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론 AML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인 개념의 교수법이 있는가 하면, 전신 반응 교수법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염두에 둔 교수법도 있다. 그렇다면 제7차 영어과 교육 과정의 특징은 무엇이고 이 교육 과정에 알맞은 영어 교수법은 무엇인가?
제7차 영어과 교육 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교육부 1999)
(1) 생활 영어 중시
(2) 언어 사용 능력 신장
(3) 활동, 과정·과업 중심의 학습 중시
(4) 성취 기준의 명료화 및 상세화
(5)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이 목록이 기본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것은 제7차 교육 과정은 의사 소통 기능의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세계적인 외국어 교육의 추세이며 이미 제6차 교육 과정에서도 적용시켜 오고 있지만 제7차에서는 수업 시간에 많은 의사 소통 활동(communicative activities)을 구현하게 함으로써 더욱 본격적인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CLT는 개념-기능 중심 교육 과정(Notional-Functional Syllabus: NFS)과 더불어 제7차 영어과 교육 과정의 성격을 규정짓는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다.
CLT(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의 특징을 David Nunan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1) 상호 작용을 통하여 목표어로 의사 전달하는 법을 배운다.
(2) 학습 현장에 실제적인(authentic) 텍스트를 도입한다.
(3) 학습자로 하여금 언어뿐만 아니라 학습의 과정 그 자체에 관심을 기울일 기회를 제공한다.
(4) 학습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학습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한다.
(5) 교실 속의 언어 학습과 교실 밖의 언어 활용을 연계시킨다.
CLT의 특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Brown(1994:79)을 참고하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CLT의 성격을 규정짓는 몇 가지 전문 용어에 대한 해설을 제공함으로써 제7차 영어과 교육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겠다.
1. 학습자 중심 수업 (Learner-centered Teaching)
교사 중심 수업과 대치되는 개념으로, 교육 과정을 가리키기도 하고 특정한 교수 방법을 가리키기도 한다. 학습자의 욕구, 스타일, 목표를 수업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과, 학습자에게 어느 정도 수업의 통제권을 주는 것, 학습자의 창조성을 허용하는 것, 그리고 학생의 자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포함한다. 학습자를 수업의 중심에 둠으로써 언어 교육에 필수적인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쉽게 유발시킬 수 있다.
2. 협동 학습 (Cooperative Learning)
교육 과정이나 교실 활동을 경쟁이 아닌 협동의 활동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것은 구체적으로는 짝 활동, 모둠 활동으로 나타난다. 어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구성원들은 자기가 가진 정보나 기능을 서로 나누어 가진다. 협동은 학생과 학생 사이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학생과 교사 사이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3. 상호 작용 학습 (Interactive Learning)
의사 소통(communication)이라는 개념 자체가 상호 작용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이러한 학습은 짝 활동, 모둠 활동을 통해서 나타나고 대화 연습보다는 실제 대화를 통해서 나타난다. 그리고 연습 문제의 풀이보다는 실제 인물에게 글을 쓰거나 보냄으로써 나타난다.
4. 전 언어 교육 (Whole Language Education)
전 언어라는 개념은 말은 음소나 단어와 같이 분리된 실체가 아니라, 발화와 같은 연결된 완결체라는 인식에서 나왔다. 대화의 경우, ‘What time is it now?’와 같은 질문은 그 자체로는 완결된 언어가 아니다. ‘It's 10:30.’와 같은 응답이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하나의 완결된 언어 사용이 되는 것이다.
5. 내용 중심 교육 (Content-centered Education)
종래의 언어 교육이 언어의 구조에만 관심을 둠으로써 공허한 학습이 되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킨 것에 대한 반성에서 나온 것으로 언어 교육은 언어 형식 못지 않게 그 내용도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한 것이다. 공학도에게 과학 기술의 내용을 교육 내용으로 사용한다면 언어 습득이라는 일차적 목표를 뛰어넘는 효과를 볼 것이다. 마찬가지로 축구 선수에게 월드컵을 내용으로 하는 영어를 도입해서 가르친다면 거기에 기울이는 관심은 대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영어를 처음 배우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지적 수준에 맞는 내용을 (언어 형식을 단순화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6. 과업 기반 학습 (Task-based Learning)
과업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정의가 있지만 ‘일정한 목표, 적절한 내용, 특정한 절차와 예견되는 결과를 가진 구조화된 언어 학습 활동’이라는 Michael Breen의 정의가 적절하다. 과업에는 문제 풀이 과업도 있고 역할극 과업도 있다. 또한 개방형 과업, 구조적 과업, 교사 주도 과업, 소집단 과업 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과업 기반 학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언어 형식을 뛰어 넘어 실제 세계에 대한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게 해 준다.
(2) 의사 소통 목표를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3) 개별 과업이 성공적이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피드백을 제공해 준다.
(4) 실생활에서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해 준다.
참고 문헌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V): 외국어(영어).
Asher, James. 1977. Learning Another Language Through Actions: The Complete Teacher's Guidebook. Sky Oaks Productions.
Brown, Douglas. 1994. Teaching by Principles. Prentice Hall.
Richards, Jack and Rodgers, Theodore. 1986.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키워드

AMLT,   영어,   교육론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