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경제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경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제20차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 ‥‥‥‥‥‥‥‥‥‥‥‥‥ P. 1
- 관련기사 ‥‥‥‥‥‥‥‥‥‥‥‥‥‥‥‥‥‥‥‥‥ P. 2

2. 계획경제체제 (명령경제체제) ‥‥‥‥‥‥‥‥‥‥‥‥‥ P. 4

3. 제1차 한․소 정상회담 (6월 샌프란시스코 정상회담) ‥‥‥ P. 7

4. 모택동의 사망과 실용주의 등장 ‥‥‥‥‥‥‥‥‥‥‥‥ P. 9

5. 동독의 울브리히트 퇴진과 동서독의 독립 ‥‥‥‥‥‥‥ P. 11

6.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과 이스라엘의 평화 ‥‥‥‥‥‥‥ P. 14

7. 김일성 유훈통치 ‥‥‥‥‥‥‥‥‥‥‥‥‥‥‥‥‥‥‥ P. 15

- 참 고 문 헌 ‥‥‥‥‥‥‥‥‥‥‥‥‥‥‥‥‥‥‥‥‥ P. 17

본문내용

었다. 서방세계에서는 사다트의 인기가 올라갔으나 국내에서는 조약반대, 경제위기 악화, 그 결과 생겨난 반대여론에 대한 탄압 등으로 인기가 급격히 떨어졌다.
그는 1981년 10월 아랍-이스라엘 전쟁기념식에서 사열하던 중 회교극단주의자에 의해 암살되었다. 저서에는 《나일의 반란 Revolte sur le Nil》(1957)과 1978년 자서전 〈주체성을 찾아서 In Search of Identity〉가 있다.
7. 김일성 유훈통치
1994년 7월 8일 오전 2시 김일성이 사망하였다. 북한 당국은 사망 34시간 만인 1994년 7월 9일 낮12시‘특별방송’을 통하여 이 사실을 발표하면서 사망원인에 대해“겹쌓이는 헌신적인 과로로 하여 1994년 7월 7일 심한 심근경색이 발생되고 심장쇼크가 합병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북한은 사망 11일 후인 7월 19일 영결식을 갖고 김일성의 시신을 과거 소련의 레닌, 중국의 모택동(毛澤東)의 경우와 같이 미이라 형태로 금수산의사당(주석궁)에 안치하였다. 김일성이 사망한 이후 김정일이 곧바로 김일성의 공식 직책들을 승계 받으리라고 보았던 관측들과는 달리 김정일은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아무런 직책도 승계 받지 않았으며, 단지 군 최고사령관 명의로 김일성 유훈만을 내세우며 북한을 실질적으로 통치할 뿐이었다.
이로써 북한에는 노동당 총비서와 주석 등‘당과 국가’를 대표하는 직책이 오랜 기간 공석인 채 남아 있는 이상한 현상이 빚어졌다. 이와 같은 김정일의 태도는 그의 등장 배경의 한계 및 가부장제적 정치 문화와 함께 경제난을 비롯하여 북한이 당면하고 있던 여러 가지 현실적 어려움에 기인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정일 체제는 김일성이 보유했던 수령의 지위와 역할을 그대로 승계 받은 후계체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북한이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도 국가를‘사회주의 대 가정’으로, 김일성을‘어버이’로 부르는 등 가부장적 정치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의 대상이다. 특히 북한은 그 동안‘충효’라는 덕목의 가치를 강조하여 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 김정일은 이렇게 정치화된‘충효’덕목을 내세워 김일성에 대한 우상화를 더욱 강화하는 한편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자신을 김일성과 동일시하는 선전을 계속하면서 김일성의 카리스마를 자신에게로 이입시키는 작업에 주력하였을 것이다.
결국 김정일은 김일성의 유훈 관철을 특히 강조하고, 김일성에 대한 최상의 애도를 통해 스스로‘충효의 최고 화신’임을 과시함으로써 수령의 후계자로서 부족한 카리스마를 보완하고 승계 이후에도 자신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충성을 강화해 가는 길을 택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김정일 정권의 공식 출범 시기에까지 이어져, 1998년 9월에 개정된 헌법의 서문에“김일성 동지의 사상과 업적을 옹호고수하고 계승발전시켜 주체혁명위업을 끝까지 완성하여 나갈 것이다”라는 규정을 명시하고 김일성을‘영원한 주석’으로 떠받들며, 새 헌법을‘김일성 헌법’으로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각종 연구지에 인용된 <김일성 비밀교시>를 분야별로 정리한,「북한」지(2001년 10, 11, 12월 호)에 나왔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비밀교시와 당 정책부문」에는 ‘대를 영원히 이을 후계자는 잘 선정해야한다. 혁명 1세대는 안 된다. 동생 김영주는 안 된다. 후계자 정일을 절대화하는데 모든 선전수단을 동원하라. 후계자로 추대되면, 사상투쟁을 전개해야한다.’등과 같은 내용에서 혁명전통 계승과 후계체제 확립에 대한 이야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전국혁명 부문」에서는 ‘민족통일은 625, 419의 2번 기회가 있었다. 민족통일은 625, 419의 2번 기회가 있었다. 연고에만 의존하는 공작을 하지 말라. 박헌영을 미제 고용간첩이란 사실을 선전하라. 남조선 인민들의 공미사상(恐美사상)을 뿌리 뽑아야 한다.’등과 같은 내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5가지 정도의 부문의 비밀교시가 있었으나 이 책의 저자 또한 김일성의 <비밀교시>는 혁명발전의 매 단계, 매 시기마다 정치·경제·군사·문화·외교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비공개로 행해지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지도핵심 간부가 아니고서는 접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북한 사회 전반에 대한 <김일성 비밀교시> 자료를 입수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언급했기에 이 정도에서 요약하고자 한다.
※ 참 고 문 헌 ※
1. 제20차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
책세상, 「개인숭배와 그 결과들에 대하여」, 니키타 세르게예비치 흐루시초프 지음
뉴스앤뉴스(http://newsandnews.com/article/view.php?id=sec4_1&no=114)
들녘,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요한 칼퉁 지음
2. 계획경제체제(명령경제체제)
사이버통일교육센터(http://www.uniedu.go.kr/) - 2004북한개요
도서출판 답게,「북한경제론」, 신용수 저
명인문화사, 「남북한 체제통화론」, 김계동 저
3. 제1차 한소 정상회담(6월 샌프란시스코 정상회담)
국가기록포털(contents.archives.go.kr/)
HOME > 국정분야별검색 > 외교 > 노태우 정부 > 소련(1988-1992) > 정상외교 > 샌프란 시스코 정상회담(6월)
4. 모택동의 사망과 실용주의 등장
구굿닷컴(Googood.com) - [중국]실용주의 노선의 대표주자 등소평
일월서각, 「모택동사상전」, 김충렬·공기두 공저
5. 동독의 울브리히트 퇴진과 동서독의 독립
블로그 게시글(Vgl. Glae ner 1999. S. 98ff & http://rheemok.egloos.com/71290)
다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6a3940a)
6.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과 이스라엘의 평화
다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0s4177a)
7. 김일성 유훈통치
통일부 북한자료센터(http://unibook.unikorea.go.kr/)
홈 > 북한관련 DB > 북한개요
동북아전략연구소 - <성우회 안보평론위원 예비역 육군소장 한광덕님의 글 중 발췌>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1.1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5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