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결핵 관련 간호진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결핵 관련 간호진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식: 결핵약 복용을 제시간에 하지 못하고 미루는 모습 보임
(8)감정
①최근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무 □ 유
②정서상태:□ 매우안정 안정 □ 불안정 □ 매우 불안정
③현재 질병에 대한 느낌: 수용 □ 무관심 □ 분노 □ 부정
(9) History
① 현병력
* 발병 당시부터 현재 입원하고 있는 병원에 오기 전까지 상태
1-2달 전 부산 보건소에서 tuberculosis 진단 받았으나 연고지 문제로 치료하지 못하다가 2009년 4월 5일부터 조금씩 dyspnea 증상 있었으나 지켜보다가 4월 6일dyspnea 증상 심해지고 mental change 까지 있어 ER 통해서 Adm 함
②병원 도착시 상태
도보로 ER통해 adm
T:36.6℃, P:96, R:24, BP:110/70, 전신쇠약, coughing, 입마름
③병원 도착 후부터 현재까지 상황
4/6 adm하여 TB로 MICU TX하다 증상 호전으로 840호실에 격리 중인 상태이며 coughing과 general weakness 호소. Lt. chest 쪽으로 CTD 유지 중이며 coughing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모습 보임. 4/7 AFB stain 결과상 3+ 나옴. 4/20 환자 침상 안정중이며 컨디션 쳐지는 감 있음

4/7
① Gram stain WBC Many
Culture a-Streptococci
Predominant Gram pos. cocci
AFB stain(Cone) 3+ Acid fast bacilli
② Gram stain WBC 2+
Culture a-Streptococci
Predominant Gram pos. cocci
AFB stain(Cone) 2+ Acid fast bacilli
③ Gram stain WBC Many
Culture a-Streptococci
Predominant Gram pos. cocci
AFB stain(Cone) 3+ Acid fast bacilli
4/20
① AFB stain(Cone) 1+ Acid fast bacilli
② AFB stain(Cone) 1+ Acid fast bacilli
④현시점에서 주호소
coughing증상 지속됨. 격리로 인해 병실 내 거주 중이며 질병으로 인해 전신 쇠약감 있으나 호전 보이는 중임. 격리로 인해 방 문 닫고 생활해야 하나 답답함 호소하며 방 문을 열어 놓는 모습 자주 관찰 됨.
#1. 질병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사정
① 기침, 가래 증상 지속됨.
② Lt chest 쪽으로 CTD 유지 중임
③ 호흡 시 그렁거리는 호흡음 간간히 들림.
목표
* 대상자는 활동기 동안 접촉자에게 공기 비말에 의한 전파가 없다
* 대상자는 결핵의 경과와 예후, 치료와 투약의 중요성, 전파방지를 말할 수 있다
* 대상자는 치료 계획에 참여하고 입원 생활동안 치료계획을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계획 및 중재
평가
①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 수분 공급 및 반좌위 격려함.
③ 가습기 이용해 병실 습도 유지함.
④ 처방된 진해거담제, 기관지확장제 등
약물을 투여한다.
①- RR 22-24회/min 측정됨. 숨쉬기 힘들 시엔 침상 안정하며 EDBC 할 수 있도록 격려함
②- 침상안정 하는 동안 반좌위 유지하고 있으며 수분공급 간간히 하는 모습 보임
③- 병실 내 가습기 유지 중임.
④- levotuss syr. 15mg tid 복용 중임.
#2.질병의 인지도 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사정
“(어머니)답답해서 그러는데 방 문 열어 놓는게 어때서요?”
“ 이 방은 창문도 없고 환기가 너무 안되서 어쩔 수 없다니까”
① 보호자(어머니)는 입원기간 동안 적어도 4시간 이상 보호자와 같이 있으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 1-2m 범위의 거리에서 있었음
② Tb Dx 받은 후 po 복용에도 불구하고 AFB stain 1+결과 나옴
③ 입원 당시 보호자에게 마스크 사용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보호자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았으며 환자도 마스크 하지 않은 모습 간간히 관찰됨
④ 대상자가 혼자 있을 때 po 약을 전달 시 제 시간에 복용 하지 않는 모습
관찰됨
목표
* 대상자는 활동기 동안 접촉자에게 공기 비말에 의한 전파가 없다
* 대상자는 결핵의 경과와 예후, 치료와 투약의 중요성, 전파방지를 말할 수 있다
* 대상자는 치료 계획에 참여하고 입원 생활동안 치료계획을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계획 및 중재
평가
①환자의 불이행이 나타나는 이유를 사정한다.
② 경과 및 예후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③지시활동 수행에 대해 대상자와 구체적인 약속을 한다
④ 대상자의 걱정에 대해 격려, 이해, 관심표명을 한다.
①- 격리 상태임은 이해하나 병실 환경에 대하여 불편한 상태임을 표현함.
마스크 착용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나 불편함으로 인해 시행하지 않는다 함.
②- 결핵 치료에 대해 중요성 이해는 하나 대상자의 질환 감염 경로 등으로 인해 대상자와 보호자 감정이 안정적이지 못해 교육이 받아드려지지 않음.
③- 보호자와 함께 있을 때엔 보호자가 po약 복용을 잘하는 모습 보임. 대상자 혼자 병실에 있을 때엔 잘 지켜지지 않아 간호사가 보는 앞에서 약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 하나 잘 지켜지지 않음.
④- 기침의 증상의 호전 등에 대해 관심을 주고 병실 내의 환경이 불편한 것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환자의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방문 등은 닫고 지낼 수 있도록 다시 설명 함.
결론
질병은 진단을 해서 치료하는 것 보다 예방으로서 관리하는 것이 제 1차 간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발생되게 된 질병이라면 조기 진단 및 치료로서 질병의 진행을 막아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하겠다.
결핵으로 인해 입원을 하게 되는 경우 결핵의 치료를 위해선 적게는 6개월 길게는 1년의 시간이 걸리는 긴 치료과정인 만큼 퇴원 후에 환자가 올바른 치료과정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추후관리해 주는 것이 앞으로의 간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3차 간호로서 환자에게 올바른 치료 과정 및 교육을 통하여 질병을 완치하고 양질의 삶을 살 수 있도록 기타 사회 기관이나 타 병원 또는 외래 치료를 통해 장기적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