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재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콘크리트재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크리트 자체의 투수습윤성능을 향상
② 누수의 원인이 되는 결함을 제거
5) 프리팩트 콘크리트
- 거푸집에 미리 최소치수 15㎜이상의 골재를 투입하여 두고, 이 간극에 모르터를
주입하여 완성시키는 콘크리트
6) 해수의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해양 콘크리트)
※해수의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
① 화학적 작용 : 황산마그네슘(체적 팽창 유발), 염화마그네슘(다공질화) 염분(철근부식)
② 물리적 작용 : 건습의 반복, 동결융해작용, 충격에 의한 마모, 침식작용
7) 매스 콘크리트
-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 및 하강에 따른 구속응력의 작용으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콘크리트
- 부재 최소치수 80㎝이상의 구조물이거나, 하단이 구속된 두께 50㎝이상의 벽식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 적용
① 균열발생기구
-부재 내부가 불균일한 온도분포가 됨으로서, 내부 구속응력 및 온도강하시의 열수축이
기설 콘크리트 및 암반에 의해 구속된 것에 의한 외부구속응력이 균열발생의 원인
② 대책
a.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적게 함
b. 급격한 온도 변화를 피함
c. 균열을 집중 또는 분산시킴
6. 그 밖의 콘크리트
1)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이 초고층화,대형화,특수화됨으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시스템의개발이
필요하여 콘크리트 고품질화의일환으로
고강도화(Higher Strength)가 요구되며,
우리나라에서는 40Mpa이상의강도를 말함
용 도
장 점
특 성
초고층 및 주상복합
구조물의 기둥, 보, 벽체
등에 적용
시공성 향상
내구성 증대
온도균열 억제
부재단면 축소
공기 및 비용 절감
호칭강도(설계기준 강도) :
300~900㎏/㎠
슬럼프 Flow :
40 ~ 70㎝
2) A.E(Air Entrained) 콘크리트
- 콘크리트에 A.E제를 넣음으로 구형의 미세기포를 균등하게 발생시켜 연도 증대, 수량(水量) 감소(減少), 용적 변화 감소, 방수성 및 화학작용에 저항성이 크도록 만든 콘크리트
- 강도 및 부착력이 저하되는 결점
3) 중량 콘크리트
- 골재로서 철광석, 중정석(harytes-황산바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 비중 4.5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골재로 쓰임), 철편 등을 사용하여 비중이 큰 콘크리트
- 용도 : 조사실(radiation room), 핫 셀(hot cell) 등의 대량의 γ선을 차폐하는 벽에 사용, 보통 쓰이는 것은 비중 3.2~4.0 정도임
4) 경량 콘크리트
경량골재(천연.인공경량골재)일부 또는전부를 사용해서 콘크리트비중 Bitmap 을 줄여 제조한 콘크리트를 말하며, 사용골재에 따라서 2종으로 구분
용 도
장 점
특 성
경량화 슬래브 공사
건물 증축 공사
데크플래이트 공사
방음-단열 공사
구조물 자체 자중 감소
단면 중량 감소
차음성, 단열성 증대
친환경적 콘크리트
공기 및 비용 절감
호칭강도(설계기준 강도) :
100~400㎏/㎠
단위 중량 :
1.4~2.0 ton/㎥
인공경량 골재 :
혈암, 점토, 퍼라이트 사용
슬럼프 Flow :
40 ~ 70㎝
5) 저발열 콘크리트
- 부재 또는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콘크리트의 과도한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시공해야하는 콘크리트.(넓은 슬라브에서는 두께80㎝,하단이 구속된 벽50㎝이상)
- 용도 : 대형건축물 지하기초 및 옹벽, 댐, 지하철 등 매스콘크리트와 수밀성 및 내구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
6) 수중 콘크리트
- 수중콘크리트는 다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큰 유동성이 필요하며 재료분리를 적게 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을 많게 하고 잔골재율을 크게 한 점성이 풍부한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함.
- 잔골재율은 40∼45%를 표준으로 하고 굵은골재는 입도가 좋은 자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순돌을 사용할 경우 시공상 필요한 점성 및 반죽질기를 얻을 수 있도록 3∼5%정도 증가시키는 것이 좋음.
- 물-시멘트비는 50% 이하, 단위시멘트량은 370kg/㎥ 이상을 표준으로 함
7) 기포 콘크리트
- 일반적인 콘크리트와는 달리 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량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슬러지에 크림(CREAM)과 같은 일정량의 식물성 기포제를 기포화 시킨
상태에서 혼합 믹싱하여 고압호스를 통하여 일정한 장소에 이송하여 양생 시키는
경량 콘크리트 제품으로 무수히 많은 독립기포를 형성케하여 단열, 방음,경량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 제품
- 특징
① 단열성(THERMAL INSULATION)
열전도율이 0.05~0.15 Kcal/mh℃로 일반 콘크리트품의 약 20~30배로 보온 및 결로 방지에 아주 우수한 특성
② 경량성(LIGHT WEIGHTNESS)
밀도 250~1600㎏/㎥로 일반 콘크리트 제품보다 1/4 ~ 1/5의 경량제품으로 건물을 경량화 할 수 있음
③ 방음성(SOUND PROFING)
다공성의 무수히 많은 독립된 기포형성으로 흡음성이 0.009 ~ 0.19%로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5배 정도로 아파트 시공상 문제점은 주거공간의
음향전달을 용이하게 해결
8)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
수중에서 재료의 분리를 방지하고 자체수평조절 효과를 가진 콘크리트로서, 수질 오염이 없고 밀착성, 충진성이 강한수중공사용 콘크리트로 수중 교각의 기초,해안, 항만공사에 적합함
용 도
장 점
특 성
해안 수중구조물
교량의 교각보수공사
항만공사
유동성 및 충진성 우수
수밀성 및 내구성 크다
산 및 알칼리에 강하다
수질오염 방지
시공성 우수
공기단축으로 비용절감
호칭강도(설계기준 강도) :
210~300㎏/㎠
슬럼프 Flow :
50 ~ 60㎝
충진성
3㎝ 이하
9) 고유동 콘크리트
콘크리트 치기 및 다짐(자체충진) 등의 시공
성이 개선되어 부재 단면적이 작고철근이 조밀한 구조물 등에 유리하며, 단위수량 및 단위시멘트량을 Bitmap 절감시켜 온도균열의 방지와 콘크리트 고품질화에 유용
용 도
장 점
특 성
초고층 건물 철근이 밀집 되어 진동이 어려운 구조물
매시브한 구조물
시공 능률 향상
펌프 압송 효율 증대
충진성 향상
건조 수축 저감
내구성, 수밀성 향상
호칭강도(설계기준 강도) :
240~500㎏/㎠
FlyAsh 사용
고성능AE감수제 사용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1.30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