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신분열증의 정의
Ⅱ. 정신분열증의 역사
Ⅲ. 정신분열증의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2. 심리학적 원인
3. 정보처리의 이상
Ⅳ. 정신분열증의 분류
1. ICD-10 에서의 분류
2. DSM-Ⅳ 에서의 분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이용)
① 망상형 정신분열증
② 긴장형 정신분열증
③ 혼란형 정신분열증
④ 미분화형 정신분열증
⑤ 잔류형 정신분열증
Ⅴ. 정신분열증 진단
1. 정신분열증의 진단 기준
A. 성격적 증세들
B. 대인관계 기능 부진 혹은 직장에서 기능 부진
C. 지속 기간
D. 분열형 감정장애나 무드 장애는 배제된다
E. 약물이나 일반 메디칼 조건에서 나타난 증세일 때는 정신분열증 진단에서 제외시킨다
F. 발달장애 때문에 생긴 것은 제외 된다
Ⅵ.정신분열증 증상
1. 양성 증상
2. 음성 증상
3. 대표적인 행동 양상
Ⅶ. 정신분열증의 치료방법
1. 입원치료
2. 개인 정신치료
3. 집단치료
4. 가족치료
5. 약물치료
6. 행동치료
7.기타 치료
Ⅷ. 정신분열증의 언행과 정서
1. 지각(知覺)
2. 생각
3. 정 서(기 분)
4. 대 화
5.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병식(病識))
Ⅸ. 정신분열증 발병률
Ⅹ. 사례
Ⅱ. 정신분열증의 역사
Ⅲ. 정신분열증의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2. 심리학적 원인
3. 정보처리의 이상
Ⅳ. 정신분열증의 분류
1. ICD-10 에서의 분류
2. DSM-Ⅳ 에서의 분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이용)
① 망상형 정신분열증
② 긴장형 정신분열증
③ 혼란형 정신분열증
④ 미분화형 정신분열증
⑤ 잔류형 정신분열증
Ⅴ. 정신분열증 진단
1. 정신분열증의 진단 기준
A. 성격적 증세들
B. 대인관계 기능 부진 혹은 직장에서 기능 부진
C. 지속 기간
D. 분열형 감정장애나 무드 장애는 배제된다
E. 약물이나 일반 메디칼 조건에서 나타난 증세일 때는 정신분열증 진단에서 제외시킨다
F. 발달장애 때문에 생긴 것은 제외 된다
Ⅵ.정신분열증 증상
1. 양성 증상
2. 음성 증상
3. 대표적인 행동 양상
Ⅶ. 정신분열증의 치료방법
1. 입원치료
2. 개인 정신치료
3. 집단치료
4. 가족치료
5. 약물치료
6. 행동치료
7.기타 치료
Ⅷ. 정신분열증의 언행과 정서
1. 지각(知覺)
2. 생각
3. 정 서(기 분)
4. 대 화
5.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병식(病識))
Ⅸ. 정신분열증 발병률
Ⅹ. 사례
본문내용
만 쳐다본다.','친구들이 날 따돌린다.'등 의 말을 하면서 학교 가기 싫어하고 빈혈과 소화불량 증세를 호소하며, 병원에 가서 영양제를 맞기를 원했다. 고등하교 졸업 때쯤 해서 증상이 더욱 심해져 주위에서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만 봐도, 자기 이야기를 한다고 시비를 걸었으며, 대문 밖에서 누군가가 자기 욕을 한다고 뛰어나가기도 했다. 가끔 환시도 경험했다고 했다. 2년 전부터는 기분이 좋아서 들떠 있을 때도 있었고, 변소가 지저분하다고 방에 대소변을 보았다. 1년 전부터는 집안 식구들이 약을 올린다며, 자주 때리고 식사를 할 때는 한없이 하고, 안할 때는 전혀 하지 않으며, 혼자서 쓸데없이 바보처럼 킬킬거리며 웃고 소리지르고 중얼중얼하기도 했다. 입원 당시 '아버지한테 매맞을 때 처녀막이 없어졌다.'. '애기를 입에서 토할 것 같다.'는 헛소리를 했다.
사 례 2.
37 세의 작은 전자 회사의 과장인 남자 환자는 3년 전부터 부인과 대수롭지 않은 이야기 도중 갑자기 누가 엿듣지 않나 걱정하면서, 부인에게 조용히 이야기하라고 주의를 주었다. 회사는 정상 출근하였지만, 항상 표정이 밝지 못하고 무언가 걱정하고 있었으며 긴장되어 있었다. 2년 전에 직장에서 정규 인사가 있었는데, 회사의 피치 못할 사정으로 몇 사람이 좀 늦게 발령이 나게 되었다. 여기에 환자가 속하게 되었는데, 그 날부터 '사장이 날 무시했다.'면서 수일간 울고는 '누가 나를 미행한다.','라디오와 텔레비젼에서 나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길 가는데 사람들이 나에 관해 수근거린다.'등의 말을 하면서, 밤에는 손전등을 들고 집 주위를 수색하고 불안해하며 잠을 자지 않았다. 이 때문에 모 대학병원에 2개월 입원했다가 증상이 소실되어 다시 직장에 복귀하였다. 전과 같지는 않았지만, 계속 근무하다가 입원하기 3개월 전부터 '집에 누가 독가스를 넣는 것 같다.'면서 걱정하고, 미모의 부인을 밖에 나가지 못하게 하다가 어쩔 수 없어 시장에 내보내면서도, 갔다 오면 밖에서 딴 남자와 정을 통하지 않았나 하여 철저한 몸수색을 하고, '기관에서 도청 장치를 했다.','나를 죽이려고 한다.'등의 말을 하며 심하게 공포에 질리고, 식사에 혹시 독이 들었나 의심하며 먹기를 거부하고 여기저기 구명 운동을 하면서 국외로 망명하기를 원했다. 입원 후 자신은 자신을 해치려고 하는 어떤 기관에 의하여 입원하게 되었다고 하며, 의사에게 논리 정연하게 자신이 병들지 않았음을 주장했다. 그래서, 입원 후 한동안 말을 하지도 않았다.
사례 3.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김군은 조용하고 순종적이며 공부도 비교적 잘하였다. 외아들인 그에 게 거는 부모의 기대는 참으로 컸으며 그도 부모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전교에서 수위를 다투었다. 그러던 그가 귀가 길에 폭력배들에게 무참히 매를 맞고 돈을 빼앗기는 일이 일어났다. 그는 자신이 제대로 방어도 못해보고 그렇게 당했다는 것이 수치스럽게만 느껴졌고 친구들 이 자기를 비웃는 것만 같아 견딜 수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텔레비전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것을 보더니 자기 이 야기가 알려졌다고 두려워하며 이제 그 폭력배들이 자기를 다시 때리러 올 것이라고 횡설수설하기 시작했다. 그 폭력배들이 자기를 미행한다고 공포에 질려하며 등교하기도 거부했다. 급기야는 폭력배들이 자기를 죽이려 하는 소리가 들린다며 그들이 자기를 죽이기 전에 자기 가 먼저 해치워야 한다고 몽둥이를 들고 나가는 등의 행동을 해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사례4.
영화속 인물
① 꽃잎
②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 정신분열증의 자가진단
1)뚜렷한 성격의 변화
yes
no
2) 지나친 불안감
yes
no
3) 일상적인 생활상의 평범한 문제들을 감당 해내지 못하게 됨
yes
no
4) 지속적인 우울이나 감정의 소실
yes
no
5) 감정의 기복이 지나치게 심해짐
yes
no
6) 자살에 대한 생각이나 이야기
yes
no
7) 지나친 분노, 적대감, 공격적 행동
yes
no
8) 이유없이 여기저기 아프다고 하거나 신체 일부의 생김새에 집착함
yes
no
9) 식사 혹은 수면 습관의 현저한 변화
yes
no
10) 술이나 담배, 마약, 기타 환각제의 남용
yes
no
11) 혼자만 있으려고 하고 대인관계를 피함
yes
no
12) 원래 관심이 없던 철학, 종교와 같은 문제에 집착
yes
no
1. 공상을 하거나 백일몽을 자주 꾼다.
2. 괴상한 생각이 자주 머리에 떠오른다.
3. 길에서 아는 친구를 만나면 못 본 척 하고 지나치고 싶다.
4. 어려서부터 부모의 싸움을 보고 자랐다.
5. 내가 나쁜 사람인 것처럼 생각될 때가 있다.
6. 누군가가 나를 조정하는 것 같다.
7. 누군가가 나를 헤칠 것 같아 두렵다.
8. 마음이 항상 우울한 편이다.
9. 머리가 아프다.
10. 몸속에서 이상한 감각을 느낄 때가 있다.
11. 미칠 것 같은 때가 자주 있다.
12. 사는 것이 재미가 없다.
13. 사랑을 느끼는 것이 잘 안된다.
14. 성에 관한 공상을 잘 한다.
15. 어려서 부모님의 성관계 장면을 본 경험이 있고 그 생각이 날 때
16. 어머니를 사랑하지 않는다.
17. 욕하는 소리도 들리고, 또 다른 소리도 들린다.
18. 음식에 독을 넣는 것 같이 생각될 때가 있다.
19. 이상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20. 이상한 소리가 자주 들린다.
21. 정신 집중이 잘 안된다.
22. 정신이 혼란스럽고 판단력이 없다.
23. 죽고 싶을 때가 많다.
24. 친구를 사귀지 못한다.
25. 성적 공상을 많이 한다.
* 0 가 15개 이상 일 때 분열증 증상일 경우가 많아요!
참고자료
정신분열증 원호택 외 지음/학지사
http://cafe.daum.net/1004NT
http://www.psychonews.co.kr/index3-2.htm
http://www.soojungchurch.com/data/13.htm
http://user.chollian.net/~jazzy67/SPR.htm
서울 정신보건네트 http://www.mymedi.net
사 례 2.
37 세의 작은 전자 회사의 과장인 남자 환자는 3년 전부터 부인과 대수롭지 않은 이야기 도중 갑자기 누가 엿듣지 않나 걱정하면서, 부인에게 조용히 이야기하라고 주의를 주었다. 회사는 정상 출근하였지만, 항상 표정이 밝지 못하고 무언가 걱정하고 있었으며 긴장되어 있었다. 2년 전에 직장에서 정규 인사가 있었는데, 회사의 피치 못할 사정으로 몇 사람이 좀 늦게 발령이 나게 되었다. 여기에 환자가 속하게 되었는데, 그 날부터 '사장이 날 무시했다.'면서 수일간 울고는 '누가 나를 미행한다.','라디오와 텔레비젼에서 나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길 가는데 사람들이 나에 관해 수근거린다.'등의 말을 하면서, 밤에는 손전등을 들고 집 주위를 수색하고 불안해하며 잠을 자지 않았다. 이 때문에 모 대학병원에 2개월 입원했다가 증상이 소실되어 다시 직장에 복귀하였다. 전과 같지는 않았지만, 계속 근무하다가 입원하기 3개월 전부터 '집에 누가 독가스를 넣는 것 같다.'면서 걱정하고, 미모의 부인을 밖에 나가지 못하게 하다가 어쩔 수 없어 시장에 내보내면서도, 갔다 오면 밖에서 딴 남자와 정을 통하지 않았나 하여 철저한 몸수색을 하고, '기관에서 도청 장치를 했다.','나를 죽이려고 한다.'등의 말을 하며 심하게 공포에 질리고, 식사에 혹시 독이 들었나 의심하며 먹기를 거부하고 여기저기 구명 운동을 하면서 국외로 망명하기를 원했다. 입원 후 자신은 자신을 해치려고 하는 어떤 기관에 의하여 입원하게 되었다고 하며, 의사에게 논리 정연하게 자신이 병들지 않았음을 주장했다. 그래서, 입원 후 한동안 말을 하지도 않았다.
사례 3.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김군은 조용하고 순종적이며 공부도 비교적 잘하였다. 외아들인 그에 게 거는 부모의 기대는 참으로 컸으며 그도 부모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전교에서 수위를 다투었다. 그러던 그가 귀가 길에 폭력배들에게 무참히 매를 맞고 돈을 빼앗기는 일이 일어났다. 그는 자신이 제대로 방어도 못해보고 그렇게 당했다는 것이 수치스럽게만 느껴졌고 친구들 이 자기를 비웃는 것만 같아 견딜 수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텔레비전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것을 보더니 자기 이 야기가 알려졌다고 두려워하며 이제 그 폭력배들이 자기를 다시 때리러 올 것이라고 횡설수설하기 시작했다. 그 폭력배들이 자기를 미행한다고 공포에 질려하며 등교하기도 거부했다. 급기야는 폭력배들이 자기를 죽이려 하는 소리가 들린다며 그들이 자기를 죽이기 전에 자기 가 먼저 해치워야 한다고 몽둥이를 들고 나가는 등의 행동을 해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사례4.
영화속 인물
① 꽃잎
②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 정신분열증의 자가진단
1)뚜렷한 성격의 변화
yes
no
2) 지나친 불안감
yes
no
3) 일상적인 생활상의 평범한 문제들을 감당 해내지 못하게 됨
yes
no
4) 지속적인 우울이나 감정의 소실
yes
no
5) 감정의 기복이 지나치게 심해짐
yes
no
6) 자살에 대한 생각이나 이야기
yes
no
7) 지나친 분노, 적대감, 공격적 행동
yes
no
8) 이유없이 여기저기 아프다고 하거나 신체 일부의 생김새에 집착함
yes
no
9) 식사 혹은 수면 습관의 현저한 변화
yes
no
10) 술이나 담배, 마약, 기타 환각제의 남용
yes
no
11) 혼자만 있으려고 하고 대인관계를 피함
yes
no
12) 원래 관심이 없던 철학, 종교와 같은 문제에 집착
yes
no
1. 공상을 하거나 백일몽을 자주 꾼다.
2. 괴상한 생각이 자주 머리에 떠오른다.
3. 길에서 아는 친구를 만나면 못 본 척 하고 지나치고 싶다.
4. 어려서부터 부모의 싸움을 보고 자랐다.
5. 내가 나쁜 사람인 것처럼 생각될 때가 있다.
6. 누군가가 나를 조정하는 것 같다.
7. 누군가가 나를 헤칠 것 같아 두렵다.
8. 마음이 항상 우울한 편이다.
9. 머리가 아프다.
10. 몸속에서 이상한 감각을 느낄 때가 있다.
11. 미칠 것 같은 때가 자주 있다.
12. 사는 것이 재미가 없다.
13. 사랑을 느끼는 것이 잘 안된다.
14. 성에 관한 공상을 잘 한다.
15. 어려서 부모님의 성관계 장면을 본 경험이 있고 그 생각이 날 때
16. 어머니를 사랑하지 않는다.
17. 욕하는 소리도 들리고, 또 다른 소리도 들린다.
18. 음식에 독을 넣는 것 같이 생각될 때가 있다.
19. 이상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20. 이상한 소리가 자주 들린다.
21. 정신 집중이 잘 안된다.
22. 정신이 혼란스럽고 판단력이 없다.
23. 죽고 싶을 때가 많다.
24. 친구를 사귀지 못한다.
25. 성적 공상을 많이 한다.
* 0 가 15개 이상 일 때 분열증 증상일 경우가 많아요!
참고자료
정신분열증 원호택 외 지음/학지사
http://cafe.daum.net/1004NT
http://www.psychonews.co.kr/index3-2.htm
http://www.soojungchurch.com/data/13.htm
http://user.chollian.net/~jazzy67/SPR.htm
서울 정신보건네트 http://www.mymedi.net
추천자료
정신과 임상실습 레포트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paranoid type case study)
정신간호학실습 레포트 - 정신분열증
정신과 실습 레포트 자료 (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 포함)
정신과 case - 정신분열증
정신의학 상 어린이의 자폐증, 정신분열증, 우울증에 대하여
정신보건]정신분열증 환자의 사례 개입
[정신간호학 - 환자사례 간호과정]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케이스
정신건강론 리포트-자폐증과 정신분열증
[정신간호학] - 정신분열증사례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 문헌고찰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정신장애(불안장애, 정동장애, 정신분열증, 사회적장애, 대인관계장애)
[이상심리학] 정신분열증의 원인(생물학적인 요인, 심리 · 사회 · 문화적 요인)과 치료(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