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모멘트(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성모멘트(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목적
2.이론
3.실험장치및 기구
4.실험방법
5.분석

본문내용

0.003849
105g
29.75mm
0.236521
전체 관성 모멘트 0.236521
중심으로부터 16 cm떨어져 있는 사각질량의 관성 모멘트 0.096803
이론값 = 0.000092
③ 중심으로부터 24 cm 떨어져 있을 때
1
2
3
평균
18.63
19.28
19.15
19.02
50cm
0.002764
105g
29.75mm
0.329403
전체 관성 모멘트 0.329403
중심으로부터 24 cm떨어져 있는 사각질량의 관성 모멘트 0.189685
이론값 =0.000092
D. 회전 원판의 관성 모멘트
①눕혀서 회전 시켰을 때
1
2
3
평균
11.81
11.48
11.18
11.49
50cm
0.007574
105g
29.75mm
0.120151
전체 관성 모멘트 0.120151
누워있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0.119836
이론값 = 0.000046
②세워서 회전 시켰을 때
1
2
3
평균
8.34
8.50
8.71
8.517
50cm
0.013785
105g
29.75mm
0.065973
전체 관성 모멘트 0.065973
세워져 원판의 관성 모멘트 0.065658
이론값 = 0.000023
* 분석
우선 관성모멘트를 측정한 값과 이론값은 너무나도 큰 차이를 보였다. 이론값에 비해 측정값이 너무 크게 나왔다. 사각질량이 중심에서 점점 멀어질 때마다 관성모멘트는 값은 점점 증가하였다. 왜냐하면 중심에 있을 때 보다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물체가 계속 움직이려하는 관성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험 D에서의 원판을 회전시킬 때 원판을 눕힐 때보다 세워서 회전할 때의 관성모멘트의 값이 작았다. 왜냐하면 원판을 세울 때 회전 축에서 미소부분들이 눕힐 때보다 덜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실험에서 정확한 실험을 하기에 힘든 요소들이 몇가지 있다. 이 요소들은 실험에서 오차로도 이어질수 있다. 먼저 시간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평소 같았으면 포토게이트와 포토게이트 타이머로 실험을 하였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사람의 손과 눈으로 시간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그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하지만 그렇다고 포토게이트와 포토게이트 타이머를 쓰기엔 장비의 특성상(높은곳에서 떨어지는 추의 시간을 잴수 없는 한계) 사용하기가 힘들다. 또한 실험에서 관성모멘트 측정장치가 수평을 이루어야 하는데, 수평을 맞추기가 다소 어렵웠고 맞추더라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측정장치의 중심에서 회전을 할때 기계와 기계 사이의 마찰을 일으키면서 에너지가 마찰에너지로 전환이 된다. 따라서 관성 모멘트의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낙하 거리 즉 h의 값을 구하는 데에 있어서 물체가 수직으로 떨어지는 거리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데, 추가 떨어질 때 보니 기구가 약간 옆으로 기울어 진 듯해 보였다. 위 여러 요인들이 실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이번 관성 모멘트 실험은 지금의 실험결과보다 훨씬 정확하고 올바르게 나올 것이다. 또한 실험은 사람이 하는 것이므로 우리가 실험에 어떻게 임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변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