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치성이 낮으며 때에 따라서는 뇌기능이 아닌 단순한 척수기능에 따른 운동반응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기관내 삽관을 하고 있거나 의사소통 능력에 장애가 있거나 실어증, 안검이 부어서 뜨지 못하거나 청력저하, 맹인, 마비된 대상자는 사정 시 주의해야 한다. 그 외에도 두통을 호소 한다던가 비정상적으로 조용한다던지, 불명확한 언어를 사용하는지, 지남력의 변화가 있는지 등 지속적으로 의식수준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변화양상을 기록하도록 한다. 이것은 신경학적 상태에서 중요한 퇴행의 지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서문자, 이향련, 이정희, 박춘자,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최경옥 外, 성인간호학 下-Ⅲ : 수문사
2. 김영경 外, 건강사정, 현문사
3.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한국사전연구회
기관내 삽관을 하고 있거나 의사소통 능력에 장애가 있거나 실어증, 안검이 부어서 뜨지 못하거나 청력저하, 맹인, 마비된 대상자는 사정 시 주의해야 한다. 그 외에도 두통을 호소 한다던가 비정상적으로 조용한다던지, 불명확한 언어를 사용하는지, 지남력의 변화가 있는지 등 지속적으로 의식수준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변화양상을 기록하도록 한다. 이것은 신경학적 상태에서 중요한 퇴행의 지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서문자, 이향련, 이정희, 박춘자,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최경옥 外, 성인간호학 下-Ⅲ : 수문사
2. 김영경 外, 건강사정, 현문사
3.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편, 한국사전연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