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2
- 동기 2
- 지역소개 2
2. Analysis 3
1) SWOT 3
2) STP 4
- Segmentation / Targeting 4
- Positioning 5
- 6p's 6
3. Strategies 7
- 민관 합작을 통한 효과 극대화 7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7
4. Conclusion 8
- 동기 2
- 지역소개 2
2. Analysis 3
1) SWOT 3
2) STP 4
- Segmentation / Targeting 4
- Positioning 5
- 6p's 6
3. Strategies 7
- 민관 합작을 통한 효과 극대화 7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7
4. Conclusion 8
본문내용
을 개발하고 평창 포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은 개발된 각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용하고 고객을 관리하는 등 각각의 역할 분담이 명확하고 자신이 맡은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고 수행하여 그 효과를 높이고 있다.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평창의 지역적 특색 또는 차별적 이미지를 Happy700에 함축함으로써 평창의 또 다른 이름이자 이미지로 구축하여 지역의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지역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이 5-6년 동안 누적된 결과 평창은 다음 표와 같은 관광객 증가를 맞게 된다.
연도
전체 관광객
외국인 관광객
2003
5,400,000
2004
6,080,000
170,000
2005
7,20,000
140,000
2006
8,410,000
2007
10,000,000 예상
4. Conclusion
평창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국내 지역 마케팅 사례 중에서 브랜드적인 관점을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라 생각된다.
이 사례는 우리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주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지역 마케팅 역시 일반 제품 마케팅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지역에 대한 컨셉(정체성) 도출이 먼저이고 이를 바탕으로 전방위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단순하게 CI 위주의 마케팅보다는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 나감과 동시에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제품 마케팅에서도 이미지만 좋게 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듯이 지역 마케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마케팅 활동의 결과는 경제(매출)적인 내용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 마케팅에도 브랜드를 도입한다면 효과적일 수 있다. 다른 여러 사례를 살펴보아도 지역 마케팅에 브랜드적 시각을 도입한 것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평창의 사례에서 보듯이 지역 마케팅에 브랜드를 도입해서 진행한다면 마케팅에서 중요한 요소인 일관성과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보여진다.
넷째, 지역 마케팅에서는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지 정부나 지자체 주도의 마케팅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러다 보니 지역 마케팅이 단지 CI를 만들고 홍보하는 정도로 끝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는 단순한 정체성 확보가 목적이 아니고 정체성 확보 및 경제 활성화가 동시에 추구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창도 마찬가지이다. 지역 주민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케팅이라는 것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주체로 참여하여 만들어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지역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어서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이든,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든 간에 특정한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경제 활성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단기간에 달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을 견지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보완할 뿐 아니라 경제 활성화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평창의 지역적 특색 또는 차별적 이미지를 Happy700에 함축함으로써 평창의 또 다른 이름이자 이미지로 구축하여 지역의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지역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이 5-6년 동안 누적된 결과 평창은 다음 표와 같은 관광객 증가를 맞게 된다.
연도
전체 관광객
외국인 관광객
2003
5,400,000
2004
6,080,000
170,000
2005
7,20,000
140,000
2006
8,410,000
2007
10,000,000 예상
4. Conclusion
평창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국내 지역 마케팅 사례 중에서 브랜드적인 관점을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라 생각된다.
이 사례는 우리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주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지역 마케팅 역시 일반 제품 마케팅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지역에 대한 컨셉(정체성) 도출이 먼저이고 이를 바탕으로 전방위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단순하게 CI 위주의 마케팅보다는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 나감과 동시에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제품 마케팅에서도 이미지만 좋게 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듯이 지역 마케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마케팅 활동의 결과는 경제(매출)적인 내용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 마케팅에도 브랜드를 도입한다면 효과적일 수 있다. 다른 여러 사례를 살펴보아도 지역 마케팅에 브랜드적 시각을 도입한 것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평창의 사례에서 보듯이 지역 마케팅에 브랜드를 도입해서 진행한다면 마케팅에서 중요한 요소인 일관성과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보여진다.
넷째, 지역 마케팅에서는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지 정부나 지자체 주도의 마케팅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러다 보니 지역 마케팅이 단지 CI를 만들고 홍보하는 정도로 끝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는 단순한 정체성 확보가 목적이 아니고 정체성 확보 및 경제 활성화가 동시에 추구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창도 마찬가지이다. 지역 주민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케팅이라는 것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주체로 참여하여 만들어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지역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어서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이든,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든 간에 특정한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경제 활성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단기간에 달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을 견지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보완할 뿐 아니라 경제 활성화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추천자료
국내 지역 마케팅의 차별화와 성공 전략- 평창지역 성공사례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유취방안 중심으로-동계올림픽의 흥행을 위한 마케팅 전략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마케팅 전략 - 너희가 평창을 아느냐
평창군 관광 진흥 방안
평창동계올림픽_유치를_위한_마케팅_기획서
마케팅.올림픽유치 -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 마케팅 기획서
평창_동계_올림픽_유치_마케팅_기획서_
올림픽 상업화와 중계권 상승,IOC의 올림픽 마케팅 전략,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엠부시 마케...
평창동계올림픽, 평창동계올림픽 경영전략 및 실행, 평창동계올림픽 마케팅전략, 평창올림픽 ...