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건강보험법 시행의 근거
2. 건강보험법령의 위임체계
3. 건강보험법의 적용원리
4. 건강보험법령의 특성
5. 건강보험의 연혁
6.건강보험법의 구성
7. 기타 개정내용
8. 건강보험의 목적
9. 건강보험사업 주체
10. 건강보험사업 주체별 역할
11. 건강보험재원
12.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13. 건강보험 적용대상 등
14. 보험급여
15. 보험료
16. ‘요양급여’의 범위
17. 요양급여비용의 산정
18. 요양급여비용의 부담
19. 요양급여대상여부 확인
20. 권리구제 절차
21. 업무정지 또는 과징금
2. 건강보험법령의 위임체계
3. 건강보험법의 적용원리
4. 건강보험법령의 특성
5. 건강보험의 연혁
6.건강보험법의 구성
7. 기타 개정내용
8. 건강보험의 목적
9. 건강보험사업 주체
10. 건강보험사업 주체별 역할
11. 건강보험재원
12.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13. 건강보험 적용대상 등
14. 보험급여
15. 보험료
16. ‘요양급여’의 범위
17. 요양급여비용의 산정
18. 요양급여비용의 부담
19. 요양급여대상여부 확인
20. 권리구제 절차
21. 업무정지 또는 과징금
본문내용
요양급여대상 [제39조 제1항, 제2항]
- 진찰.검사, 약제.치료재료의 지급, 처치.수술 기타의 치료, 예방.재활, 입원, 간호, 이송
- 비급여대상을 제외한 일체의 사항이 요양급여대상 (네거티브 방식)
* 약제의 경우는 포지티브 방식(요양급여기준 제8조 제1항제1호)
○ 비급여대상 [제39조 제3항 및 규칙 제9조]
-업무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 (피로, 권태, 주근깨, 점 등)
-신체의 필수기능개선목적이 아닌 경우 (쌍꺼풀수술, 미용목적 성형)
-예방진료 :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않는 것(건강검진, 치석제거)
-보험급여시책상 또는 그밖의 건강보험급여원리에 미부합(상급병실료)
- 진찰.검사, 약제.치료재료의 지급, 처치.수술 기타의 치료, 예방.재활, 입원, 간호, 이송
- 비급여대상을 제외한 일체의 사항이 요양급여대상 (네거티브 방식)
* 약제의 경우는 포지티브 방식(요양급여기준 제8조 제1항제1호)
○ 비급여대상 [제39조 제3항 및 규칙 제9조]
-업무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 (피로, 권태, 주근깨, 점 등)
-신체의 필수기능개선목적이 아닌 경우 (쌍꺼풀수술, 미용목적 성형)
-예방진료 : 질병부상의 진료를 직접목적…않는 것(건강검진, 치석제거)
-보험급여시책상 또는 그밖의 건강보험급여원리에 미부합(상급병실료)
추천자료
법제론A+ 우리나라 사회복지 5대사회보험
사회복지의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에 대하여 릴렌스키와 르보의 정의를 서술 우리나라 5...
[사회복지보장론] 사회보장법[사회복지법]의 형성 및 개념과 체계
[사회복지 개론] 사회복지의 거시적 실천방법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법에 ...
[사회복지법] 사회복지법과 관련한 사례(사건)하나를 조사하여 그 내용을 요약하고, 사회복...
[사회복지개론]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복지의 발전과정과 사회복지법 _미국의 사회복지 역사와...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 - 사회복지법의 체계 및 사회복지법과 타법과의 관계
[사회복지법제] 영국의 사회복지법 형성과정에 대해 서술하시오 [영국 사회복지법]
[사회복지사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법의 필요성 세가지 수급권자의 법적 안정성, 사회복지에 ...
[개별사회복지법] 개별사회복지법 하나를 정해 해당 입법특성 및 복지사업 현황 그리고 법적 ...
영국에서 사회복지정책이 태동되면서부터 발전해온 사회복지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회복지법들...
[사회복지법제 공통] 관심 있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복지법 하나를 선택하여 법 내용과 본...
[사회복지법제 공통] 관심 있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복지법 하나를 선택하여 법 내용과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