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연기흉,문헌고찰, VATH, 수술과정
본문내용
성함 말씀해 보시겠어요?
- 흔들리는 치아가 있으신가요?
- 틀니 하신거 있으신가요?
- 언제부터 금식을 하셨나요?
4. 전신마취, 기관 내 삽관을 한다. I&O, BP, injection 등을 5분마다 체크하여 기록한다. 마취약을 Gas와 IV라인을 통하여 투입한다.
5. 소독간호사가 손을 씻고 들어오면 순환간호사는 가운입는것을 돕고, 소독간호사는 장갑을 착용한다.
6. 마취 후 환자를 우측위로 취한다.(우측위 : 가슴을 좀 더 확장시키고 이완을 위해)
7. 의사가 환자의 수술부위 확인 후 potadine soap, 10% potadine sol, 70% Alcohol을 ¹sponge forceps으로 소독한다.
8. 집도의와 1명의 의사까지 손을 씻고 오면 소독간호사가 gowning과 장갑착용을 돕는다.
9. 방포(Draping)
10. ²Towel clamp로 수술부위에 씌운 멸균포를 고정시킨다.
11. 소독된 ³light handle을 무형등 손잡이에 끼운다.
12. 수술시작
1) ⁴mess, bovie를 사용하여 thoracoports 넣을 자리를 만든다.
① mess : 10호를 사용하여 6~7번 intercostal에 2cm정도 절개를 넣는다.
② bovie : 반드시 환자의 몸에 plate를 부착해야 한다.
why?
- 발전기의 전류가 환자의 몸을 통해 비활동전극으로 분산되어 발전기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 고주파이므로 환자의 몸에 쇠붙이(귀금속, 틀니,머리핀 등)가 없는지 확인한다.
- 휘발성 약품과 고주파가 부딪힐 때 화재 위험의 요소가 된다.
- irrigation으로 물이 많을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plate를 대지 말아야 한다.
2) 보통 6~7번 intercostal(늑간)에 thoracoports를 넣는다.
① thoracoports : 외관과 내관을 포함하며 scope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한다.
3) thoracoports 넣은 곳에 scope을 넣어 늑막강 내를 확인한다.
4) 5,8번 intercostal에 동일한 순서로 thoracoports를 넣는다.
5) 비디오 모니터와 연결된 흉강경을 이용해 bulla(폐기포)를 찾은 후 Duval clamp (10mm) 를 사용해 고정시킨다.
6) ¹ Roticulating Babcock forcep (5mm*33cm, angled shaft)를 이용해서 bulla를 잡는다.
7) ¹¹Roticulating Metzenbaum dissecting scissors로 조직을 박리한다.
8) 박리한 부분을 순환간호사에게 건네주어 biopsy통에 넣는다.
9) 다른 부위도 모두 확인하고, 병변이 더 이상 없으면 지혈한다.
10) 공기누출을 확인하기위해 따뜻한 식염수로 세척을 해준 후 ¹²suction을 해준다.
(마취과는 이때 ambu-bagging 을 해준다.)
11) 흉벽과 조직을 박리한 부분에 ¹³TISSEL #1 를 주입해준다.
- TISSEL : 국소지혈, 봉합, 조직접착 및 상처치유의 보조
12) ¹⁴chest tube 1개를 삽입한다.
12) 거즈, 기구를 count를 한다.
13) thoracoports을 뺀다.
14) ¹봉합 forcep과 ¹needle holder를 이용해서 절개했던 부분을 봉합해준다.
- ¹Ethilon 2-0 #1, polysorb 2-0 #1, vicryl 4-0 #1 사용
15) 봉합한 부분을 dressing해준 후 4×4 바셀린거즈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반창고로 붙인다.
15) chest tube와 ¹water seal과 연결해준다.
Water sea : 생리식염수 150cc + 알코올 150cc로 만들며, 물이 마개(seal)로 작용하여 배출된 공기가 늑막강내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13. 수술 끝
14. 수술 후
- 마취 직 후 : 환자의 소변량을 확인하고 비운다, 환자의 신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체온보호를 위해 따뜻한 시트를 덮어준다, 수술실 이동 침대로 환자 옮기는 것을 돕는다.
- 회복실로 환자를 옮긴다.
15. 환자의 마취가 다 풀리고 상태가 호전되면 병동에 연락한다.
16. 병동 Stretcher car로 환자를 옮겨 병동으로 올라간다.
Ⅵ 수술기구
1. sponge forceps 2. Towel clamp
3. light handle 4. mess
5. bovie 6. thoracoports
7. scope
8. 비디오 모니터와 연결된 흉강경
9. Duval clamp (10mm)
10. Roticulating Babcock forcep (5mm*33cm, angled shaft)
11. Roticulating Metzenbaum dissecting scissors
12. suction
13. TISSEL
14. chest tube 15. 봉합 forcep
16. needle holder 18. water seal
17. 봉합사(Ethilon 2-0, polysorb 2-0 , vicryl 4-0)
Ⅶ 출처
1. 문헌고찰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health_detail&sm=tab_txc&ie=utf8&query=%EA%B8%B0%ED%9D%89
2. 비디오흉강경수술
http://fatima.or.kr/service/d14/dep03_4.asp
http://100.naver.com/100.nhn?docid=728632
https://kmc.hanyang.ac.kr/EAG000/aspapps/contents/EAG000_clinic.asp?Code=1&Sub_Code=2
3. 흉관삽입술
http://blog.naver.com/ddaomings69?Redirect=Log&logNo=40011544244
4. 각종 사진 및 정보
http://lifeforce.tistory.com/12
http://blog.naver.com/csicarus?Redirect=Log&logNo=30031156435
http://www.gilhospital.com/gMedDic/view.php?g=&ids=32&page=1
http://slvshade.tistory.com/102
- 흔들리는 치아가 있으신가요?
- 틀니 하신거 있으신가요?
- 언제부터 금식을 하셨나요?
4. 전신마취, 기관 내 삽관을 한다. I&O, BP, injection 등을 5분마다 체크하여 기록한다. 마취약을 Gas와 IV라인을 통하여 투입한다.
5. 소독간호사가 손을 씻고 들어오면 순환간호사는 가운입는것을 돕고, 소독간호사는 장갑을 착용한다.
6. 마취 후 환자를 우측위로 취한다.(우측위 : 가슴을 좀 더 확장시키고 이완을 위해)
7. 의사가 환자의 수술부위 확인 후 potadine soap, 10% potadine sol, 70% Alcohol을 ¹sponge forceps으로 소독한다.
8. 집도의와 1명의 의사까지 손을 씻고 오면 소독간호사가 gowning과 장갑착용을 돕는다.
9. 방포(Draping)
10. ²Towel clamp로 수술부위에 씌운 멸균포를 고정시킨다.
11. 소독된 ³light handle을 무형등 손잡이에 끼운다.
12. 수술시작
1) ⁴mess, bovie를 사용하여 thoracoports 넣을 자리를 만든다.
① mess : 10호를 사용하여 6~7번 intercostal에 2cm정도 절개를 넣는다.
② bovie : 반드시 환자의 몸에 plate를 부착해야 한다.
why?
- 발전기의 전류가 환자의 몸을 통해 비활동전극으로 분산되어 발전기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 고주파이므로 환자의 몸에 쇠붙이(귀금속, 틀니,머리핀 등)가 없는지 확인한다.
- 휘발성 약품과 고주파가 부딪힐 때 화재 위험의 요소가 된다.
- irrigation으로 물이 많을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plate를 대지 말아야 한다.
2) 보통 6~7번 intercostal(늑간)에 thoracoports를 넣는다.
① thoracoports : 외관과 내관을 포함하며 scope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한다.
3) thoracoports 넣은 곳에 scope을 넣어 늑막강 내를 확인한다.
4) 5,8번 intercostal에 동일한 순서로 thoracoports를 넣는다.
5) 비디오 모니터와 연결된 흉강경을 이용해 bulla(폐기포)를 찾은 후 Duval clamp (10mm) 를 사용해 고정시킨다.
6) ¹ Roticulating Babcock forcep (5mm*33cm, angled shaft)를 이용해서 bulla를 잡는다.
7) ¹¹Roticulating Metzenbaum dissecting scissors로 조직을 박리한다.
8) 박리한 부분을 순환간호사에게 건네주어 biopsy통에 넣는다.
9) 다른 부위도 모두 확인하고, 병변이 더 이상 없으면 지혈한다.
10) 공기누출을 확인하기위해 따뜻한 식염수로 세척을 해준 후 ¹²suction을 해준다.
(마취과는 이때 ambu-bagging 을 해준다.)
11) 흉벽과 조직을 박리한 부분에 ¹³TISSEL #1 를 주입해준다.
- TISSEL : 국소지혈, 봉합, 조직접착 및 상처치유의 보조
12) ¹⁴chest tube 1개를 삽입한다.
12) 거즈, 기구를 count를 한다.
13) thoracoports을 뺀다.
14) ¹봉합 forcep과 ¹needle holder를 이용해서 절개했던 부분을 봉합해준다.
- ¹Ethilon 2-0 #1, polysorb 2-0 #1, vicryl 4-0 #1 사용
15) 봉합한 부분을 dressing해준 후 4×4 바셀린거즈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반창고로 붙인다.
15) chest tube와 ¹water seal과 연결해준다.
Water sea : 생리식염수 150cc + 알코올 150cc로 만들며, 물이 마개(seal)로 작용하여 배출된 공기가 늑막강내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13. 수술 끝
14. 수술 후
- 마취 직 후 : 환자의 소변량을 확인하고 비운다, 환자의 신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체온보호를 위해 따뜻한 시트를 덮어준다, 수술실 이동 침대로 환자 옮기는 것을 돕는다.
- 회복실로 환자를 옮긴다.
15. 환자의 마취가 다 풀리고 상태가 호전되면 병동에 연락한다.
16. 병동 Stretcher car로 환자를 옮겨 병동으로 올라간다.
Ⅵ 수술기구
1. sponge forceps 2. Towel clamp
3. light handle 4. mess
5. bovie 6. thoracoports
7. scope
8. 비디오 모니터와 연결된 흉강경
9. Duval clamp (10mm)
10. Roticulating Babcock forcep (5mm*33cm, angled shaft)
11. Roticulating Metzenbaum dissecting scissors
12. suction
13. TISSEL
14. chest tube 15. 봉합 forcep
16. needle holder 18. water seal
17. 봉합사(Ethilon 2-0, polysorb 2-0 , vicryl 4-0)
Ⅶ 출처
1. 문헌고찰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health_detail&sm=tab_txc&ie=utf8&query=%EA%B8%B0%ED%9D%89
2. 비디오흉강경수술
http://fatima.or.kr/service/d14/dep03_4.asp
http://100.naver.com/100.nhn?docid=728632
https://kmc.hanyang.ac.kr/EAG000/aspapps/contents/EAG000_clinic.asp?Code=1&Sub_Code=2
3. 흉관삽입술
http://blog.naver.com/ddaomings69?Redirect=Log&logNo=40011544244
4. 각종 사진 및 정보
http://lifeforce.tistory.com/12
http://blog.naver.com/csicarus?Redirect=Log&logNo=30031156435
http://www.gilhospital.com/gMedDic/view.php?g=&ids=32&page=1
http://slvshade.tistory.com/1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