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Hepatic damage evaluation
in vitro test (isolated hepatocytes)
in vivo test
1. ALT/AST 측정 원리
2. ornithine carbamoyl trasferase (OCT)
3. sorbitol dehydrogenase (SDH)
4.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vitro test (isolated hepatocytes)
in vivo test
1. ALT/AST 측정 원리
2. ornithine carbamoyl trasferase (OCT)
3. sorbitol dehydrogenase (SDH)
4. Lactate dehydrogenase (LDH)
본문내용
H를 소모하면서 다시 GSH로 환원되어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Vit. C나 berberine이 GR의 활성을 증가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GSSG/total GSH ratio 측정
GSSG/total GSH ratio는 대조군이 11.24%, PQ 군이 12.11%, Vit. C 군이 10.04%, B 1 군이 9.17%, B3 군이 8.35% 그리고 B6 군이 9.73%로 나타났다. PQ군에 비해 다른 군들에서 수치가 낮게 나타났고 특히 B1 군과 B3 군은 대조군과 PQ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동물조직에서 GSH의 결핍은 지질과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며, GSSG/total GSH ratio는 조직 세포내의 산화환원 반응과 해독작용 상태의 평가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Vendemiale et al., 1989).
MDA 함량 측정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 MDA 함량은 대조군이 211.21 nmol/g, PQ 군이 208.35 nmol/g, Vit. C 군이 181.25 nmol/g, B1 군이 176.24 nmol/g, B 3 군이 179.12 nmol/g 그리고 B6 군이 184.85 nmol/g으로 나타났다. 활성산소와 세포막의 불포화 지방산이 일련의 연쇄반응을 하게 되면 체내에 MDA 함량이 증가한다. 이러한 MDA 함량 증가는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노화와 유전적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Schraufstatter et al., 1988). 본 실험에서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가 높을수록 MDA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GSSG/total GSH ratio 측정
GSSG/total GSH ratio는 대조군이 11.24%, PQ 군이 12.11%, Vit. C 군이 10.04%, B 1 군이 9.17%, B3 군이 8.35% 그리고 B6 군이 9.73%로 나타났다. PQ군에 비해 다른 군들에서 수치가 낮게 나타났고 특히 B1 군과 B3 군은 대조군과 PQ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동물조직에서 GSH의 결핍은 지질과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며, GSSG/total GSH ratio는 조직 세포내의 산화환원 반응과 해독작용 상태의 평가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Vendemiale et al., 1989).
MDA 함량 측정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 MDA 함량은 대조군이 211.21 nmol/g, PQ 군이 208.35 nmol/g, Vit. C 군이 181.25 nmol/g, B1 군이 176.24 nmol/g, B 3 군이 179.12 nmol/g 그리고 B6 군이 184.85 nmol/g으로 나타났다. 활성산소와 세포막의 불포화 지방산이 일련의 연쇄반응을 하게 되면 체내에 MDA 함량이 증가한다. 이러한 MDA 함량 증가는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노화와 유전적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Schraufstatter et al., 1988). 본 실험에서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가 높을수록 MDA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