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수정주의’ 이론.
1) Edmund Burke.
2) Alfred Cobban.
3) George V. Taylor.
4) Francois Furet.
2. ‘수정주의’ 이론의 문제점.
Ⅲ. 결 론.
Ⅱ. 본 론.
1. ‘수정주의’ 이론.
1) Edmund Burke.
2) Alfred Cobban.
3) George V. Taylor.
4) Francois Furet.
2. ‘수정주의’ 이론의 문제점.
Ⅲ. 결 론.
본문내용
Back on the French Revolution (N.J.: Rutgers Univ. Press, 1990), pp. 111-112; 김민제, pp. 70-71 에서 재인용.
토인비에 의하면, 위대한 혁신은 언제나 밑에서부터 일어난다고 하였다. 역사의 원동력은 민중이며, 프랑스 혁명은 민중의 개념을 인식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수정주의 학자들은 테러와 학살이라는 개념에만 초점을 맞추어 혁명의 잔인함만을 주장 하였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를 살펴볼 때, 커다란 역사적 변혁에는 피할 수 없는 재앙이 항상 뒤따르기 마련이다. 비록 이러한 과정이 아주 폭력적이고 인권을 유린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더라도, 이 사실만을 근거로 프랑스 혁명의 수많은 업적들을 매도해서는 안 될 것이다. 김민제, pp. 73, 130.
Ⅲ. 결론.
역사적 사건의 이해는 연구자와 시대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다.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었던 값지고, 고귀한 ‘프랑스 혁명’이 보잘 것 없는 혁명으로 바뀌었듯이, 역사는 본질적으로 변화를 추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 그리고 그에 따른 다양한 해석들의 등장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에 발 맞추기 위해서는 독단적으로 자기 자신의 목소리만을 높이는 편협한 자세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수정주의’가 현 시점에서 ‘프랑스 혁명’을 해석하는 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하여, 이것만이 올바른 해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프랑스 혁명’에 관한 해석은 시대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따라서 ‘수정주의’가 언제 다른 이론에게 왕좌를 물려줄 것인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일이다.
실제로 1990년대에는 이른바 ‘후수정주의’ 이론이 등장하여, ‘수정주의’ 이론의 장점을 ‘정통주의’ 이론에 결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감한 시도는 ‘수정주의’ 이론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일이며, ‘수정주의’는 자기 개혁을 수행해야만 하는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이제 우리는, 열린 사고로 다른 이론들을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남의 의견을 인정하고, 자신의 논리를 수정하는 과정 속에서 보다 나은 이론이 등장할 것이며, 이것이 진정으로 ‘프랑스 혁명’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길임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민제. <<프랑스 혁명의 이상과 현실>>. 서울: 역민사, 1998.
김성건 외. <<알렉시스 드 또끄빌을 찾아서 - 민주주의와 마음의 습속에 대한 사상>>. 서울: 학문과 사상사, 1996.
김용무.. <<인문과학>> 4 (1975):137-158.
김인중. <프랑스 혁명의 ‘수정주의’적 해석>. <<창작과 비평>> 66 (1989):242-258.
민석홍. <프랑스 혁명: 부르조아 혁명인가, 민중 혁명인가?>. <<서양사론>> 33 (1989):27-36.
________. <프랑스 革命을 어떻게 理解할 것인가?>. <<서양사론>> 33 (1989):37-43.
민석홍 편. <<프랑스 革命史論>>. 서울: 까치, 1988.
보벨, 미쉘, 민석홍 외. <<프랑스 200주년 기념총서- 6. 프랑스 혁명과 한국>>. 서울: 일월서각, 1991.
보벨, 미쉘, 최갑수 외 역. <<프랑스 200주년 기념총서- 1. 왕정의 몰락과 프랑스 혁명, 1787-1792>>. 서울: 일월서각, 1987.
이세희. <프랑스 革命史家 Georges Lefebvre와 民衆>. <<부대사학>> 18 (1994):567-596.
이태숙.. <<역사학보>> 65 (1975):75-113.
퓌레, 프랑스와, 리셰, 드니, 김응종 역. <<프랑스 혁명사>>. 서울: 일월서각, 1990.
퓌레, 프랑스와, 정경희 역. <<프랑스 革命의 解剖>>. 서울: 법문사, 1987.
하명수. <에드먼드 버크의 歷史觀 小考>. <<창원대 논문집>> 14 (1992):65-81.
<<브리테니커 세계대백과사전>>. <버크>. 서울: 한국 브리테니커회사, 1993.
http://bh.kyungpook.ac.kr/~leor/einf98-1/klausur1.htm
http://bh.kyungpook.ac.kr/~leor/einf98-1/klausur2.htm
http://myhome.netsgo.com/doctorkang/frevol.htm
토인비에 의하면, 위대한 혁신은 언제나 밑에서부터 일어난다고 하였다. 역사의 원동력은 민중이며, 프랑스 혁명은 민중의 개념을 인식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수정주의 학자들은 테러와 학살이라는 개념에만 초점을 맞추어 혁명의 잔인함만을 주장 하였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를 살펴볼 때, 커다란 역사적 변혁에는 피할 수 없는 재앙이 항상 뒤따르기 마련이다. 비록 이러한 과정이 아주 폭력적이고 인권을 유린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더라도, 이 사실만을 근거로 프랑스 혁명의 수많은 업적들을 매도해서는 안 될 것이다. 김민제, pp. 73, 130.
Ⅲ. 결론.
역사적 사건의 이해는 연구자와 시대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다.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었던 값지고, 고귀한 ‘프랑스 혁명’이 보잘 것 없는 혁명으로 바뀌었듯이, 역사는 본질적으로 변화를 추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 그리고 그에 따른 다양한 해석들의 등장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에 발 맞추기 위해서는 독단적으로 자기 자신의 목소리만을 높이는 편협한 자세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수정주의’가 현 시점에서 ‘프랑스 혁명’을 해석하는 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하여, 이것만이 올바른 해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프랑스 혁명’에 관한 해석은 시대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따라서 ‘수정주의’가 언제 다른 이론에게 왕좌를 물려줄 것인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일이다.
실제로 1990년대에는 이른바 ‘후수정주의’ 이론이 등장하여, ‘수정주의’ 이론의 장점을 ‘정통주의’ 이론에 결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감한 시도는 ‘수정주의’ 이론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일이며, ‘수정주의’는 자기 개혁을 수행해야만 하는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이제 우리는, 열린 사고로 다른 이론들을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남의 의견을 인정하고, 자신의 논리를 수정하는 과정 속에서 보다 나은 이론이 등장할 것이며, 이것이 진정으로 ‘프랑스 혁명’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길임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민제. <<프랑스 혁명의 이상과 현실>>. 서울: 역민사, 1998.
김성건 외. <<알렉시스 드 또끄빌을 찾아서 - 민주주의와 마음의 습속에 대한 사상>>. 서울: 학문과 사상사, 1996.
김용무.
김인중. <프랑스 혁명의 ‘수정주의’적 해석>. <<창작과 비평>> 66 (1989):242-258.
민석홍. <프랑스 혁명: 부르조아 혁명인가, 민중 혁명인가?>. <<서양사론>> 33 (1989):27-36.
________. <프랑스 革命을 어떻게 理解할 것인가?>. <<서양사론>> 33 (1989):37-43.
민석홍 편. <<프랑스 革命史論>>. 서울: 까치, 1988.
보벨, 미쉘, 민석홍 외. <<프랑스 200주년 기념총서- 6. 프랑스 혁명과 한국>>. 서울: 일월서각, 1991.
보벨, 미쉘, 최갑수 외 역. <<프랑스 200주년 기념총서- 1. 왕정의 몰락과 프랑스 혁명, 1787-1792>>. 서울: 일월서각, 1987.
이세희. <프랑스 革命史家 Georges Lefebvre와 民衆>. <<부대사학>> 18 (1994):567-596.
이태숙.
퓌레, 프랑스와, 리셰, 드니, 김응종 역. <<프랑스 혁명사>>. 서울: 일월서각, 1990.
퓌레, 프랑스와, 정경희 역. <<프랑스 革命의 解剖>>. 서울: 법문사, 1987.
하명수. <에드먼드 버크의 歷史觀 小考>. <<창원대 논문집>> 14 (1992):65-81.
<<브리테니커 세계대백과사전>>. <버크>. 서울: 한국 브리테니커회사, 1993.
http://bh.kyungpook.ac.kr/~leor/einf98-1/klausur1.htm
http://bh.kyungpook.ac.kr/~leor/einf98-1/klausur2.htm
http://myhome.netsgo.com/doctorkang/frevol.htm
추천자료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의 산업 혁명의 이동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산업혁명 전개 및 특징
프랑스 혁명 (부르주아혁명)의 의의와 특징, 파급효과 ,한계
구체제와 프랑스 대혁명 (요약)
[프랑스어권연구]퀘벡의 조용한 혁명 - 조용한 혁명의 전개 과정 및 사회 전반에 불러 온 여...
혁명으로 보는 프랑스 사회 (프랑스 혁명,7월 혁명.2월 혁명,68혁명)
프랑스 혁명과 베르사이유의 행진. 혁명의 숨겨진 주인공-여성들에 관하여
혁명은 왜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는가 [프랑스 대혁명 원인]
프랑스 1968년 5월 혁명의 세계사적 배경과 의의 (5월 혁명의 세계적(경제적&#8231;정치...
[프랑스 혁명의 현대적 의의] 프랑스 혁명의 현재성,프랑스 혁명의 정치적 의의,봉건제도의 ...
프랑스 68혁명 - 프랑스 68혁명이 발생한 배경, 프랑스 68혁명의 발생 단계, 프랑스 68혁...
프랑스 대혁명 - 프랑스 대혁명 원인, 발전과정, 결과의 모든 것 레포트
프랑스 대혁명 - 프랑스 대혁명 원인과 발전과정 및 결과
프랑스 전쟁사,프랑스 전쟁사 연대표,십자군 전쟁,백년 전쟁,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