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약물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는 최소량을 투여한다. 치료 초기에 일시적인 두통이 나타날 수 있으 나, 계속 투여하면 수일내에 증상이 개선된다.
- 혀 밑에 용해시켜 구강 점막으로 흡수되어 빠른 효과를 나타내므로 내복으 로는 효과가 없다.
- 어지러움이나 구내건조감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 중량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료를 갑자기 중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어지러움으로 쓰러질 수 있으므로 앉아서 복용한다.
6. 임부/수유부에 대한 투여
- 임부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가임부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 모유중으로의 이행이 알려진 바 없으므로 수유중에는 투여를 피하고 부득 이한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 고령자는 간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9. 기타
- 본제 사용중에 본제 또는 다른 질산염제제에 대해 내약성이 생겨 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10. 부작용
- 순환기계 : 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드물 게 어지러움 등이 나타난다.
- 정신신경계 : 두통, 허약, 드물게 실신 등이 나타난다.
- 소화기계 :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난다.
- 기타 : 드물게 발한, 요실금, 변실금 등이 나타난다.
11. 신중투여
- 저혈압 환자
12.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 질산염제제는 Zlatkis-Zak색상반응을 방해하여 혈청증의 콜레스테롤이 감 소된 것과 같은 위양성반응을 나타낸다.
▣ Verapamil
1. 적응증
-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2. 약물체내동태
- 경구투여시 90%이상 흡수되나 first-pass effect를 받으므로 생체이용률은 20~35%에 불과하여 지속투여 및 용량 증가로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백결합률은 약 90%로 높고 간에서 빠르고 광범위하게 대사된다. 반감기는 초회 투여후 2.8~7.4시간이고 반복 투여시 혈장농도 증가로 간 의 대사효소계가 포화되어 4.5~12시간으로 연장된다. 투여후 1~2시간 지 나면 작용이 발현되며, 최대효과는 24~48시간 후에 나타나고 8~10시간정 도 작용이 지속된다. 신장에서 포합대사체로 70%가 배설되고 9~16%가 담 즙으로 배설된다.
3. 용법용량
- oral(40mg/정) - 성인 1회 40mg~80mg을 1일 3회 투여
- parenteral(IV) - 50mg/amp
보통성인 1회 5mg을 1일 3회 천천히
4. 금기
- 심한 울혈성 심부전 환자
- 2도 이상의 방실불록, 동방블록환자
- 임부 혹은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5. 부작용
- 서맥, 방실전도 시간의 연장, 발진,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변비
▣ Lidocain
1. 작용
- lidocaine은 신경막을 안정화시키고 신경충격의 발현과 전달을 방해하여 국소에 마취작용을 나타내며 심장의 확장기, 심실의 전기자극역치를 증가 시켜 항부정맥 효과를 나타낸다.
2. 약물체내동태
- 전신으로 흡수되며 흡수율은 투여부위나 방법, 용량 등에 따라 다르다. 간 에서 대사되며 대사체인 xylidide도 활성을 가진다. 단백결합은 보통이며 반감기는1.5~1.8시간이고 작용발현이 빠르며 1~3시간 지속된다. 주로 대 사체로 신장으로 배설(미변화체:10%)되며 담즙으로도 배설된다.
3. 적응증
- 표면, 침윤, 전달, 경막외 마취 등 국소 마취 전반에 응용
- 급성 심근경색증 같은 심실성 부정맥의 치료
- 진통, 피부 및 전신알러지, 신경차단을 요하는 증상에 마취 목적
4. 용법 용량
- parenteral(1,2,4%/vial)
- 전달, 침윤, 경막외 마취 : 최고 용량 1회 500mg,4.5mg/kg초과 못함.
- 표면마취(4%용액사용) : 도포하거나 분무한다.
- 심실부정맥(IM,IV) : 근육 주사시 평균 4.3mg/kg, 정맥 주사시 1회 50~ 100mg을 20~50mg/min의 속도로 투여, 정맥내 주입 시 0.1%~0.2% 용액을 1~3mg/min의 속도로 5% 포도 당, 10% 포도당, 0.9% 생리식염수 등에 혼합하여 사 용할 수 있다.
5. 금기
- amide계 과민증환자, stokes adams 증후군, 심한 방실 block 환자
6. 주의사항
- 임신초기, 임신가능성의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주의한다.
-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갑상샘기능항진증, 당뇨병, 혈관경련 환자 에게 투여할 때는 신중히 해야 한다.
- lidocaine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어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간이나 신장기능 부전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 기도내 표면 마취시에는 흡수가 빠르므로 용량에 주의한다.
- 환자의 ECG를 측정하면서 투여한다.
6. 부작용
- 신경질, 어지러움, 시야몽롱, 진전, 졸음, 불안, 흥분, 현기증, 이명혼탁, 박리 등의 각막장애와 과민증, 발진 등
- 말초혈관확장, 서맥, 저혈압, 호흡억제
7. 약물상호작용
- cyclopropane, halothane, trichloroethylene 등의 흡입 마취약 epinephrine, norepinephrine같은 혈관수축약과의 병용은 신중히 해야한다.
- lidocaine은 sulfa제 또는 기타 화학요법제의 작용을 억제하지 않으며 penicillin수용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Bretylium
- 심한 심실성 부정맥에 다른 약으로 효과가 없을 때 사용한다.
- 심실세동환자에서 반복적인 lidocaine투여와 제세동에도 불구하고 심실세동이 지속되면 bretylium을 투여하여야 한다. 즉 최대용량의 lidocaine이 투여된 후에도 제세동되지 않으면, 5 mg/kg의 bretylium을 투여한 후 제세동을 시도 한다. 5 mg/kg을 투여한 후 제세동에 실패하면, 10 mg/kg을 투여하고 제세동 한다. Bretylium의 최대 투여허용량은 30 mg/kg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1.2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