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의의 및 논점
II. 등기의 절차
III. 등기의 효력
II. 등기의 절차
III. 등기의 효력
본문내용
합에 그대로 원용할 수 없다. 특히 노동조합의 기본활동인 단체교섭과 단체활동에서는 민법상 기관이론을 도입할 수 없다. 노동조합의 경우 그 기관을 통해 단체교섭을 할지라도 조합구성원 전체가 참가한 쟁의행위의 뒷받침 없이는 단체교섭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대표가 한 대표행위가 조합 자체에 귀속하지 않고(단체협약의채무적부분제외), 그 구성원의 조합원에게 직접 귀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법상 기관이론에서 근간이 되는 단체법률관계의 간이화가 아니고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중시되며, 이는 노동조합이 가진 특수한 단체성에서 오는 당연한 결과이다. 이 점에서 법인인 노동조합의 경우에도 노동조합에 민법의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는 것은 재산거래에 관한 부분에 한정된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무원 노동조합에 관한 연구 (공무원 노동기본권의 보장과 제한 및 공무원 노조활동의 찬반...
의사노동조합 요약 정리(7,8,9장)
노동조합
1987년 이후 노동체제 전환과 노동조합 조직 및 기능의 변화
[영국][노동운동][노동조합운동][노동당신좌파운동][여성참정권운동][토지국유화][독서운동]...
산별노조(산업별노동조합)의 의의, 산별노조(산업별노동조합)의 조직원리와 운영방식, 공공산...
[공공부문][노동조합][비정규직][구조조정][노사관계][자체감사]공공부문의 개념, 공공부문의...
[노동조합] 노동조합의 현황 및 개선방안
신간회의 조직활동, 광복군의 조직활동, 노동조합의 조직활동, 호주노동조합의 조직활동, 산...
[일상의 영역][노조의 일상활동][비노동영역의 일상생활][노동조합의 체계][일상활동][부서활...
2003년(2000년대) 한국경제와 노동조합(노조), 2003년(2000년대) 노동시장과 비정규직근로, 2...
[근로자][노동자][노동][노동조합권]근로자(노동자)의 노동조합권, 근로자(노동자)의 초상권,...
[연대투쟁][연대][투쟁][교육투쟁][노동조합투쟁][국제연대투쟁][공무원노동기본권투쟁]연대...
[고용조정][고용][노동조합][노동][노조][지원제도]고용조정의 개념, 고용조정의 종류, 고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