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송순(宋純1493~1583)
정철 (鄭澈, 1536~1593)
윤선도 (尹善道, 1587~1671)
정철 (鄭澈, 1536~1593)
윤선도 (尹善道, 1587~1671)
본문내용
송순(宋純1493~1583)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서 본관은 신평(新平)이며 자는 수초(遂初)이다. 그리고 호는 면앙정(仰亭)·기촌(企村)이며 시호는 숙정(肅定)이다. 아버지 태(泰)와 어머니 순창조씨(淳昌趙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명문 양반가 출신으로 21세에 박상에게서 배웠으며, 26세 때는 송세림에게서 배웠다. 1519년(중종 14) 별시문과에 급제, 1547년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를 지냈다. 1550년 이조참판 때 죄인의 자제를 기용했다는 이기(李) 일파의 탄핵으로 유배되었다. 구파의 사림(士林)으로 이황(李滉) 등 신진사류(士類)와 대립하였다. 1569년(선조 2) 대사헌 등을 거쳐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가 치사(致仕)했다.
하지만 그가 살았던 시대는 4대사화(四大士禍)가 일어나는 등 혼란한 때였으나, 50여 년의 벼슬살이 동안 그는 단 한번 1년 정도의 귀양살이만 할 정도로 관운이 좋았다. 이것은 그가 인품이 뛰어났으며 성격이 너그럽고 의리가 있었으며 사람을 가리지 않고 고루 사귀는 등의 이유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온 세상의 선비가 모두 송순의 문하로 모여들었다\"(성수침), \"하늘이 낸 완인(完人)\"(이황)이라고 표현될 정도로 당대의 대표적 인사들과 친교를 유지했다.
그는 호남 출신이지만 영남 사림의 학통을 이어받은 박상·박우 형제의 영향을 받았으며, 선산부사로 재직할 때 그곳의 사람들과 교유하는 등, 학문적인 면은 사림파에 가까웠다고 한다. 또한 음률에 밝아 가야금을 잘 탔고 풍류를 아는 호기로운 재상으로 알려져 있다. 1533년(중종 28)에 김안로가 권세를 잡자 귀향하여 면앙정을 짓고 시를 읊으며 지냈는데, 이때부터 임제·김인후·고경명·임억령 등과 교유하며 면앙정가단을 형성했다.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 시조에 뛰어났다. 담양(潭陽) 구산서원(龜山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문집에 《기촌집》 《면앙집》이 있고 작품에 《면앙정가(仰亭歌)》가 있다.
< 시대적 상황과 송순의 위치 >
송순이 살았던 16세기의 조선조는 시대적 상황이 복잡했다. 큰 외환이 없었다고는 하나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이 사화와 반정으로 이어지면서 내환이 거듭됐고, 파당의 대립이 첨예화되어 위정자와 선비에 대한 피의 숙청이 끊이지 않았던 시대였다. 무오사화※(1498, 연산조 4),갑자사화(1504, 연산조 10), 기묘사화(1519, 중종 14), 1530년(중종 25년)부터의 김안로의 발호 등
※최초의 사화인 무오사화는 세조의 집권, 이시애 난 평정, 남이 및 구성군 정변에 공을 세운 훈공 세력에 기득권을 지키려는 현실주의와 그 과정에 참여하지 못한 재야 사루가 중앙 정계에 진출하려고 유학의 차별 원리를 도구로 하여 내세운 당위론적 명분주의와의 대결로, 유학의 정통을 표방한 김종직 문도들의 도전은 류자광 등 현실주의 훈공세력의 배척 대상이 되었다.
▷작품세계
가사여행
면앙정가(仰亭歌)
* 연대 : 중종 19년(1524)으로 추정
* 형식 : 79구, 서경가사, 서정가사 4 4(3 4)조를 기조로한 4음보 연속체
* 성격 : 양반가사, 은일가사(隱逸歌辭), 서정가사(抒情歌辭)
* 표기 : 창작된 16세기 표기가 아니고 18세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
* 짜임 : 기승전결(起承轉結)4단 구성
* 내용 : 작자가 향리인 담양의 제월봉 아래에 면앙정을 짓고 자연의 아 름다움에 몰입하여 사는 즐거움을 노래함
* 제재 : 면앙정의 자연의 승경
* 주제 : 자연을 즐기는 풍류생활
* 의의 : 정극인 <상춘곡> ⇒ 송순 <면앙 정가> ⇒ 정철 <성산별곡>
강호가도를 확립한 노래로, 정극인의 ‘상춘곡’의 계통을 잇고, 정철의 ‘성산 별곡’에 영향을 주었다.
* \'면앙정\'의 의미
땅을 굽어 보고, 하늘을 우러러 본다는 뜻\'
송순은 \"이 언덕에 정자를 지으니, 그 흥취가 호연하다. 바람과 달을 불러들이고, 산과 시내를 끌어들여 즐기니 나의 여생을 마치는 데 충분하다.\"고 했다.
< 구성 >
서사(1 ~ 4) : 제월봉의 형세와 면앙정의 모습
1) 제월봉의 형세 (제월봉 = 늘근 뇽)
2) 면앙정의 모습 (면앙정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서 본관은 신평(新平)이며 자는 수초(遂初)이다. 그리고 호는 면앙정(仰亭)·기촌(企村)이며 시호는 숙정(肅定)이다. 아버지 태(泰)와 어머니 순창조씨(淳昌趙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명문 양반가 출신으로 21세에 박상에게서 배웠으며, 26세 때는 송세림에게서 배웠다. 1519년(중종 14) 별시문과에 급제, 1547년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를 지냈다. 1550년 이조참판 때 죄인의 자제를 기용했다는 이기(李) 일파의 탄핵으로 유배되었다. 구파의 사림(士林)으로 이황(李滉) 등 신진사류(士類)와 대립하였다. 1569년(선조 2) 대사헌 등을 거쳐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가 치사(致仕)했다.
하지만 그가 살았던 시대는 4대사화(四大士禍)가 일어나는 등 혼란한 때였으나, 50여 년의 벼슬살이 동안 그는 단 한번 1년 정도의 귀양살이만 할 정도로 관운이 좋았다. 이것은 그가 인품이 뛰어났으며 성격이 너그럽고 의리가 있었으며 사람을 가리지 않고 고루 사귀는 등의 이유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온 세상의 선비가 모두 송순의 문하로 모여들었다\"(성수침), \"하늘이 낸 완인(完人)\"(이황)이라고 표현될 정도로 당대의 대표적 인사들과 친교를 유지했다.
그는 호남 출신이지만 영남 사림의 학통을 이어받은 박상·박우 형제의 영향을 받았으며, 선산부사로 재직할 때 그곳의 사람들과 교유하는 등, 학문적인 면은 사림파에 가까웠다고 한다. 또한 음률에 밝아 가야금을 잘 탔고 풍류를 아는 호기로운 재상으로 알려져 있다. 1533년(중종 28)에 김안로가 권세를 잡자 귀향하여 면앙정을 짓고 시를 읊으며 지냈는데, 이때부터 임제·김인후·고경명·임억령 등과 교유하며 면앙정가단을 형성했다.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 시조에 뛰어났다. 담양(潭陽) 구산서원(龜山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문집에 《기촌집》 《면앙집》이 있고 작품에 《면앙정가(仰亭歌)》가 있다.
< 시대적 상황과 송순의 위치 >
송순이 살았던 16세기의 조선조는 시대적 상황이 복잡했다. 큰 외환이 없었다고는 하나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이 사화와 반정으로 이어지면서 내환이 거듭됐고, 파당의 대립이 첨예화되어 위정자와 선비에 대한 피의 숙청이 끊이지 않았던 시대였다. 무오사화※(1498, 연산조 4),갑자사화(1504, 연산조 10), 기묘사화(1519, 중종 14), 1530년(중종 25년)부터의 김안로의 발호 등
※최초의 사화인 무오사화는 세조의 집권, 이시애 난 평정, 남이 및 구성군 정변에 공을 세운 훈공 세력에 기득권을 지키려는 현실주의와 그 과정에 참여하지 못한 재야 사루가 중앙 정계에 진출하려고 유학의 차별 원리를 도구로 하여 내세운 당위론적 명분주의와의 대결로, 유학의 정통을 표방한 김종직 문도들의 도전은 류자광 등 현실주의 훈공세력의 배척 대상이 되었다.
▷작품세계
가사여행
면앙정가(仰亭歌)
* 연대 : 중종 19년(1524)으로 추정
* 형식 : 79구, 서경가사, 서정가사 4 4(3 4)조를 기조로한 4음보 연속체
* 성격 : 양반가사, 은일가사(隱逸歌辭), 서정가사(抒情歌辭)
* 표기 : 창작된 16세기 표기가 아니고 18세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
* 짜임 : 기승전결(起承轉結)4단 구성
* 내용 : 작자가 향리인 담양의 제월봉 아래에 면앙정을 짓고 자연의 아 름다움에 몰입하여 사는 즐거움을 노래함
* 제재 : 면앙정의 자연의 승경
* 주제 : 자연을 즐기는 풍류생활
* 의의 : 정극인 <상춘곡> ⇒ 송순 <면앙 정가> ⇒ 정철 <성산별곡>
강호가도를 확립한 노래로, 정극인의 ‘상춘곡’의 계통을 잇고, 정철의 ‘성산 별곡’에 영향을 주었다.
* \'면앙정\'의 의미
땅을 굽어 보고, 하늘을 우러러 본다는 뜻\'
송순은 \"이 언덕에 정자를 지으니, 그 흥취가 호연하다. 바람과 달을 불러들이고, 산과 시내를 끌어들여 즐기니 나의 여생을 마치는 데 충분하다.\"고 했다.
< 구성 >
서사(1 ~ 4) : 제월봉의 형세와 면앙정의 모습
1) 제월봉의 형세 (제월봉 = 늘근 뇽)
2) 면앙정의 모습 (면앙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