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교육 : 어린이 영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하나님의 개념
1. 피아제의 인지발달 패러다임에 기초한 연구들
2. 신인지발달이론 : 준비가설이론을 중심으로
3. 준비가설의 실증연구

Ⅱ. 기도의 개념

결론

어린이 영성에 대한 정의, Walter Wangerin의 관점

1.영성에 대한 정의

2.영성과 종교

3.영성발달과 이야기에 대한 Walter Wangerin의 관점

4.영성형성에서 이야기의 활동

본문내용

록 더 풍성한 방법으로 도울 때, 신앙의 설명을 들을 때. --> 어린이는 자신을 위해서 자신의 신앙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유의할 것은 춤이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춤을 위한 음악이 부모나 교회에 의해서 조정되거나 아무 이야기 없이 침묵할 때, 하나님의 경험을 신화로 깎아 내려 설명할 때, 부모를 위한 선택을 하도록 억누를 때 춤은 죽을 수 있다.
4.영성형성에서 이야기의 활동
말하는 사람은 이야기를, 그리고 그 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사랑해야 하며 듣는 사람 역시 그 이야기 자체와 말하는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 이 두 가지 구성요서는 하나님을 사랑하고(그 이야기) 이웃을 사랑하라는(그 어린이들)명령을 반영한다.
Wangerin은 이야기가 “그것이 말해질 때, 이야기는 처음이고 그 다음에 이야기를 듣고 있는 어린이가 살게 될지도 모르는 한 장소, 작은 우주인 세계가 존재 한다”며 이야기의 초월성은 제안한다. 이러한 이야기의 초월성으로 어린이는 세계 안으로 초대되는 것처럼 이야기를 보며 인식적 내용으로 뿐 아니라 이야기의 감정과 긴장감, 이야기 전체를 가지고 동일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성과 상상과 같은 모든 감각이 수반되며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가 그 이야기 “속에”있는 것이다.
또한 이야기는 대화일 뿐 아니라 영혼과 개성을 형성한다. 이야기는 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형성한다. 말하는 사람 역시 이야기 안에서 묘사하며 정교하게 만들고 성격과 줄거리의 형성 때문에 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형성한다.
Wangerin은 이야기를 반복함으로 어린이들을 이야기의 우주 안으로 이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우주”란 어린이가 이야기 속에서 다른 세계로 들어가고 오랫동안 머무는 것을 말한다. 만약 이야기 우주가 어린이의 경험과 연관된다면 어린이들은 그 이야기를 나머지 세계를 해석 할 수 있는 틀로 받아들인다. 이처럼 이야기는 어린이가 삶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제공하고 매일의 경험을 이해 가능하도록 만들어 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야기는 어린이의 지적 사고만이 아니라 행동에도 영향을 준다.
이야기가 잘 말해질 때 그리고 듣는 사람이 이야기의 구조로 들어갈 때 그것은 마치 그 이야기의 시간과 장소에 실제로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신명기 5장 3절, 4절의 말씀처럼 말이다.
이야기는 훌륭하게 이야기 하는 사람이 필요하고 이들은 어린이를 감동시킨다. 이야기는 언제나 공동체의 활동이다.
Wangerin은 이야기를 7~8번 반복해서 어린이가 준비 되었을 때 시작한다. 사람은 단지 어린이를 초대할 수는 있지만 어린이가 그 이야기 속으로 강요되거나 요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반복해서하는 것에 대한 어린이의 동기는 이야기의 결론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분위기를 껴안고 받아들이는 “일종의 영적 사건”이 된다는 것이다.
어른이 어린이와 접촉하려면 어린이의 언어, 몸 언어를 배워야 하고 이때에 어른은 어린이에게 이야기를 들어줄 권리를 얻는 것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어린이에게 이야기를 만들어 줘라. 이야기가 영향을 준다.”
  • 가격4,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