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데 있어서 의지의 자리와 일반은총 가운데서의 의지의 자리를 구분해야 한다. 즉 반틸(C. Van Til)이 지적하듯이 특별은총의 영역에서는 결코 인간의 의지는 발동하지도 않고, 또한 조건이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직 하나님의 절대주권적 은혜에 의해서 성령의 도우심으로 주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은 하나님의 은혜로 세워지고 움직여지는 성도의 의지를 묵살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즉 근원에 있어서는 오직 하나님의 주권만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은총의 자리에서는 인간의 '자력적 의지'가 활동하고 움직여진다. 즉 문화, 사회, 정치, 경제 등과 같은 부분에서는 인간의 의지가 있다. 그러나 이것도 역시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을 벗어나서 주어지거나 활동할 수 있는 의지는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즉 하나님의 절대주권 밖에서 움직여지는 그 어떤 피조물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은총적으로 주어지는 인간의 의지도 역시 하나님의 신적 작정 안에서 움직여지는 의지임을 기억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잃어버리게 되면 반드시 펠라기우스주의와 알미니안주의로 빠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루터의 한계점은 그가 예정론을 확고하게 말하지 않고 피해 가듯이 신적작정을 이루어 가시는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정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펠라기안과 알미니우스와 같은 자유주의 사상으로 기울게 되었던 것이다.
3. 개혁신학의 인간론에 대한 총체적 이해
인간의
상태
도덕률 안에 있는 인간(무죄상태/범죄 가능성)
도덕률을 떠난 인간
(타락한 인간/전적타락)
은혜 안에 있는 인간(구원받은 인간/회복된 인간)
계약론
행위계약
계약에서 끊어진 인간
계약의 회복
관계론
교제의 관계
(대표적 관계)
교제의 단절 관계
교제의 회복 관계
▶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서 우리는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루터의 한계점을 살피면서 개혁신학의 인간론을 다룰 때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론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어디까지 다루어야만 완전하게 개혁신학의 인간론을 정립할 수 있는지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즉 개혁신학의 인간론은 반드시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통한 신적작정 안에서 다루어야 하는 것이며, 이런 구조 안에서 다루어 갈 때 인간의 죄와 비참, 그리고 의지의 한계점을 명확히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정립하지 못하면 우리는 반드시 루터가 빠졌던 그 한계점에 빠질 수밖에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즉 좋은 의도를 가지고 시작했어도 개혁신학의 인간론에 대한 총체적인 교리적 체계를 정립하지 못하게 되면 비(非)성경적인 인간론으로 전락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미주
281) 루터의 노예의지론은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에 대한 답변으로 쓰여진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루터의 노예의지론의 내용이 개혁신앙의 내용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도 당시 루터가 종교개혁자로서 자리하고 있던 때에 펠라기우적인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을 배격한 "노예의지론"을 저술한 것에는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런 역사적 형편을 이해하게되면 아직 신학적으로 완성된 내용은 아니지만 루터의 노예의지론은 매우 가치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와 같은 역사적 정황을 통해서 자유의지에 대한 논쟁이 교회 가운데 얼마나 중요한 논쟁점이었는지를 살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루터의 노예의지론을 살피면서 발견해야 할 부분은 왜 루터가 이렇게 좋은 신학적 의도로 노예의지론을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신학적인 인간론의 형태와 내용을 정립하지 못했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이다. 즉 루터의 한계점과 그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살핌으로서 개혁신학의 인간론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조와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인지를 정리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 개혁신학이 정립한 인간론의 교리적 체계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루터처럼 좋은 동기를 가지고 자신의 시대를 비판하려고 해도 결국 자신의 한계점 때문에 또다시 비(非)개혁신학적 인간론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음을 배워야 하는 것이다.
282) 마틴루터, 루터의 저작선, 존딜렌버거편집, 이형기 옮김,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pp. 95-96.
283) Ibid. p. 126.
284) Ibid. pp.2 24-225.
285) Ibid. p. 225.
286) 김향주 교수 Comment. -- 이와 같은 표현은 '이성주의'적 표현이다. 즉 루터는 이성에 대한 강조점을 많이 두기 때문에 이성주의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287) Ibid., p227.
288) Ibid., pp.231-232.
289) 이런 표현도 칼빈이 제시하고 있는 인간의 지식과 하나님의 지식과 차이가 난다. 즉 루터는 '완전한 죄인이면서 동시에, 완전한 의인'이라고 표현하면서 '성화'의 자리를 인정하지 않지만 칼빈은 '완전한 의인임에도 불구하고 죄의 잔제가 남아 있기' 때문에 우리는 평생에 걸쳐서 끊임없이 성화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므로 성화의 자리를 주장하는 것이 차이가 나듯이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자리를 반반씩 나누려고 하는 구조를 보인다. 그러나 칼빈은 오직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 아래 있는 인간의 의지를 주장한다.
290) Ibid., pp.232-233.
291) 이 부분도 역시 칼빈이 제시하고 있는 신적작정에 의한 인간의 의지를 이해하는 방식과 차이가 난다. 즉 루터는 이런 표현을 통해서 알미니안주의로 가는 길을 열어놓기도 했던 것이다. 즉 '예지예정'과 같은 방식으로 드러내었던 것이다.
292) Ibid. pp. 234-235.
293) Ibid. pp. 235-236.
294) Ibid. p. 237.
295) Ibid. p. 239.
296) Ibid. pp. 242-243.
297) Ibid. pp. 247-248.
298) Ibid. pp. 249-250.
299) Ibid. p. 250.
300) Ibid. pp. 250-251.
301) Ibid., pp. 251-252.
302) Ibid. pp. 256-257.
303) Ibid. pp. 257-258.
304) Ibid. pp. 259-260.
그리고 일반은총의 자리에서는 인간의 '자력적 의지'가 활동하고 움직여진다. 즉 문화, 사회, 정치, 경제 등과 같은 부분에서는 인간의 의지가 있다. 그러나 이것도 역시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을 벗어나서 주어지거나 활동할 수 있는 의지는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즉 하나님의 절대주권 밖에서 움직여지는 그 어떤 피조물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은총적으로 주어지는 인간의 의지도 역시 하나님의 신적 작정 안에서 움직여지는 의지임을 기억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잃어버리게 되면 반드시 펠라기우스주의와 알미니안주의로 빠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루터의 한계점은 그가 예정론을 확고하게 말하지 않고 피해 가듯이 신적작정을 이루어 가시는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정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펠라기안과 알미니우스와 같은 자유주의 사상으로 기울게 되었던 것이다.
3. 개혁신학의 인간론에 대한 총체적 이해
인간의
상태
도덕률 안에 있는 인간(무죄상태/범죄 가능성)
도덕률을 떠난 인간
(타락한 인간/전적타락)
은혜 안에 있는 인간(구원받은 인간/회복된 인간)
계약론
행위계약
계약에서 끊어진 인간
계약의 회복
관계론
교제의 관계
(대표적 관계)
교제의 단절 관계
교제의 회복 관계
▶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서 우리는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루터의 한계점을 살피면서 개혁신학의 인간론을 다룰 때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론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어디까지 다루어야만 완전하게 개혁신학의 인간론을 정립할 수 있는지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즉 개혁신학의 인간론은 반드시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통한 신적작정 안에서 다루어야 하는 것이며, 이런 구조 안에서 다루어 갈 때 인간의 죄와 비참, 그리고 의지의 한계점을 명확히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정립하지 못하면 우리는 반드시 루터가 빠졌던 그 한계점에 빠질 수밖에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즉 좋은 의도를 가지고 시작했어도 개혁신학의 인간론에 대한 총체적인 교리적 체계를 정립하지 못하게 되면 비(非)성경적인 인간론으로 전락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미주
281) 루터의 노예의지론은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에 대한 답변으로 쓰여진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루터의 노예의지론의 내용이 개혁신앙의 내용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도 당시 루터가 종교개혁자로서 자리하고 있던 때에 펠라기우적인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을 배격한 "노예의지론"을 저술한 것에는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런 역사적 형편을 이해하게되면 아직 신학적으로 완성된 내용은 아니지만 루터의 노예의지론은 매우 가치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와 같은 역사적 정황을 통해서 자유의지에 대한 논쟁이 교회 가운데 얼마나 중요한 논쟁점이었는지를 살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루터의 노예의지론을 살피면서 발견해야 할 부분은 왜 루터가 이렇게 좋은 신학적 의도로 노예의지론을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신학적인 인간론의 형태와 내용을 정립하지 못했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이다. 즉 루터의 한계점과 그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살핌으로서 개혁신학의 인간론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조와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인지를 정리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 개혁신학이 정립한 인간론의 교리적 체계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루터처럼 좋은 동기를 가지고 자신의 시대를 비판하려고 해도 결국 자신의 한계점 때문에 또다시 비(非)개혁신학적 인간론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음을 배워야 하는 것이다.
282) 마틴루터, 루터의 저작선, 존딜렌버거편집, 이형기 옮김,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pp. 95-96.
283) Ibid. p. 126.
284) Ibid. pp.2 24-225.
285) Ibid. p. 225.
286) 김향주 교수 Comment. -- 이와 같은 표현은 '이성주의'적 표현이다. 즉 루터는 이성에 대한 강조점을 많이 두기 때문에 이성주의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287) Ibid., p227.
288) Ibid., pp.231-232.
289) 이런 표현도 칼빈이 제시하고 있는 인간의 지식과 하나님의 지식과 차이가 난다. 즉 루터는 '완전한 죄인이면서 동시에, 완전한 의인'이라고 표현하면서 '성화'의 자리를 인정하지 않지만 칼빈은 '완전한 의인임에도 불구하고 죄의 잔제가 남아 있기' 때문에 우리는 평생에 걸쳐서 끊임없이 성화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므로 성화의 자리를 주장하는 것이 차이가 나듯이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자리를 반반씩 나누려고 하는 구조를 보인다. 그러나 칼빈은 오직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 아래 있는 인간의 의지를 주장한다.
290) Ibid., pp.232-233.
291) 이 부분도 역시 칼빈이 제시하고 있는 신적작정에 의한 인간의 의지를 이해하는 방식과 차이가 난다. 즉 루터는 이런 표현을 통해서 알미니안주의로 가는 길을 열어놓기도 했던 것이다. 즉 '예지예정'과 같은 방식으로 드러내었던 것이다.
292) Ibid. pp. 234-235.
293) Ibid. pp. 235-236.
294) Ibid. p. 237.
295) Ibid. p. 239.
296) Ibid. pp. 242-243.
297) Ibid. pp. 247-248.
298) Ibid. pp. 249-250.
299) Ibid. p. 250.
300) Ibid. pp. 250-251.
301) Ibid., pp. 251-252.
302) Ibid. pp. 256-257.
303) Ibid. pp. 257-258.
304) Ibid. pp. 259-260.
추천자료
영성신학서설
바울신학에 나타난 성령에 대한 이해
신학 :술라이마허와 제임스 콘 비교연구
[하나님][하나님 나라 전제][하나님 나라와 신앙][바르트 하나님 나라][인간회복 신학적 함축...
[감리교][감리교회][감리][기독교][신학][교육사업][의료사업][봉사활동]감리교회의 등장배경...
해방신학
[윤리][녹색윤리][교원윤리][교직윤리][전자출판윤리][신학윤리][매스미디어윤리][공학윤리]...
[바울 사상][바울 섬김][바울 국가론][바울 구원론][바울 치유][바울 인간관계][바울 십자가 ...
[성경][성서][그리스도][심판][주님][과정신학]성경(성서)의 지질학, 성경(성서)의 토지법, ...
[서방][서양][서구][신학][교부][인권][건축][G7][G8]서방(서양, 서구)의 신학, 서방(서양, ...
<복음주의신학 관점에서 본 구약의 내러티브 해석> 요약 및 서평 _ 리차드 프랫 저
[성경총론]성경 해석 - 성경 해석의 원리(일반적인 원리, 신학적인 원리), 성경 해석의 방법(...
과정신학 화이트헤드의 사상을 중심으로
신학과 언약(베리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