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방 십자인대(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
[전방십자인대 손상 원인]
[진단]
[수술전 재활]
후방십자인대(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후방십자인대 파열 원인]
[후방십자인대 파열 증상]
[후방십자인대 파열 진단]
[후방십자인대 파열 시 치료법]
[전방십자인대 손상 원인]
[진단]
[수술전 재활]
후방십자인대(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후방십자인대 파열 원인]
[후방십자인대 파열 증상]
[후방십자인대 파열 진단]
[후방십자인대 파열 시 치료법]
본문내용
방십자인대 파열로 진단이 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증상을 제거하고 조기 퇴행성관절염을 방지하기 위해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게 된다.대퇴골이나 경골 부착부의 손상 또는 경골 견열 골절은 쉽게 봉합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인대 자체의 단열은, 보존적으로 치료하거나 재건술을 시행한다. 보존적 요법으로는 단독 손상은 30 도 굴곡위 상태로 6주간 고정 후, 슬관절의 기능 회복을 도모 한다. 대퇴 사두고근 근력 강화운동을 잘 훈련시키면 80%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불안정성이 약해 환자 자신이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하고 환자 자신이 생활양식을 바꾸고 수술을 원하지 않은 경우는 6개월간 근육 강화운동 (사두고근)과 보조기를 착용하여 생활 한다. 재건술에는 슬개건, 동측의 반건양 건, 박건, 장경대, 동종 이식건등이 이용된다.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80%에서 다른 인대 손상이 동반되며 특히 후 외측 회전인대와 동반손상이 많기 때문에 동시에 후외측 회전불안정성에 대한 재건술을 해야 그 결과가 좋아진다. 1cm미만으로 작게 무릎부위에 구멍을 내고 관절내시경을 집어넣고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실시하며 회복이 빠르고 흉터도 거의 남지 않아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