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병을 고친 사람들 이야기, 현실요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음의 병을 고친 사람들 이야기, 현실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책정보

2. 중간사례소개

3. 저자

4. 비판

5. 새롭게 발견한 점

본문내용

복용한다. 과거 그랬던 것처럼 기분이 다시 좋아질 거라고 하는 희망을 포기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에브렛과 같은 죄수들은 감옥 안이나 밖에서 자신을 억제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매우 잘 알지만 다른 사람들에게서 좌절감을 느낄 대문 억제하려 하지 않았고, 욕구를 충족할 수 없을 때 역시 그랬다. 꽤 자주 노여움을 분출했다. 그 것이 감옥에 온 이유이기도 했다. 교도소는 다른 죄수들 때문이 아니라 교도관에 의해서도 살벌해진다. 라디오 사건에서 그는 교도관들과 싸울 힘을 잃고 다시 격리되었다. 그러나 동정심 많은 교도소장과 상담자의 도움에 힘입어 그는 시험에 통과했고, 억제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알 수 있었다. 분노 억제의 지속, 그는 마침내 더 이상 계속할 수 없다고 했다. ‘파괴적’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싸우는 사람의 모습은 그의 어려운 삶에 대한 상담자의 묘사 속에서 힘 있게 다가온다.
우리가 선택하는 모든 비참한 행동들, 특히 우울하고 아프고 고통스럽고 광란적이고, 심지어 자살을 시도하는 행동들은 우리가 원하는 통제를 위한 발버둥이다. 안트 이모가 자신이 좋아했을지 모르는 양로시설 프로그램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는, 자신이 노후시설에 방치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을 인정한다면 자신이 포기하고자 하는 이상의 통제력을 잃게 된다. 이 사례를 포함한 이 책의 모든 사례를 읽으면서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다. 상담자의 역할이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보다 더 많은 통제력을 갖기를 원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그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1.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