이므로, (추의 가속도)
5. (디스크의 회전 가속도)=
6. 에 지금까지 구한 값을 대입한다.
7.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 여러 가지 물체의 관성 모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