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토의법이란
2. 일반적 토의의 유형
2. 일반적 토의의 유형
본문내용
단을 구성할 때, 나이 및 신분 등이 비슷해야 더 많은 의견과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완벽하게 의사 발표의 자유가 허용되며, 참여자가 전통이나 관습 등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융통성이 있는 환경 및 분위기를 형성한다.
8) 버즈토의(buzz discussion)
버즈 토의란 미국 미시간 대학의 필립스에 의해 고안된 기법으로 대체로 3~6명으로 구성되는 소집단 토의 방식이다. 한 주제에 대해서 6명씩으로 구성된 각 그룹이 6분 정도 토의한다는 뜻으로 6 6법이라고도 한다. Buzz란 ‘벌들이 윙윙’거리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수업 진행 시 6명씩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토의를 진행하므로 시끄러운 학습상황을 강조하여 일명 ‘와글와글 학습’이라고도 불린다. 이 방법은 토의에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하는데 그 인원이 너무 많다고 여겨질 때, 수업 분위기가 침체되었거나 수업이 너무 단조로운 경우 분위기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소집단으로 나누어 토의 하는 방식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나 개념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흥미를 갖게 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인수의 토의에서 몇 명 학습자만이 토의를 좌우하고 대부분의 학습자는 발표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며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단점을 보완하여 전원이 적극적인 태도로 토의에 참여하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소집단 사이에 분열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각 집단마다 고르게 적절한 지도를 하기 어렵다.
조 인원수가 적기 때문에 발표 시 심리적 긴장감이 적다.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도 있는 결론을 도출해내기는 어렵다.
저학년부터 대학 또는 성인사회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토의주제와 토의 적용범위가 다양하다.
토의할 주제를 선정할 때 주의해야 되는데, 참가자들이 되도록 경험했거나 관심이 있는 것이 좋으며 또한 구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9) 피라미드 토의(pyramid discussion)
피라미드 토의이란 엄밀히 말하면 역피라미드 토의방식의 의견 수렴 및 합의 방식이다.
주어진 논제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 기법에 의해 1인당 4매의 색종이 카드에 작성한 후, 옆 사람과 1:1 토의과정을 거쳐 카드 매수를 4매로 압축한 다음, 다시 다른 팀과 2:2 토의과정을 거쳐 매수를 4매로 압축한다. 다시 다른 팀과 4:4의 토의과정을 거쳐 매수를 4매로 압축하고 점차 확대해 간다. 참여자의 수에 따라 최종 2~4개 팀이 남을 때까지 진행하고 마지막 팀별로 발표 대표자(패널)를 선정한다. 마지막 4매의 카드를 전지에 붙이고 대표자가 전체 앞에서 발표한다.
교실 수업 과정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조별활동을 생각하면 되나 다른 토의 형태와 달리, 처음에는 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키고, 1:1 짝모둠이 형성되면 두 사람이 다른 상대편인 두 사람을 설득시키기 위한 공동작전을 펼쳐야 한다. 이렇게 네 사람, 여덟 사람으로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을 좀 더 논리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고, 상대방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토의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피라미드 토의 방식은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우선순위를 확정하고자 할 때, 조직 내에서 합의안을 도출하고자 할 때, 자기주장의 논리성을 강화하고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능력을 키우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김희수, 『예비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 일문사, 2005.
윤길근 외, 『교육방법론』, 태영출판사, 2005.
조규락 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공학의 3차원적 이해』, 학지사, 2006.
완벽하게 의사 발표의 자유가 허용되며, 참여자가 전통이나 관습 등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융통성이 있는 환경 및 분위기를 형성한다.
8) 버즈토의(buzz discussion)
버즈 토의란 미국 미시간 대학의 필립스에 의해 고안된 기법으로 대체로 3~6명으로 구성되는 소집단 토의 방식이다. 한 주제에 대해서 6명씩으로 구성된 각 그룹이 6분 정도 토의한다는 뜻으로 6 6법이라고도 한다. Buzz란 ‘벌들이 윙윙’거리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수업 진행 시 6명씩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토의를 진행하므로 시끄러운 학습상황을 강조하여 일명 ‘와글와글 학습’이라고도 불린다. 이 방법은 토의에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하는데 그 인원이 너무 많다고 여겨질 때, 수업 분위기가 침체되었거나 수업이 너무 단조로운 경우 분위기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소집단으로 나누어 토의 하는 방식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나 개념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흥미를 갖게 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인수의 토의에서 몇 명 학습자만이 토의를 좌우하고 대부분의 학습자는 발표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며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단점을 보완하여 전원이 적극적인 태도로 토의에 참여하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소집단 사이에 분열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각 집단마다 고르게 적절한 지도를 하기 어렵다.
조 인원수가 적기 때문에 발표 시 심리적 긴장감이 적다.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도 있는 결론을 도출해내기는 어렵다.
저학년부터 대학 또는 성인사회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토의주제와 토의 적용범위가 다양하다.
토의할 주제를 선정할 때 주의해야 되는데, 참가자들이 되도록 경험했거나 관심이 있는 것이 좋으며 또한 구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9) 피라미드 토의(pyramid discussion)
피라미드 토의이란 엄밀히 말하면 역피라미드 토의방식의 의견 수렴 및 합의 방식이다.
주어진 논제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 기법에 의해 1인당 4매의 색종이 카드에 작성한 후, 옆 사람과 1:1 토의과정을 거쳐 카드 매수를 4매로 압축한 다음, 다시 다른 팀과 2:2 토의과정을 거쳐 매수를 4매로 압축한다. 다시 다른 팀과 4:4의 토의과정을 거쳐 매수를 4매로 압축하고 점차 확대해 간다. 참여자의 수에 따라 최종 2~4개 팀이 남을 때까지 진행하고 마지막 팀별로 발표 대표자(패널)를 선정한다. 마지막 4매의 카드를 전지에 붙이고 대표자가 전체 앞에서 발표한다.
교실 수업 과정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조별활동을 생각하면 되나 다른 토의 형태와 달리, 처음에는 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키고, 1:1 짝모둠이 형성되면 두 사람이 다른 상대편인 두 사람을 설득시키기 위한 공동작전을 펼쳐야 한다. 이렇게 네 사람, 여덟 사람으로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을 좀 더 논리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고, 상대방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토의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피라미드 토의 방식은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우선순위를 확정하고자 할 때, 조직 내에서 합의안을 도출하고자 할 때, 자기주장의 논리성을 강화하고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능력을 키우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김희수, 『예비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 일문사, 2005.
윤길근 외, 『교육방법론』, 태영출판사, 2005.
조규락 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공학의 3차원적 이해』, 학지사, 2006.
추천자료
경영전략 - 삼보컴퓨터의 도전과 시련 토의과제
경영전략 - 금호그룹의 항공운수산업 진출 토의과제
세미나(Seminar), 페널토의(Panel Discussion),심포지엄(Symposium)에 대하여
[교육학과]청중이 있는 전문가 참여 토의-논쟁 강의식 학습지도안 -체벌문제-
읽기교육(읽기지도) 의의, 읽기교육(읽기지도) 원리, 읽기교육(읽기지도) 내용, 읽기교육(읽...
사회과교육 탐구학습, 사회과교육 집단탐구학습, 사회과교육 ICT활용학습, 사회과교육 문제해...
[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남북통일][통일]통일교육의 개념, 통일교육의 중요성, 통일교육의 ...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의견을 모아서 (( 7/9 )차시) : 토의하는 방법
[교육행정 및 교육방법] 성찰일지 <교사를 위한 수업전략> - 제9장. 강의 토의 모형
이랜드 (E-Land) (이랜드의 연혁, 최고경영자, 기업문화, 경영시스템, 경쟁 상황, 토의과제, ...
≪ 세계관 종교 문화 ≫ 챕터별 요약 & 토의점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대하여 - 오행 중 목의 속성·화의 속성·토의 속성·금의 속성·수의 속...
장애인 인권 [의미, 정의, 토의 배경, 실태 조사, 제도적 문제, 법적 문제, 제도적 문제, 장...
배움중심 수업 디자인 - 단원 명 3 다양한 주장 - 문제를 찾아 토의를 통하여 해결방안 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