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소룡, 그가 태권도를 배우게 된 사연?
1960년대
1960년대 태권도 대회모습
1960년대 태권도 단증모습
태권도란 브랜드를 선택한 개척 사범들…
1960년대
1960년대 태권도 대회모습
1960년대 태권도 단증모습
태권도란 브랜드를 선택한 개척 사범들…
본문내용
1958년 대한태권도협회를 창설한 최홍희 장군이 군에서 구테타 세력에 의해 밀려나고 말레이시아 대사로 갔을 때 대한 태권도 협회를 대한 태수도 협회 (수는 가라데를 의미함)로 명칭 변경한 분들이 최홍희 장군이 돌아와 다시 태수도 협회를 장악하고 태권도라 명칭을 변경하자 그 당시 펑펑 울면서 가라데를 고수해야 된다고 외치던 분들이 지금 국기원 원장, 부원장으로 태권도를 대표하는 분들로 있는 현실은 우리의 굴곡된 역사와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되돌아 보면 지금의 현실에서 한국에 있는 고참 사범들과, 해외의 개척 사범들 중에서 자신은 태권도인 이라 자부 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 수 있을까? 태권도를 창시한 최홍희 장군이 정통성을 찾을 수 없는 역대 정권에서 밀려나 해외로 망명의 세월을 보내며 빨갱이로 오인되며 반한인사로 분류 되는 상황에, 자신과 가족의 보장을 받을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스승에 대한 의리와, 아집을 가질 수 있는 사람들을 얼마나 찾을 수 있을까? 시대에 따라 이로운 것을 찾아 가는 것을 지금에 와서는 어떻게 생각 하여야 하는지. 이 점에 대해서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지성인들이 판단해야 할 과거이며 찾아야 할 역사 일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태권도장] 태권도장의 마케팅전략
[태권도] 태권도의 세계화 방안
[태권도]장년층건강을 위한 태권도장수련프로그램 다양화방안
[태권도장활성화방안] 태권도장 활성화 방안
[태권도장 마케팅] 태권도장의 경영과 마케팅의 방법
[태권도] 태권도수련을 통한 효과적인 인성교육방법
무주 태권도원의 개원에 따른 태권도의 발전 방안
[태권도논문] 유소년 중심 태권도 도장의 한계와 개선방안
(태권도) 수련생흥미유발을 위한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 다양화방안
유능한 태권도 지도자가 되기 위한 조건과 자질 [태권도 지도자]
효과적인 태권도장 홍보 전략 방안 - 태권도장 홍보 전략
[태권도승단] 태권도 수련과 인성교육과의 관련성
[태권도인성교육] 태권도 수련과 인성교육과의 관련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