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급보장한도 상향조정 합의(10/3)
- 유동성위기로 인한 예금자들의 급격한 예금인출사태 완화
경기부양 조치내용
- 경제회생을 위한 경기진작책 시행
o 최근 유럽경제 회생을 위한 종합적인 Recovery Plan을 발표하는 등 내수진작과 중장기 성장발판 마련을 위한 다양한 경기진작책 시행
- EU와 회원국의 재정지출 확대, 금리인하 및 감세정책 등의 시행을 통한 강력한 경기부양책 시행
o EU는 최대 400억유로를 투입, 유럽 자동차 살리기에 나설 전망
- 미국이 추진중인 직접지원방식과는 다른 신용지원프로그램 활용
- EU의 자동차산업 보호는 고용규모와 이들의 국가경제 파급력때문임.
국별 경기부양 조치내용
구분
국가
내용
경기부양책
EU
o 종합 Recovery Plan 발표(11/26): 2,000억유로 투입
o 가맹국 특별융자 확대
o 유럽투자은행(EIB) 중소기업 융자규모 확대
(300억유로)
o EU기금통한 고용안정화 대책
o 환경관련사업 지원, 기술개발 촉진
o 금융기관 및 기업 정부원조에 대한 규제탄력운영
o 유로권 재정협정(재정적자 규정) 적용 유연화
* EU재계(46개 대기업), 유럽각국에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촉구(11/17)
금리인하
EU
o ECB, 0.5% 인하(3.75%→3.25%) (11/6)
o ECB, 0.5% 인하(4.25%→3.75%) (10/15)
영국
o BOE, 1.5% 인하(4.5%→3%) (11/6)
o BOE, 0.5% 인하(5.0%→4.5%) (10/8)
스웨덴
o Riksbank(스페인중앙은행), 0.5% 인하
(4.75-2.5%) (10/8)
스위스
o 스위스중앙은행, 0.25% 인하(2.75%-2.50%) (10/8)
감세정책
영국
o 부가세 인하(2.5%) (11/24)
o 감세 : 230억유로 저임금계층 소득세 과세체제
개혁검토
o 저소득층에 대한 27억파운드 감세(08/5)
독일
o 저탄소 배출차량 신규구입자 세제혜택 2년
o 주택수리 세금감면 확대
o 에너지효율 높인 건물 자금지원
o 자녀양육 부모위한 비과세한도 확대
o 개인투자확대를 위한 대출지원 확대
o 실업보험 기부액 감면 등
프랑스
o 기업투자촉진위한 세금우대조치 도입
이태리
o 저소득가정 세금공제 : 24억달러
-실제 가계,기업에 대한 세금공제규모:40억달러 예상
6. 향후 시나리오
1) 시나리오 1.
동유럽 국가들을 유로존에 편입하여 환율안정 및 신뢰회복을 도모하여 위기 극복
- IMF는 금융 위기의 타격을 받고 있는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 중앙 은행(ECB) 이사회의 의석을 가지지 않는 준가맹국으로서 유로를 도입할 수 있도록 도입 기준(ERM Ⅱ)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지적
- ERM Ⅱ'는 유로존 가입을 위한 기준 중 하나로 자국통화와 유로화의 환율을 변동허용폭(±15%) 이내로 최소 2년간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조건
- EU국가들에 있어서, 유로 도입은 부풀어 올라 있는 외화기준 채무의 문제 해결이나 장래 불투명감의 불식, 신뢰 회복이라고 하는 점으로 최대의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
- 동일한 화페를 이용하게 됨에 따른 긍정적 효과 (환율안정으로 인한 실질 외환보유증가 등)
2) 시나리오 2
유로존 진입은 현실상 불가능하며, IMF가 적극 나서서 특별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 위기 극복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1조 달러(약 1330조 원) 규모의 유동성 확대에 사실상 합의함으로써 동유럽 등 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의 경기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 동유럽권 자국통화가치 하락현상을 막기 위해 IMF의 재정확대는 앞으로의 금융위기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IMF는 3월24일 국제금융위기 등 외부 위험 때문에 일시 유동성 위기에 봉착한 회원국들이 IMF대출금을 엄격한 조건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기 유동성 지원창구(SLF)를 대체하는 신축적공여제도(FCL)를 도입함.
- FCL은 자금을 필요로 한는 국가가 IMF 지원재원 한도 안에서 필요한 만큼을 빌릴 수 있게 해 사실상 대출 한도를 없앴다. 또 대출 기간도 최초 6개월 또는 1년으로 하되 최대 3년 3개월에서 5년까지 상황연장을 할 수 있게 됨
- EU와 국제금융기구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동유럽 각국 정부의 정책이 효율적인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동유럽 금융위기는 점차 진정되는 추세로 전개될 것으로 보임
- 유동성위기로 인한 예금자들의 급격한 예금인출사태 완화
경기부양 조치내용
- 경제회생을 위한 경기진작책 시행
o 최근 유럽경제 회생을 위한 종합적인 Recovery Plan을 발표하는 등 내수진작과 중장기 성장발판 마련을 위한 다양한 경기진작책 시행
- EU와 회원국의 재정지출 확대, 금리인하 및 감세정책 등의 시행을 통한 강력한 경기부양책 시행
o EU는 최대 400억유로를 투입, 유럽 자동차 살리기에 나설 전망
- 미국이 추진중인 직접지원방식과는 다른 신용지원프로그램 활용
- EU의 자동차산업 보호는 고용규모와 이들의 국가경제 파급력때문임.
국별 경기부양 조치내용
구분
국가
내용
경기부양책
EU
o 종합 Recovery Plan 발표(11/26): 2,000억유로 투입
o 가맹국 특별융자 확대
o 유럽투자은행(EIB) 중소기업 융자규모 확대
(300억유로)
o EU기금통한 고용안정화 대책
o 환경관련사업 지원, 기술개발 촉진
o 금융기관 및 기업 정부원조에 대한 규제탄력운영
o 유로권 재정협정(재정적자 규정) 적용 유연화
* EU재계(46개 대기업), 유럽각국에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촉구(11/17)
금리인하
EU
o ECB, 0.5% 인하(3.75%→3.25%) (11/6)
o ECB, 0.5% 인하(4.25%→3.75%) (10/15)
영국
o BOE, 1.5% 인하(4.5%→3%) (11/6)
o BOE, 0.5% 인하(5.0%→4.5%) (10/8)
스웨덴
o Riksbank(스페인중앙은행), 0.5% 인하
(4.75-2.5%) (10/8)
스위스
o 스위스중앙은행, 0.25% 인하(2.75%-2.50%) (10/8)
감세정책
영국
o 부가세 인하(2.5%) (11/24)
o 감세 : 230억유로 저임금계층 소득세 과세체제
개혁검토
o 저소득층에 대한 27억파운드 감세(08/5)
독일
o 저탄소 배출차량 신규구입자 세제혜택 2년
o 주택수리 세금감면 확대
o 에너지효율 높인 건물 자금지원
o 자녀양육 부모위한 비과세한도 확대
o 개인투자확대를 위한 대출지원 확대
o 실업보험 기부액 감면 등
프랑스
o 기업투자촉진위한 세금우대조치 도입
이태리
o 저소득가정 세금공제 : 24억달러
-실제 가계,기업에 대한 세금공제규모:40억달러 예상
6. 향후 시나리오
1) 시나리오 1.
동유럽 국가들을 유로존에 편입하여 환율안정 및 신뢰회복을 도모하여 위기 극복
- IMF는 금융 위기의 타격을 받고 있는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 중앙 은행(ECB) 이사회의 의석을 가지지 않는 준가맹국으로서 유로를 도입할 수 있도록 도입 기준(ERM Ⅱ)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지적
- ERM Ⅱ'는 유로존 가입을 위한 기준 중 하나로 자국통화와 유로화의 환율을 변동허용폭(±15%) 이내로 최소 2년간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조건
- EU국가들에 있어서, 유로 도입은 부풀어 올라 있는 외화기준 채무의 문제 해결이나 장래 불투명감의 불식, 신뢰 회복이라고 하는 점으로 최대의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
- 동일한 화페를 이용하게 됨에 따른 긍정적 효과 (환율안정으로 인한 실질 외환보유증가 등)
2) 시나리오 2
유로존 진입은 현실상 불가능하며, IMF가 적극 나서서 특별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 위기 극복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1조 달러(약 1330조 원) 규모의 유동성 확대에 사실상 합의함으로써 동유럽 등 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의 경기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 동유럽권 자국통화가치 하락현상을 막기 위해 IMF의 재정확대는 앞으로의 금융위기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IMF는 3월24일 국제금융위기 등 외부 위험 때문에 일시 유동성 위기에 봉착한 회원국들이 IMF대출금을 엄격한 조건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기 유동성 지원창구(SLF)를 대체하는 신축적공여제도(FCL)를 도입함.
- FCL은 자금을 필요로 한는 국가가 IMF 지원재원 한도 안에서 필요한 만큼을 빌릴 수 있게 해 사실상 대출 한도를 없앴다. 또 대출 기간도 최초 6개월 또는 1년으로 하되 최대 3년 3개월에서 5년까지 상황연장을 할 수 있게 됨
- EU와 국제금융기구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동유럽 각국 정부의 정책이 효율적인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동유럽 금융위기는 점차 진정되는 추세로 전개될 것으로 보임
추천자료
경제위기의 징후및 외환위기의 전개과정(IMF징후,금융위기한국경제)
금융위기에 관한 가설을 소개하고, 한국의 IMF 구제금융체제하의 금융구조정책의 내역을 서술...
미국 금융위기의 시작-전개-결과-예상 과 중국 금융 위기 기능성
금융위기의 의의를 말하고, 금융위기에 관한 주요 가설을 소개하시오
국제 금융위기 - 미국 금융위기의 원인과 파급효과
[금융기관론] 금융위기 이후 금융기관의 경영행태 변화와 과제
[금융위기] 우리나라에 중심의 금융위기 원인 결과 및 대책
[금융위기와 외화유동성 확보] 금융 위기시 외화유동성 확보 방안과 향후 전망.PPT자료
그리스재정위기,그리스재저우이기와유로존,해외재정위기사례,해외금융위기사례
아시아산업의 정보화, IMF금융위기(IMF외환위기, IMF경제위기), 아시아산업의 기후변화협약, ...
아시아의 금융위기(아시아발전모델의 붕괴, 금융위기의 파급, IMF의 실패)
최근 금융위기 및 전망 _ 07-08년 금융위기 경과 분석 및 세계경제의 미래
그리스 금융위기와 향후 전망 (유럽재정위기, 그리스 재정위기의 확산과정, 그리스의 현상황,...
금융위기의 승자와 패자 & 금융위기에 대한 한국의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