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 목적
2. 시험 기구
3. 실험 시 유의사항
4. 시험방법
5. 시험결과
6. 결론 및 고찰
7. 참고문헌
2. 시험 기구
3. 실험 시 유의사항
4. 시험방법
5. 시험결과
6. 결론 및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4
37.25
33.67
15.45
25.12
4
18
44.37
38.99
15.28
25.87
5
13
46.43
40.75
17.33
27.56
6. 결론 및 고찰
① KS F 2303에서는 시료를 넣은 접시를 1cm의 높이에서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 시켰을때 둘로 나뉜 부분의 흙이 양측으로부터 유출하여 약 1.5cm의 길이에 걸쳐 합류했을 때의 비를 함수비라고 정의한다.
② 유동곡선
반대수 용지의 대수 눈금의 가로축에 낙하횟수를 산술 눈금의 세로축에 함수비를 취하여 위에서 구한 결과를 도시하여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직선을 구하여 이를 유동곡선으로 하고 이 선의 기울기를 유동지수라고 한다.
③ 액성한계
유동곡선에서 낙하 횟수를 25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라고 한다.
④ 소성지수
흙의 소성지수는 흙의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를 말한다.
⑤ 이번 시험을 통해 소성지수, 액성한계, 유동곡선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낙하회수에 대한 함수비 그래프로 볼 때 이번 시험은 오차가 많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흙의 종류를 사질토가 아닌 일반 흙을 사용함에 따라 점성이 떨어졌으며 흙을 다듬고 절반으로 가르는 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오래된 장비로 황동 접시를 다짐하였기 때문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졌다고 생각하기 어려우며 각각의 실험마다 일정한 간격이 붙었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더욱 정교한 실험과 많은 반복으로 인해 오차를 줄여야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7. 참고문헌
- 박춘수외3, “토질역학,” 형설출판사, 1993, 31-34 - 흙의 성질
37.25
33.67
15.45
25.12
4
18
44.37
38.99
15.28
25.87
5
13
46.43
40.75
17.33
27.56
6. 결론 및 고찰
① KS F 2303에서는 시료를 넣은 접시를 1cm의 높이에서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 시켰을때 둘로 나뉜 부분의 흙이 양측으로부터 유출하여 약 1.5cm의 길이에 걸쳐 합류했을 때의 비를 함수비라고 정의한다.
② 유동곡선
반대수 용지의 대수 눈금의 가로축에 낙하횟수를 산술 눈금의 세로축에 함수비를 취하여 위에서 구한 결과를 도시하여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직선을 구하여 이를 유동곡선으로 하고 이 선의 기울기를 유동지수라고 한다.
③ 액성한계
유동곡선에서 낙하 횟수를 25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라고 한다.
④ 소성지수
흙의 소성지수는 흙의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를 말한다.
⑤ 이번 시험을 통해 소성지수, 액성한계, 유동곡선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낙하회수에 대한 함수비 그래프로 볼 때 이번 시험은 오차가 많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흙의 종류를 사질토가 아닌 일반 흙을 사용함에 따라 점성이 떨어졌으며 흙을 다듬고 절반으로 가르는 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오래된 장비로 황동 접시를 다짐하였기 때문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졌다고 생각하기 어려우며 각각의 실험마다 일정한 간격이 붙었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더욱 정교한 실험과 많은 반복으로 인해 오차를 줄여야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7. 참고문헌
- 박춘수외3, “토질역학,” 형설출판사, 1993, 31-34 - 흙의 성질
추천자료
생물학-미생물의 개념,탄생,연구,의의
영화감상-워터월드를보고(환경주제관련)
애니메이션의 종류와 제작방법
토질실험-직접전단시험
건설재료실험 직접전단(전단강도) 시험
직접 전단 시험(고찰포함)
농민소설 - 계몽할 것이냐 방관할 것이냐
황사의 원인과 대책
[인간관][플라톤 인간관][정산종사 인간관][순자 인간관][동양 인간관][서양][불교][성리학]...
[재활용][재활용 종류][재활용 의의][재활용 효과][재활용 현황][법률]재활용의 종류, 재활용...
정의란 무엇인가
중앙대 공공재정관리론 팀프로젝트 과제 : 동일사업에 대한 예산사용비교
[서평]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죽음에서 생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