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학적 사정(의식수준, GCS, 동공반응, 근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학적 사정(의식수준, GCS, 동공반응, 근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의식수준
1. 의식의 정의
2. 의식의 두 가지 측면
3. 의식 변화의 원인
4. 의식수준(level of consciousness)의 5단계
5. 의식수준의 사정방법
- GCS (Glasgow Coma Scale) : 글라스고우의 혼수사정 척도

Ⅱ. 동공반응 (대광반사)
1. 동공의 사정
2. 동공반응 검사

Ⅲ. 근력
1. 운동반응의 단계
2. 근력 검사 방법

본문내용

빛을 비췄을 때 즉시 수축하고 빛이 줄어들면 커지며, 교감 반응으로 인해 반대 쪽 동공도 함께 반응한다.
- prompt (즉시 반응) : 정상
- sluggish (서서히 반응)- nonreactive or fixed (변화없음)
- hippus phenomenon (동공 동요 동공 동요 : 동공에 빛을 비추었을 때 동공의 크기가 발작적으로 변화.
)
Ⅲ. 근력
1. 운동반응의 단계
반응
5/5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걷기가 가능하다.
4/5
보호자 동반 하에 움직일 수 있고, 어깨 위로 만세를 할 수 있다.
(중력에 이길 수 있다).
3/5
큰 관절을 움직일 수 있고, 팔을 어깨까지 들 수 있다.
2/5
중력에 이기지 못하고 손목, 발목을 약간 구부릴 수 있다.
1/5
손가락, 발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0/5
전혀 움직일 수 없다.
2. 근력 검사 방법
① 상지 근력 검사 : 환자에게 간호사의 손을 꽉 잡아보도록 하거나, 손바닥을 위로 하면서 팔을 몸의 앞 쪽으로 들어 올리도록 한다.
- 상지 쇠약이 있다면 간호사의 손을 잡지 못하거나 힘이 부족하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 하고 팔은 아래로 떨어진다.
② 하지 근력 검사 : 환자에게 발을 침상에서 들어 올리게 하거나 무릎을 굽히도록 한다.
- 하지 쇠약이 있다면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거나, 양 쪽이 대칭적이지 않다.
③ 무의식 환자의 근력검사 : 자발적인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사정한다. 자발적인 움직임이 없다면 통증 자극을 주고 반응을 관찰한다.
④ 수동적 근력검사 : 수동적으로 환자의 사지를 관절 운동 시켜봄으로써 그 저항의 정도를 관찰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4.0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