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보주의 교육사상
1-1.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1-2.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1-3.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2. 본질주의 교육사상
2-1.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2-2.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2-3.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3. 항존주의 교육사상
3-1. 항존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3-2. 항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3-3. 항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4. 재건주의 교육사상
4-1.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4-2.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4-3.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1-1.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1-2.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1-3.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2. 본질주의 교육사상
2-1.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2-2.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2-3.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3. 항존주의 교육사상
3-1. 항존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3-2. 항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3-3. 항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4. 재건주의 교육사상
4-1.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특징
4-2.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4-3.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본문내용
점만을 갖추어 새로운 사상체계를 구축하였다. 즉, 진보주의로부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사고, 아동의 자발성 존중, 민주이념의 중시를 택하였고, 본질주의로부터는 문화를 중시하는 요소를, 항존주의에서는 인생과 우주에 대한 사유의 철학적 방식을 받아들였다. 이에 대해 브라멜드는 각각 실험정신, 계통적 지식, 합리적 분석을 배운다고 말하며, 진보주의를 문화적 변천, 본질주의를 문화적 유지, 항존주의를 문화적 후퇴, 재건주의를 문화적 혁신의 교육철학이라고 명했다. 이는 다시 말해 항존주의는 과거, 본질주의는 과거와 현재의 중간, 진보주의는 현재, 재건주의는 미래에로 접근하는 위치에 있다는 것이었다.
브라멜드에 의하면, 현대문화는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문화를 재검토하여 이상적인 문화에 대한 전망을 마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교육이 맡아야 한다. 따라서 교육의 절대적 과제는 바로 이러한 현대문명의 위기에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적인 인간 양성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목적과 수단은 현대문화적 위기에서 오는 요구에 부합되도록 재조직되어야 한다.
또한 브라멜드는 교육과정의 선정방법, 교재내용, 교수방법, 행정조치, 교사양성제도에 대한 지금까지의 견해를 재검토하자고 주장한다. 이러한 모든 문제들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성에 대한 통합적 원리에 따라 재조직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은 교과간의 내용이 지식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어 다루어지질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다루어지도록 재조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방법에 있어서도 ‘협동적 조사’를 비롯하여 텔레비전과 그 밖의 시청각기구의 적극적인 활용을 권하였다.
4-2.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재건주의는 현대 문화의 위기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대한 개혁적 전망을 갖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사상을 주장함으로서 현 인류 문명의 각종 위기상황에 다각도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을 고려하고 있다. 민주주의에 대한 이성적 추구를 강조함으로써 민주적 세계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점 등 역시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4-3.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기존 교육사상의 장점만을 모아서 구축한 이론체계임에도 불구하고 단점이 있는데, 우선 ‘공교육의 사회개조를 위한 수단화’는 상당히 급진적이고 이상론적이다. 다시 말하면 재건주의가 목적으로 삼고 있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누가, 어떻게, 어떤 능력으로 실현 가능케 하느냐는 쉬운 문제라고 볼 수 없다. 브라멜드의 말대로 ‘최대 다수의 합의를 얻어서 함께 한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평등교육의 실천은 오늘날과 같은 다원화 사회에서도 정치적 이념과 국가적 이익을 초월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새로운 국제사회의 질서 확립을 위해서는 정치, 도덕, 종교, 사회, 개인적인 요소까지 고려해야 하는, 어렵고도 복잡한 문제가 놓여 있다. 결국 재건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대하게 신용하고 있는 듯하다.
브라멜드에 의하면, 현대문화는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문화를 재검토하여 이상적인 문화에 대한 전망을 마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교육이 맡아야 한다. 따라서 교육의 절대적 과제는 바로 이러한 현대문명의 위기에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적인 인간 양성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목적과 수단은 현대문화적 위기에서 오는 요구에 부합되도록 재조직되어야 한다.
또한 브라멜드는 교육과정의 선정방법, 교재내용, 교수방법, 행정조치, 교사양성제도에 대한 지금까지의 견해를 재검토하자고 주장한다. 이러한 모든 문제들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성에 대한 통합적 원리에 따라 재조직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은 교과간의 내용이 지식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어 다루어지질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다루어지도록 재조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방법에 있어서도 ‘협동적 조사’를 비롯하여 텔레비전과 그 밖의 시청각기구의 적극적인 활용을 권하였다.
4-2.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장점
재건주의는 현대 문화의 위기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대한 개혁적 전망을 갖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사상을 주장함으로서 현 인류 문명의 각종 위기상황에 다각도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을 고려하고 있다. 민주주의에 대한 이성적 추구를 강조함으로써 민주적 세계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점 등 역시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4-3. 재건주의 교육사상의 단점
기존 교육사상의 장점만을 모아서 구축한 이론체계임에도 불구하고 단점이 있는데, 우선 ‘공교육의 사회개조를 위한 수단화’는 상당히 급진적이고 이상론적이다. 다시 말하면 재건주의가 목적으로 삼고 있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누가, 어떻게, 어떤 능력으로 실현 가능케 하느냐는 쉬운 문제라고 볼 수 없다. 브라멜드의 말대로 ‘최대 다수의 합의를 얻어서 함께 한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평등교육의 실천은 오늘날과 같은 다원화 사회에서도 정치적 이념과 국가적 이익을 초월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새로운 국제사회의 질서 확립을 위해서는 정치, 도덕, 종교, 사회, 개인적인 요소까지 고려해야 하는, 어렵고도 복잡한 문제가 놓여 있다. 결국 재건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대하게 신용하고 있는 듯하다.
추천자료
철학과 맥락을 같이하는 서양교육의 시대적 사상의 흐름[완]
프뢰벨
[교육운동][교육투쟁][교육목표][공교육]교육운동의 목표, 교육운동의 철학사상과 교육운동의...
[교육운동][교육][교육투쟁][공교육][학교교육]교육운동의 연혁, 교육운동의 철학사상, 교육...
[공자][철학][정치사상][학문관][군자교육론][교육실천][제자백가]공자의 일생, 공자의 철학,...
Jean-Jacques Rousseau 루소의 교육 사상 철학
피아제의 생애, 사상, 교육철학, 이론(인지이론)
[서양][서양 학교교육][서양 건축][인상주의]서양의 철학(사상), 서양의 가치관, 서양의 국가...
몬테소리 교육에 관해 서술하기 - 철학적배경, 사상적배경, 교육적 의미와 내용, 교사의 역할...
몬테소리(Montessori) 교육에 관하여 서울 - 철학적 사상적 배경 교육적 의미와 내용 교사의 ...
몬테소리 교육에 관해 서술하시오. 철학적, 사상적 배경, 교육적 의미와 내용, 교사의 역할, ...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그람시(Gramsci)의 ‘진지전(war of position)과 지식인(in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