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의 원인과 분류 및 일반적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지체의 원인과 분류 및 일반적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개념 및 정의

2. 원인

3. 정신지체의 분류

4. 정신지체의 정도

5. 정신지체아동의 일반적인 특성

6. 교육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경험의 일부분으로서 효과적인 직업지도를 통하여 그들의 직업적 자신감을 발달시 켜야 한다.
그들은 건전한 정신위생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독립적일 수 있도록 교육되어져야 한다.
그들은 좋은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과 위생의 습관을 길러야 한다.
비록 그들의 학습적인 한계가 초등 3학년 혹은 5학년에 한한다 해도 그들은 최소한의 필수과목, 도구과목을 배워야 한다.
그들은 여가활동이나 오락을 즐길 수 있게 가르치는 교육적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든 여 가시간 이용을 그들 자신이 할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한다.
그들은 교육과정의 기능으로서의 가족구성원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적절한 가정과 가족의 구성원이 되도록 학습해야 한다.
그들은 지역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학교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적절한 구성원이 되도록 학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Goldstein과 Seigle도 이미 정신지체아의 교육목표를 다음과 같이 시사했다. 시민성 의사소통 가정과 가족 여가시간 물건사용과 돈 직업 심신건강 안정 사회적응 여행 등이다.
이와 같은 교육목표들은 ‘일반적인 목표’와 ‘특수목표’로 나누어서 교려해 본다면 우선 일반적 목표로서 정신지체아의 일반적 교육목표는 피학습자의 잔존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자아실현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일반아동의 교육목표와 다를 바 없으나 정신지체아에게는 어디까지나 이와 같은 일반목표의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을 위한 특수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정신지체아의 교육목표는 지능의 항구적 지체라고 하는 병리적, 신체적인 장애와 이에 따라 나타나는 성격적 결함을 가능한 한 극소화시키고 그들의 잔존능력을 최대한 충분히 발휘하게 하여 보다 나은 사회인으로 자립하고 보다 유능한 사회적 적응을 가능케 하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특수목표로서는 구체적으로 경도, 중도, 그리고 최중도 정신지체아 등의 지체 수준별로 세분되어 있으나, 그 목표들이 내포하고 있는 궁극적인 면에서는 서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발달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성취한 유능한 정신지체아로서 자립생활을 영위할 수 이도록 도와주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며, 특히 요구되는 목표로서는 정신적 정서적 안정 신체기능 향상과 건강한 신체유지 명랑한 성격형성 자기 일에 대한 만족을 느끼는 태도 형성 책임의 태도 형성 행동의 자제력 형성 의사소통 능력 형성 적극적이며 긍정적 생활태도 형성 근면, 절약 생활태도 형성 사회생활 적응능력 형성 등이다.
오늘날 정신지체아를 위한 교육목표로서는 일단 아동이 정신지체아로 분류되면 교육목표가 설정되는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해야 하며, 개별화 프로그램(IEP)을 사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여 IEP에는 사정자료, 장기목적, 목표, 측정가능한 목표, 프로그램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직원, 평가 절차 등이 수록되어 있다.
결론
처음에 정신박약이라는 용어를 가지고 자료 조사를 했을 때, 생각보다 자료가 많이 없었고 용어부터가 왠지 어렵다고 생각했었다. 위의 정의에도 봤듯이 정신박약이란 용어 이름자체에서 낙인의 의미가 있어서 이제는 정신지체라는 용어를 쓴다고 하였는데 정신지체라는 말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람들이 쓰는 말이었었다. 이번 조사를 하면서 정신박약과 정신지체라는 말이 같은 의미인 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가 학교에서 쓰는 교재에서는 미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 실제적으로는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는 것 같다. 원인이나 특징 분류 등을 조사하면서도 알고 있었던 내용도 있었고, 처음 접하는 내용도 있었지만 그래도 읽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 다행이었다. 다만, 정신지체의 발생 원인에서 알지도 못하는 병명들과 용어들 때문에 좀 혼란스럽기도 했다. 그 자세한 속속까지는 알아볼 수 없었고, 너무 어려운 내용이라서 그 용어의 이름만 알고 넘어가는 정도로 넘겨야 했다. 이 내용을 조사하면서 우선은 내가 팔공산에 있는 자유재활원에 봉사활동을 갔을 때 계셨던 분들 생각이 났다. 그 곳에 계신 분들은 거의 정신지체를 지니고 계셨는데 딱히 그런 용어를 쓰지 않았고, 그러한 정보도 듣지 못하고 무작정 봉사활동을 하러 갔던 것 같아서 지금에 와서 몹시 부끄러웠다. 지금에야 조사하면서 아~! 그분들이 가진 장애가 이런 것이구나! 하면서 한 번 떠올려본다. 어릴 적이어서 왜 나보다 나이도 많은데 지능이 떨어질까 생각은 했어도 그렇게 궁금하지도 않았었는데 이번 내용이 그 궁금증을 해소시켜준 것 같다. 처음엔 막연하게 시작했던 조사였지만, 지금은 지식을 얻은 뿌듯함이 있다. 장애에 관한 어떤 한 분야를 알게 되어서 뜻 깊다.
참고문헌
* 정신지체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 김남순 / 2005 / 교육과학사
* 정신지체 / Ronald L. Taylor 외 / 2006 / 시그마프레스
* 특수아동의 이해와지도 - 이론과실제 / 최중옥 / 1997 / 교육과학사
* 특수교육의 이해 / 신기현 외 / 2005 / 교육과학사
*http://www.ilsin.or.kr/05_information/sub_05.php?pmode=read&uid=132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1&eid=MWZc4kP8jPcEK 9902P1wApBwYSvZa6RV&qb=waS9xbnavuA=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360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1&eid=M0QQclkXtgXp5i h75XQokZDwGsNa0CcV&qb=waS9xcH2w7w=
http://www.guidance.co.kr/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117&eid=58ItunUs9tYgN CDu0riadisHk7edlNtF&qb=waS9xcH2w7w=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