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8 배합
2.9 계량설비 및 믹서
2.9 계량설비 및 믹서
본문내용
2.8.1 일반사항
(1)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철근 또는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 및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해야 한다.
(2)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기 위해 콘크리트는 부재의 크기와 형상, 콘크리트의 다지기 방법 등에 따라서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콘크리트가 충분히 채워지도록 치고 다지는 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재료분리가 거의 생기지 않는 콘크리트이어야 한다.
2.8.2 배합강도
(1)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현장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배합강도(fcr)를 설계기준강도(fck)보다 충분히 크게 정해야 한다.
(2) 현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이 설계기준강도 이하로 되는 확율은 5% 이하여야 하고 또한 압축강도 시험값이 설계기준강도의 85% 이하로 되는 확률은 0.13% 이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이란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채취하여 제작한 공시체를 표준양생하여 얻은 압축강도의 평균값을 말한다.
(4) 배합강도의 결정은 (2)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다음의 두 식에 의한 값 중 큰값을 적용한다.
fcr ≥fck + 1.64s (kgf/㎠) (2.1)
fcr ≥0.85fck + 3s (kgf/㎠) (2.2)
s ; 압축강도의 표준편차(kgf/㎠)
(5)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실적으로부터 결정한다. 다만, 공사초기에 그 값을 추정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소규모의 공사에서는 0.15fck를 적용한다.
2.8.3 물-시멘트
(1) 물-시멘트비는 소요의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수밀을 요하는 구조물에서는 콘크리트의 수밀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물-시멘트(W/C)를 정할 경우
①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와의 관계는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때 공시체는 재령 28일을 표준으로 한다.
(1)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철근 또는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 및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해야 한다.
(2)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기 위해 콘크리트는 부재의 크기와 형상, 콘크리트의 다지기 방법 등에 따라서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콘크리트가 충분히 채워지도록 치고 다지는 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재료분리가 거의 생기지 않는 콘크리트이어야 한다.
2.8.2 배합강도
(1)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현장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배합강도(fcr)를 설계기준강도(fck)보다 충분히 크게 정해야 한다.
(2) 현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이 설계기준강도 이하로 되는 확율은 5% 이하여야 하고 또한 압축강도 시험값이 설계기준강도의 85% 이하로 되는 확률은 0.13% 이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이란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채취하여 제작한 공시체를 표준양생하여 얻은 압축강도의 평균값을 말한다.
(4) 배합강도의 결정은 (2)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다음의 두 식에 의한 값 중 큰값을 적용한다.
fcr ≥fck + 1.64s (kgf/㎠) (2.1)
fcr ≥0.85fck + 3s (kgf/㎠) (2.2)
s ; 압축강도의 표준편차(kgf/㎠)
(5)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실적으로부터 결정한다. 다만, 공사초기에 그 값을 추정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소규모의 공사에서는 0.15fck를 적용한다.
2.8.3 물-시멘트
(1) 물-시멘트비는 소요의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수밀을 요하는 구조물에서는 콘크리트의 수밀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물-시멘트(W/C)를 정할 경우
①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와의 관계는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때 공시체는 재령 28일을 표준으로 한다.
추천자료
[건설업통계][건설업][통계][하도급][노동자건강][취업자][부도율]건설업통계의 개념, 건설업...
[건설투자의 동향][건설투자와 건설수주][건설투자의 SOC투자][건설투자의 예측모형][건설투...
[주택건설][북한의 주택건설 사례][주택건설의 활성화방안]주택건설의 기준, 주택건설의 관련...
[건설업체][구조조정][건설업체의 IT활용][건설업체의 자동화업무영역][건설업체의 생존전략]...
[CIC][건설통합관리시스템][건설][인력고용]건설의 현황, 건설의 인력고용, 건설의 전망, CIC...
[건설하도급][대금지급][부패][건설하도급의 논점][건설하도급의 개선방향]건설하도급의 대두...
[영월댐 건설][영월댐 건설 갈등]영월댐 건설의 진행과정, 영월댐 건설의 갈등, 영월댐 건설...
[주택건설 동향][주택건설 관련법 현황][주택건설 기준][주택건설 구상과 도면][주택건설 개...
[CM][건설사업관리]CM(건설사업관리)의 정의, CM(건설사업관리)의 분류, CM(건설사업관리)의 ...
[건설공사][소음관리][안전관리][파트너링][건설기계][자동화][클레임]건설공사의 소음관리, ...
[건설산업][규제정비][인력고용][리모델링][구조조정]건설산업의 특성, 건설산업의 전망, 건...
[건설업][건설산업][LG건설][SK건설][삼성건설]건설업(건설산업)의 종류, 건설업(건설산업)의...
[건설기술, 건설기술 인력관리, 건설기술 생산관리전산화, 건설기술과 건설기술자, 건설기술 ...
[건설사업][건설][사업][건설사업 관리][CM][건설사업 공사시간][건설사업 발전소전문건설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