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태, 흉강복강 속의 가스나 체액 유무의 확인에 사용한다.막 태어난 신생아의 suction 전에도 한다.
-
-
Postural drainage
(체위 거담)
중력을 이용하여 폐 사이사이에 차있는 객담을 진동으로 흘려 내보내는 방법으로 객담이 많은 질환인 경우 기관지의 폐에서 배액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신생아의 경우 손으로 가슴과 옆구리 부분을 압박하거나 진동을 시키는데, 폐에 가래가 찼을 때 실시하면 효과적이라고 한다. 폐에 차 있는 가래는 폐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초기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
-
8.29
-
Suction
기관 내 가래 및 이물질 제거 시 suction을 하게 되는데, catheter의 끝 부분이 부드러워 기관 손상을 방지한다. Pneumonia를 앓고 있는 신생아를 본 것은 아니지만 신생아의 입을 통해 제거하는 것을 보았다. 미숙아는 40-100mmHg로 흡인하는 것이 좋으며, 소량의 생리식염수를 튜브 끝에 삽입하여 분비물이 부드럽고 쉽게 제거되도록 도와준다. 흡인 시간은 3~4초를 넘기면 안되고, 흡인시 이상 증상(거품 소리, 거친 호흡 등)을 보이면 자주 시행하도록 한다.
9.1
-
G-I 환아 간호
I & O check
신생아가 맞는 수액이나 섭취량 등을 그때그때 check하고, 소변과 대변의 횟수와 양을 체크하여 신생아의 대변 양상이나 신생아의 컨디션 등을 사정하셨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기록은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신생아의 간호에 매우 중요하다.
8.29
-
Meconium pass
observation
첫소변, 대변을 기록하여 태변이 기간 내에 배변되지 않을 경우 소화관의 폐쇄나 항문의 폐쇄를 의심해 볼 수 있다.
8.30
-
Vomiting
observation
대부분의 신생아들이 Vomiting을 조금씩 보이는데, 심근과 유문 괄약근 조절의 불안정, 신경계 조절 미숙은 V/S의 원인이 된다.
-
-
Abdominal distension observation
복부 팽창은 임상에서 흔한 문제로 전신 질환이나 의심되지 않는 복부 질환의 초기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위장관 쪽에 문제를 가지고 있으면 복부가 팽창되어 있을 수 있다. phototherapy를 받던 신생아 중에 복부가 팽창되어 그대로 유지가 되었던 신생아가 있었는데, 다행히도 오후가 되자 점점 배가 줄어들었다.
9.1
-
예방접종
접종내용
출생 후 곧바로 Hepavax를 허벅지 안쪽에 투여 받는다. 만일 신생아가 이상 증세를 보이거나 2kg이 되지 않는다면 예방접종(Hepavax)을 뒤로 미루어야 한다. 예방 접종의 경우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생후 개월로 따져서 접종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한다.
8.29
-
퇴원교육
교육내용
아기의 태어났을 때의 체중과 현재의 체중, 분유 타는 법, 모유 먹이는 법, 제대 관리(75%alchohol로 소독하기), 목욕법(제대 떨어지기 전까지는 통목욕 하지 않도록 함.), 대소변 관찰법 등 퇴원 후 아이를 돌볼 때 필요한 내용에 대해 교육함.
9.2
-
-
-
Postural drainage
(체위 거담)
중력을 이용하여 폐 사이사이에 차있는 객담을 진동으로 흘려 내보내는 방법으로 객담이 많은 질환인 경우 기관지의 폐에서 배액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신생아의 경우 손으로 가슴과 옆구리 부분을 압박하거나 진동을 시키는데, 폐에 가래가 찼을 때 실시하면 효과적이라고 한다. 폐에 차 있는 가래는 폐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초기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
-
8.29
-
Suction
기관 내 가래 및 이물질 제거 시 suction을 하게 되는데, catheter의 끝 부분이 부드러워 기관 손상을 방지한다. Pneumonia를 앓고 있는 신생아를 본 것은 아니지만 신생아의 입을 통해 제거하는 것을 보았다. 미숙아는 40-100mmHg로 흡인하는 것이 좋으며, 소량의 생리식염수를 튜브 끝에 삽입하여 분비물이 부드럽고 쉽게 제거되도록 도와준다. 흡인 시간은 3~4초를 넘기면 안되고, 흡인시 이상 증상(거품 소리, 거친 호흡 등)을 보이면 자주 시행하도록 한다.
9.1
-
G-I 환아 간호
I & O check
신생아가 맞는 수액이나 섭취량 등을 그때그때 check하고, 소변과 대변의 횟수와 양을 체크하여 신생아의 대변 양상이나 신생아의 컨디션 등을 사정하셨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기록은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신생아의 간호에 매우 중요하다.
8.29
-
Meconium pass
observation
첫소변, 대변을 기록하여 태변이 기간 내에 배변되지 않을 경우 소화관의 폐쇄나 항문의 폐쇄를 의심해 볼 수 있다.
8.30
-
Vomiting
observation
대부분의 신생아들이 Vomiting을 조금씩 보이는데, 심근과 유문 괄약근 조절의 불안정, 신경계 조절 미숙은 V/S의 원인이 된다.
-
-
Abdominal distension observation
복부 팽창은 임상에서 흔한 문제로 전신 질환이나 의심되지 않는 복부 질환의 초기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위장관 쪽에 문제를 가지고 있으면 복부가 팽창되어 있을 수 있다. phototherapy를 받던 신생아 중에 복부가 팽창되어 그대로 유지가 되었던 신생아가 있었는데, 다행히도 오후가 되자 점점 배가 줄어들었다.
9.1
-
예방접종
접종내용
출생 후 곧바로 Hepavax를 허벅지 안쪽에 투여 받는다. 만일 신생아가 이상 증세를 보이거나 2kg이 되지 않는다면 예방접종(Hepavax)을 뒤로 미루어야 한다. 예방 접종의 경우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생후 개월로 따져서 접종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한다.
8.29
-
퇴원교육
교육내용
아기의 태어났을 때의 체중과 현재의 체중, 분유 타는 법, 모유 먹이는 법, 제대 관리(75%alchohol로 소독하기), 목욕법(제대 떨어지기 전까지는 통목욕 하지 않도록 함.), 대소변 관찰법 등 퇴원 후 아이를 돌볼 때 필요한 내용에 대해 교육함.
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